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9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 disabled peopl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 disabled peopl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 of Q-sort with 39 statements targeting 26 social workers showed that there were 4 types. Type 1 perceiv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fundamental right to realize values based on human dignity and is called 'universal-imperative guarantee type'. Type 2 is named 'restrictive-passive guarantee type' because it is perceiv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respected in processing of social services. Type 3 refers to 'implemental, guarantee-subject enlargement type’, social woker should be pursuit enlarging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ype 4 ‘independent, opportunity-centerd guarantee type that the person, who emphasizes the role of advocator and independent rol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basis of study result, it was discussed with commonness and discrimination of each other and pointed out some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들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발달장애인들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나아가 이를...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들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발달장애인들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관련된 엄선된 진술문 39개를 가지고, 26명의 사회복지사들에게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방법론을 통한 요인분석 결과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1은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기본적 권리이며,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에 의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절대적, 보편적 보장형’이다. 유형 2, ‘제한적, 소극적 보장형’은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핸디캡으로 인해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과정이나 일상생활에서 제한될 수 있다고 본다. 유형 3은 ‘실천적, 보장주체 확대형’인데,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사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확대를위한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유형이다. 유형 4는 ‘주체적, 기회제공 중심형’은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향상에 중요한 것은 당사자의 주체자로서의 역할, 사회복지사의 옹호자 역할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권리에 대한 관심과 인권, 자립 등이 매우 강조되고 중요시 되는 현실에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형화 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인수,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학생을 위한 자기결정기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6

      2 김춘길, "치매노인 돌봄 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지와 영향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3 (23): 160-169, 2011

      3 방영애, "초등 경도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기술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대한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비교" 10 (10): 99-122, 2003

      4 박성우, "정신지체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 비교" 10 (10): 169-192, 2003

      5 김용득, "장애와 사회복지" EM커뮤니티 2012

      6 장세용, "이사야 벌린의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의 개념" 20 : 181-203, 1997

      7 이종호, "시지각 프로그램 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1

      8 이복실, "생활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8) : 65-84, 2012

      9 김기덕, "사회복지윤리학" 나눔의 집 2002

      10 최승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고찰: 미혼모를 중심으로" 8 : 77-93, 2004

      1 조인수,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학생을 위한 자기결정기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6

      2 김춘길, "치매노인 돌봄 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지와 영향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3 (23): 160-169, 2011

      3 방영애, "초등 경도장애아동을 위한 자기결정기술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대한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비교" 10 (10): 99-122, 2003

      4 박성우, "정신지체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 비교" 10 (10): 169-192, 2003

      5 김용득, "장애와 사회복지" EM커뮤니티 2012

      6 장세용, "이사야 벌린의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의 개념" 20 : 181-203, 1997

      7 이종호, "시지각 프로그램 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1

      8 이복실, "생활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8) : 65-84, 2012

      9 김기덕, "사회복지윤리학" 나눔의 집 2002

      10 최승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고찰: 미혼모를 중심으로" 8 : 77-93, 2004

      11 이명원,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응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12 정대영, "부모 참여 여부가 경도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53-274, 2009

      13 김정권, "발달지체인의 자기결정: 교육적 접근과 가족참여" 7 : 3-26, 2000

      14 김정희, "발달장애인 가족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9

      15 주연경, "발달장애아 부모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 및 불안 의식의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16 황정현, "또래놀이 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17 김용욱, "경도정신지체학생들의 배치형태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679-697, 2007

      18 Agran, M., "promoting transition goals and self-determination through student-directed learning: The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35 : 351-364, 2000

      19 Brown, S. R., "Workshop on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96

      20 Jenkinson, J. C., "Who shall decide? the relevance of theory and research to decision-making by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8 (8): 361-375, 1993

      21 Bambara, L. M., "Translating self determination conception to support for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23 (23): 27-37, 1998

      22 Shogren, K. A., "The application of positive psychology and self-determination to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y: A content analysis of 30 years of literature" 2006

      23 Barker, R., "The Social Work Dictionary" NASW 1991

      24 Field, S., "Steps to Self-Determination, 2nd edition" ProEd 2005

      25 Levy, Charles, S., "Social Work Ethics" Human Sciences Press 1976

      26 Ayers, A. J., "Sensory integration and child"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005

      27 Hughes, C. A., "Self-management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public school settings: A research review" 26 : 271-291, 1991

      28 Agran, M., "Self-determination: benefits, challenges, characteristics" 34 : 293-301, 1999

      29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s an educational outcome: A definition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9 : 175-209, 1997

      30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nd positive adult outcomes: A follow-up study of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or learning disabilities" 63 (63): 245-255, 1997

      31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Examining meanings and misinterpretations" 23 : 5-16, 1998

      32 Abery, B. H.,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Life Span: Independence and Cho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oul H. Books 1996

      33 김순은, "Q방법론 사회과학" 금정 2007

      34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5 Schalock, R. L., "Quality of Life, Volume I: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23-139, 1996

      36 Wehmeyer, M, L., "Promoting casual agency: The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66 (66): 439-453, 2000

      37 Brown, S. R.,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Yale University Press 1980

      38 Nirje, B., "Normalization;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National Institute on Mental Retardation 176-200, 1972

      39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1985

      40 Woodill, G., "Independent living and participation in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Centre for Independent Living in Toronto 2006

      41 Wehmeyer, M, L., "How Self-determination are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he National Consumer Survey 1995

      42 Adams, V. H., "Handbook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Sharpe 367-377, 2002

      43 Abery, B., "Evaluating a multicomponent program for enhancing the self-determina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30 (30): 170-179, 1995

      44 Dyer, K., "Effects of choice making on the serious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severe handicaps" 23 (23): 515-524, 1990

      45 Christine Oldman, "Deceiving, theorizing and self-justification: a critique of independent living" SAGE Publications 23 (23): 44-62, 2016

      46 NASW, "Code of Ethics"

      47 Barron, K, "Autonomy in Everyday Life, For Whom?" 16 (16): 431-448, 2001

      48 Abery, B. H., "An ecological 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etical foundations" 25-42, 2003

      49 Wehmeyer, M. L., "Adult outcomes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three-years after high school: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38 (38): 131-144, 2003

      50 Shogren, K. A., "A social-ecological analysis of the self-determination literature" 51 (51): 496-511, 2013

      51 Wehmeyer, M. L.,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describing development and implementing Instruction" 14 (14): 53-61,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6 1.2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