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848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03.3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97 L. : 삽화,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수록
        참고문헌: 72-82장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하기 보다는 사회적 지위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고, 높은 학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하기 보다는 사회적 지위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고, 높은 학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열된 입시경쟁 속에서 방황하는 청소년들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올바른 진로를 선택하고, 진로목표를 이루어가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안으로 셀프리더십을 제시하고자 한다. 셀프리더십은 자신이 가장 즐기며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찾도록 돕고 스스로에게 영향을 주어 선택한 진로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 이를 교육현장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배경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라 셀프리더십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배경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셀프리더십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437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Cronbach's alph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 T-검정(T-test)과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 던컨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일반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은 평균 3.31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은 평균 2.39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을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자기보상이 가장 낮은 반면 자기징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은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은 높은 반면 전문기관 및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은 성별, 성적, 리더경험유무, 리더십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은 전체적으로 성별, 학년, 리더경험유무, 리더십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변인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내적통제 성향, 정서지능 모두 전체적으로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통제 성향의 청소년은 자기보상과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은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적통제 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으로 볼 때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의 청소년에 비해 높은 수준의 진로준비행동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전체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영역 중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과 진로준비행동 전체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셀프리더십을 잘 발휘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여섯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셀프리더십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각 단계별로 설명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셀프리더십 변인이 추가되었을 때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설명력이 상승되므로 셀프리더십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 모형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을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기징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자기보상은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 자신이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행동하여 일이 잘못되었을 때 스스로에게 벌을 주는 자기징계는 강하게 활용하는 반면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인 자기보상은 미흡하다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따라서 청소년 교육 현장에서는 청소년의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고, 일이 잘못되었을 때 실패에 집중하기 보다는 원인을 찾아 교훈을 얻고 새로운 도전을 찾아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돕는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바이다. 한편, 진로준비행동을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은 가장 높은 반면 전문기관 및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진로지도 및 상담 영역에서 전문적인 진로상담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진로교육과 상담이 필요하다.
      둘째, 리더경험과 리더십교육 경험은 셀프리더십 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높여줄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리더십 교육을 통하여 청소년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목표를 향해 노력하도록 동기부여 하는 리더십 교육의 효과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으므로 청소년들에게 진로와 연계된 리더십 프로그램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셋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은 정서지능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을 적극 활용하는 교육이 효과적임을 예측할 수 있었고, 정서지능을 적극 활용하여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넷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을 잘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전체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영역 중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셀프리더십이 인지적 변화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행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 결과이다. 따라서 셀프리더십을 적극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스스로 결정한 진로목표를 위해 노력하도록 돕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요구하는 바이다.
      다섯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를 알아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심리학적 변인 외에 셀프리더십 변인을 추가하였을 때, 설명력이 더욱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잠재된 셀프리더십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앞으로 잠재된 셀프리더십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청소년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진로로 인한 갈등을 감소시키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행복한 청소년들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pply this to the education sit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0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pply this to the education sit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0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fter that, we used 437 collected questionnaires as a data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 is like below:
      First, when we look at the general levels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elf leadership was shown as average 3.31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shown as average 2.39. If looking at the self leadership in each subordinate area, the lowest was the self reward and the highest was the self discipline.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exploration through people around was shown high while career counseling with the specialized organizations or professionals was shown as the lowest.
      Second,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of the self leadership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adolescent’s social demographic factors, the level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marks, existence of leader experience and existence of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howed some differences overall according to sex, grade, existence of leader experience and existence of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Third,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of the self leadership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factors, all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give overall influence on the self leadership. The adolescent with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shown to have influence on every subordinate area besides the self reward and the self conversation,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shown to make meaningful differences for every subordinate areas of the self leadership. Meanwhile, it was shown that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does not give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ll the subordinate areas.
      Fourth, overall the group with high levels of the self leadership was shown to display higher level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mpared with the adolescent in the lower levels of group. The overall level of the self leadership was shown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effort behaviors for achieving goals’ among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ifth,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ocial democrat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elf leadership about the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level was increased. Especially when the self leadership factor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abou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increased, so it was proved that the self leadership was an important factor which had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explanatory power about the model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level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ha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providing adolescent with the opportunities of education which can develop and improve their potential self leadership, we hope that the number of happy adolescent will be increased when they have less conflict about careers and enjoy the whole process of achieving go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청소년기 리더십교육의 중요성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청소년기 리더십교육의 중요성 4
      • 2. 셀프리더십 7
      • 3. 진로준비행동 17
      • 4.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25
      • 5. 배경변인의 관련변인 고찰 27
      • Ⅲ. 연구 방법 36
      • 1. 연구문제 36
      • 2. 연구모형 37
      • 3. 용어의 정의 38
      • 4.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9
      • 5. 조사도구의 구성 40
      • 6.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1
      • 7. 자료의 분석 방법 44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5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경향 45
      • 2.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수준 46
      • 3. 배경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48
      • 4. 배경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51
      • 5.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55
      • 6.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 57
      • 7.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및 셀프리더십의 상대적 기여도 60
      • Ⅴ. 결론 및 제언 63
      • 1. 결론 63
      • 2. 제언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