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대학생 교양 역사 수업 방안 고찰 =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 Liberal History Class Using Media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3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interest in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s ho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utilized media literacy in history subjects.
      This study is an implementation study of liberal arts history classes using media literacy targeting college students. Classes were held online zoom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familiar contents in the course of classes using film media, and also had new curiosity. Second, when students were well aware of the background knowledge, they tended to analyze the media more critically. Third, students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when they recognized that their knowledge was accurate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and were supported by peers and instructors. Fourth, it is believed that the diversity of university members can be sufficientl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for how to introduce and utilize media literacy i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Althoug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clear since it is an experiment targeting one school, more resear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oday, interest in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s ho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utilized media literacy in history subjects. This study is an implementation study of liberal arts history classes using media litera...

      Today, interest in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s ho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utilized media literacy in history subjects.
      This study is an implementation study of liberal arts history classes using media literacy targeting college students. Classes were held online zoom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familiar contents in the course of classes using film media, and also had new curiosity. Second, when students were well aware of the background knowledge, they tended to analyze the media more critically. Third, students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when they recognized that their knowledge was accurate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and were supported by peers and instructors. Fourth, it is believed that the diversity of university members can be sufficientl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for how to introduce and utilize media literacy i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Althoug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clear since it is an experiment targeting one school, more resear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내외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 관심이 뜨겁다.하지만아직까지 역사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양 역사 수업을 실시한 실행연구이다.수업은 2022년 1학기에 온라인zoom으로 진행되었다.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학생들은 영화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의 과정에서 익숙한 내용에 더 관심을보였으며,새로운 호기심을 가지기도 했다.둘째,학생들이 배경지식을 잘 알고 있을때 보다 비판적으로 미디어를 분석하는 경향이 있었다.셋째,학생들은 토론 과정에서자신의 지식이 정확하다는 것을 인지하고,동료와 교수자를 통해 지지를 받았을 때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넷째,대학 구성원의 다양성은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앞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어떻게 역사교육에 도입하여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비록 하나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기에 그한계가 명확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현재 국내외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 관심이 뜨겁다.하지만아직까지 역사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

      현재 국내외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 관심이 뜨겁다.하지만아직까지 역사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양 역사 수업을 실시한 실행연구이다.수업은 2022년 1학기에 온라인zoom으로 진행되었다.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학생들은 영화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의 과정에서 익숙한 내용에 더 관심을보였으며,새로운 호기심을 가지기도 했다.둘째,학생들이 배경지식을 잘 알고 있을때 보다 비판적으로 미디어를 분석하는 경향이 있었다.셋째,학생들은 토론 과정에서자신의 지식이 정확하다는 것을 인지하고,동료와 교수자를 통해 지지를 받았을 때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넷째,대학 구성원의 다양성은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앞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어떻게 역사교육에 도입하여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비록 하나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기에 그한계가 명확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 언론 재단,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주요 결과 발표"

      2 옥현진, "초등 사회 교과서 역사 영역과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49) : 61-90, 2019

      3 황현정, "초·중등 학생 역사의식 조사 사례 분석 :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671-692, 2020

      4 양호환,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9) : 1-36, 2009

      5 박순준,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교육 - 대학에서의 서양사 교육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6 강선주, "유튜브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징: 초등학생용 역사 콘텐츠로부터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역사 콘텐츠까지" 한국역사교육학회 (43) : 255-292, 2022

      7 송치중, "영화와 함께 하는 세계사" 해냄에듀 2022

      8 장진태, "영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 모형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171-1184, 2022

      9 김형록, "역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콘텐츠의 특성 및 유의점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60 (60): 13-24, 2021

      10 김민정, "역사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영화와 역사」과목 개발 사례 연구" 역사교육학회 (78) : 1-39, 2021

      1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 언론 재단,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주요 결과 발표"

      2 옥현진, "초등 사회 교과서 역사 영역과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49) : 61-90, 2019

      3 황현정, "초·중등 학생 역사의식 조사 사례 분석 :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671-692, 2020

      4 양호환,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9) : 1-36, 2009

      5 박순준,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교육 - 대학에서의 서양사 교육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6 강선주, "유튜브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징: 초등학생용 역사 콘텐츠로부터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역사 콘텐츠까지" 한국역사교육학회 (43) : 255-292, 2022

      7 송치중, "영화와 함께 하는 세계사" 해냄에듀 2022

      8 장진태, "영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 모형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171-1184, 2022

      9 김형록, "역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콘텐츠의 특성 및 유의점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60 (60): 13-24, 2021

      10 김민정, "역사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영화와 역사」과목 개발 사례 연구" 역사교육학회 (78) : 1-39, 2021

      11 최상훈, "세계사교육의 쟁점과 당면 과제" 역사교육연구회 (138) : 191-224, 2016

      12 이민주, "미디어리터러시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모형 및 효과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3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14 이병련, "뤼젠(Rüsen)의 역사의식 학습의 네 가지 형태" 한국역사교육학회 (34) : 181-223, 2019

      15 김효숙,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395-421, 2013

      16 고유경, "VR을 활용한 역사교육" 인문사회 21 9 (9): 487-500, 2018

      17 정현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교육부 2021

      18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1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별책 7, 사회과"

      20 Wineburg, S., "(내 손안에 스마트폰이 있는데)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Humanist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