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 언론 재단,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주요 결과 발표"
2 옥현진, "초등 사회 교과서 역사 영역과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49) : 61-90, 2019
3 황현정, "초·중등 학생 역사의식 조사 사례 분석 :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671-692, 2020
4 양호환,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9) : 1-36, 2009
5 박순준,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교육 - 대학에서의 서양사 교육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6 강선주, "유튜브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징: 초등학생용 역사 콘텐츠로부터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역사 콘텐츠까지" 한국역사교육학회 (43) : 255-292, 2022
7 송치중, "영화와 함께 하는 세계사" 해냄에듀 2022
8 장진태, "영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 모형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171-1184, 2022
9 김형록, "역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콘텐츠의 특성 및 유의점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60 (60): 13-24, 2021
10 김민정, "역사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영화와 역사」과목 개발 사례 연구" 역사교육학회 (78) : 1-39, 2021
1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 언론 재단,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주요 결과 발표"
2 옥현진, "초등 사회 교과서 역사 영역과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49) : 61-90, 2019
3 황현정, "초·중등 학생 역사의식 조사 사례 분석 :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671-692, 2020
4 양호환,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9) : 1-36, 2009
5 박순준,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교육 - 대학에서의 서양사 교육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86) : 2003
6 강선주, "유튜브 역사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징: 초등학생용 역사 콘텐츠로부터 알고리즘이 안내하는 역사 콘텐츠까지" 한국역사교육학회 (43) : 255-292, 2022
7 송치중, "영화와 함께 하는 세계사" 해냄에듀 2022
8 장진태, "영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 모형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171-1184, 2022
9 김형록, "역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콘텐츠의 특성 및 유의점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60 (60): 13-24, 2021
10 김민정, "역사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영화와 역사」과목 개발 사례 연구" 역사교육학회 (78) : 1-39, 2021
11 최상훈, "세계사교육의 쟁점과 당면 과제" 역사교육연구회 (138) : 191-224, 2016
12 이민주, "미디어리터러시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모형 및 효과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3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14 이병련, "뤼젠(Rüsen)의 역사의식 학습의 네 가지 형태" 한국역사교육학회 (34) : 181-223, 2019
15 김효숙,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395-421, 2013
16 고유경, "VR을 활용한 역사교육" 인문사회 21 9 (9): 487-500, 2018
17 정현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교육부 2021
18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19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별책 7, 사회과"
20 Wineburg, S., "(내 손안에 스마트폰이 있는데)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Humanist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