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어교육이 도구과목으로써 인성교육의 중요한 통로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서, 〈계녀가(誡女歌)〉를 제재로 선정하여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60061
서울 :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09. 2
2009
한국어
계녀가(誡女歌) ; 인성교육 ; 내방가사 ; 교훈가사 ; Kyenyo Ka-Sa ; education of humanity ; instructive Ka-Sa
서울
iii, 55 p. ; 26cm
지도교수 :이인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어교육이 도구과목으로써 인성교육의 중요한 통로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서, 〈계녀가(誡女歌)〉를 제재로 선정하여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
본 연구는 국어교육이 도구과목으로써 인성교육의 중요한 통로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서, 〈계녀가(誡女歌)〉를 제재로 선정하여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이 도구과목으로써 인성교육의 중요한 통로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서, 문학 작품을 매개로 하여 토의활동과 글쓰기 활동을 하여 인성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성교육을 위해 〈계녀가(誡女歌)〉작품의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토의활동을 통해 전통적인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도록 하였고, 창작 계녀가사 짓기를 통하여 현 시대에 필요한 교훈적 메시지를 창작할 수 있도록 하여 인성교육의 가장 중요한 장치인 내면화 과정을 이루도록 하였다.
전통적으로 교훈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훈 가사 중 여성교육을 위해 친정어머니가 출가하는 딸에게 쓴 〈계녀가(誡女歌)〉에 집중하여 인성교육을 위한 〈계녀가(誡女歌)〉 교수·방안을 마련하였다.
주요 교육 방법으로 토의활동과 스스로에게 쓰는 창작 계녀가사 다시 쓰기 활동을 통해서 작품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내면화하여 글쓰기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내면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안 하였다.
인성교육을 위한 〈계녀가(誡女歌)〉 교수·학습 방안을 위해 Ⅱ장에서는 인성교육과 〈계녀가(誡女歌)〉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계녀가(誡女歌)〉의 학습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계녀가사가 출현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내용적 측면에서 항목별로 구분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부분을 탐색하였고 〈계녀가(誡女歌)〉의 교훈 전달 방법의 한계에 대해 살펴서 이후 교수·학습 과정을 위해 학습 내용을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본격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여 다양한 활동지를 통하여 토의하기와 창작 계녀가사 짓기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내면화 과정이 인성교육적 목표에 부합되도록 구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ays in preparing the lecturing and learning method that focuses on the education of humanity. For that purpose, I selected Kyenyoga as a material. This idea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ays in preparing the lecturing and learning method that focuses on the education of humanity. For that purpose, I selected Kyenyoga as a material. This idea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s a tool for other subjects, should be the passage to the education of humanity. In this research, I tried to achieve the goal, which is the education of humanity, by assigning debates and writing activities on a literary work.
Specifically, for the education of humanity, I prepared the lecturing and the learning method for Kyenyoga so that students inherit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critically through the debates. And by letting them create the instructive message through writing their own Ka-Sa of Kyenyo, I let the students fulfill the process of the internalization, which is the most crucial device for the education of humanity. Among the Ka-Sa that traditionally have a role of conveying the instructive message, I prepared this lecturing and learning method with the focus on the Kyenyo Ka-Sa, which is written by a mother to the daughter, getting married, for the instructive purpose. The main methods for teaching are the discussion activity and writing to oneself the new Kyenyo Ka-Sa. Through these activities, I let the students critically take in the work and internalize it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thoughts in writing. I devised it this way so that the internalization, important to the education of humanity, is achieved. For the lecturing and learning method for Kyenyoga for the education of the humanity, I examined the education of humanit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yenyoga in Chapter 2. In Chapter 3, I talked about the learning content of Kyenyoga. First, I examined the era that Kyenyo Ka-Sa appeared and then categorized the information. By doing this, I explored parts of the content that should be taken in critically from a modern point of view. And also, I inspected the limitation of the method for conveying the instructive message through Kyenyoga and made the learning content for the later lecturing and learning process. In Chapter 4, designing the lecturing and learning method, I let the students have the discussions and write Kyenyo Ka-Sa. I designed the whole process this way so that the internalization, occurring during these activities, fits the purpose of humanity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