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古代王權의 전개와 전환 = 신라 왕권의 추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신라 왕권의 전개와 전환에 관해 상고, 중고, 그리고 중대의 세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것이다. 기원후 2세기 초에 성립한 신라에서 상고 왕권은 시조묘에 대한 제사로 초월적 권위...

      본고는 신라 왕권의 전개와 전환에 관해 상고, 중고, 그리고 중대의 세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것이다.
      기원후 2세기 초에 성립한 신라에서 상고 왕권은 시조묘에 대한 제사로 초월적 권위를 확보하는 한편, 공물 출납에 관한 권한을 장악함으로써 현실적 능력을 과시했을 것이다. 그러나 왕족, 전왕족, 왕비족을 비롯한 귀족들로 구성된 귀족회의는 왕위 계승 및 전쟁 수행과 같은 주요 국사의 결정에서 자신들의 의사를 관철했다. 여기에는 세습을 통해 사회적 신분을 유지하고, 전리품을 통해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려는 그들의 이해관계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고의 귀족평의체제 하에서 왕권은 복속지역에 대해서도 순수와 같은 통치행위만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중고 왕권의 특징은 대왕 칭호의 사용이었는데, 신라의 대왕 칭호는 고구려로부터 유래한 것이었다. 중고 왕권은 법흥왕 때에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함으로써 귀족세력을 초월하는 대왕으로 격상될 수 있었다. 이러한 대왕전제체제 하에서 종래 주요 국사를 총괄하던 귀족회의의 권한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중고 왕권은 고대국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국정, 군정, 재정에 관한 권한을 분산시킨 이래 국사를 분장할 행정관부의 분업화와 조직화를 이루었다. 또한 지방에는 전략 거점을 중심으로 주와 군을 설치하여 왕권을 침투시키기 시작했다.
      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전의 와중에서 성립한 중대의 특징은 명실상부한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수립에 있었다. 중앙집권화의 필요조건은 왕권 강화이고, 충분조건은 관료제와 군현제이다. 중대 왕권은 불교는 물론, 당으로부터 수용한 유학을 중앙집권체제의 유지를 위한 지배이념으로 삼았다. 골품귀족의 관료화를 통해 귀족세력을 약화시키는 한편, 왕경의 평인과 지방의 백성을 공민화하여 조용조를 부담시킴으로써 왕조국가의 토대로 삼았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전면적으로 실시된 군현제와 더불어 한국사에서 중앙집권적 중세사회의 선구였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velopment and conversion of Silla’s royal authority according to periodization of the Sanggo period, the Junggo period, and the Jungdae period. Silla was founded in the early 2nd century. The royal auth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velopment and conversion of Silla’s royal authority according to periodization of the Sanggo period, the Junggo period, and the Jungdae period.
      Silla was founded in the early 2nd century. The royal authority of the Sanggo period seized the transcendental power by a memorial service to (the grave of) the progenitor, and demonstrated practical ability by control over receipt and distribution of tribute. However the council of aristocracy consisting of nobles along with the lineages of the kings, the former kings, and the queens gained their point in major national affairs including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conduct of war. The issues were related to their interest in maintaining social status by hereditary succession and building a financial foundation with the spoils of war. Therefore, the royal authority was able to only conduct political acts such as border inspection tours in subjugated area under the council of aristocracy system.
      A feature of the royal authority in the Junggo period is to use the title of the Great King, which originated from Goguryo. King Beopheung strengthened the royal authority to the Great King beyond aristocracy by law announcement and approval of Buddhism. Thus, the power of the aristocratic council handling state matters weakened under autocracy of the Great King. During the Junggo period, the royal authority specialized and systematized administration, separating the basic powers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ffairs. Provinces and prefectures were also established in strategic points of the country so that the royal authority could penetrated.
      The Jungdae period began during the 7th century international war in East Asia, and it featured establishment of centralized ruling system. A necessary condition of centralization is consolidation of the royal authority and sufficient conditions are bureaucracy and the system of prefectures and counties. The royal authority of the Jungdae period accepted not only Buddhism, but also Confucianism from the Tang dynasty as the ruling ideology to maintain centralism. Bureaucratization of the nobles from the bone-rank system weakened the aristocratic power. The royal authority also citizenized commoners of the capital and subjects of the country to collect taxes in kind or service from them for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Along with the system of prefectures and counties executed overall, the series of measures were leading factors into the centralized medieval times in Korean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주제 의식의 현재적 소재
      • II. 상고 왕권의 위상과 귀족
      • III. 중고의 대왕 출현과 관료
      • IV. 중대 왕권의 중세적 성격
      • 국문초록
      • I. 주제 의식의 현재적 소재
      • II. 상고 왕권의 위상과 귀족
      • III. 중고의 대왕 출현과 관료
      • IV. 중대 왕권의 중세적 성격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