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고 음악교과서에 수록된제주 민요 분석 = An Analysis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Included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38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lk songs play a central role in the area of singing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is importantly approached equally in qu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ory. It is because folk songs have a great meaning as music represe...

      Folk songs play a central role in the area of singing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is importantly approached equally in qu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ory. It is because folk songs have a great meaning as music representing lives of common people and it serves as a root of a variety of music in the base of our traditional music.
      Different characteristics appear in our country’s folk songs divided into five regions of Gyeonggi, Namdo(the Southwest), Seodo(the Northwest), Dongbu(the East) and Jeju. As singing repertoires, folk songs are used because they are appropriate for singing or appreciation and hav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However, folk songs of Jeju Island included in the textbook are conspicuously small in number as compared to songs of other regions, and they highly lack explanation of musical features.
      “Neoyoung nayoung” and “Odoltogi” are folk songs of Jeju Island most included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are influenced by songs of troop sung by strolling actors of the land. For this reason, there are limitations of exploring features of intrinsic folk songs of Jeju Island through these songs. The third most included song in music textbook entitled “Myeolchihurineun sori” or “anchovy net hauling song” is an intrinsic folk song of Jeju Island, but it was not sung at every corner of the island.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living in some specific areas sang this folk music and it is not related to works commonly practiced in Jeju Island. In other words, it is challenging to say that three songs above mentioned can represent as typical folk songs of Jeju Island.
      Sheet music in each textbook uses different music and interprets the mode in a dissimilar manner. Moreover, the general mood of the song varies due to omission of characteristic melody and notes. Folk songs included in the textbooks do not exist only for singing but theoretical learning is achieved through the songs. For this reason, difference in sheet music can cause confusion in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ints for effective folk song education of Jeju Island for the future.
      Firstly, it is vital to discuss “do we have to admit differences of folk songs or do we have to prepare for a unified plan for educ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scribe detailed theory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It is required that theory of creation background, distribution, type, function, sound structure, vocalization and precautions while singing should be put in order for facilitating easy utilization for teachers.
      Thirdly, it is essential to discover folk songs with diverse music pieces, which are easy to sing and appropriate for representing particular characters of Jeju Island.
      Fourthly, since various modes are used in folk songs of Jeju Island, we encounter limitations of accounting for folk song of Jeju Island only with mo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f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such as vocalization and “Sigimsae” or a grace no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민요는 초․중․고 음악교육의 가창 부분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과 이론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서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음악으로서 민...

      민요는 초․중․고 음악교육의 가창 부분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과 이론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서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음악으로서 민요가 갖는 의미가 크고, 우리 전통 음악의 기저에서 여러 다양한 장르 음악의 뿌리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민요는 대체로 경기․남도․서도․동부․제주의 다섯 지역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달리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고, 초․중․고 음악교과서에서는 위 다섯 지역별로 가창 혹은 감상하기에 적절하면서도, 지역적 대표성을 띠는 민요가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 지역의 민요는 가창 및 감상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는 민요의 곡수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음악 특징에 대한 설명도 미비하고,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가장 많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제주민요인 <너영나영>과 <오돌또기>는 육지 사당패소리의 영향을 받은 악곡으로, 제주 토속민요 특유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세 번째로 많이 수록된 곡인 <멸치후리는소리> 역시 제주 지역 토속민요 이기는 하나, 제주 전역에서 두루 불리던 소리가 아니라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의 사람들 사이에서만 불리던 민요이고, 제주에서 흔히 행하는 노동과 관련된 민요도 아니다. 즉, <너영나영>, <오돌또기>, <멸치후리는소리> 모두 대표성 면에서 다소 문제가 있다.
      각 교과서에서 활용하고 있는 악보도 서로 다른 채보 악보를 활용하면서, 음구조를 다르게 파악하기도 하고, 특징적인 선율과 음을 간과하면서 곡의 분위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곡은 단순히 가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악보를 통해 이론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서로 다름은 교육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향후 효과적인 제주 민요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안한다.
      첫째, 민요의 서로 다름을 인정할 것인가, 교육을 위한 통일안을 마련할 것인가 논의해야 한다.
      둘째, 제주 민요에 대한 자세한 이론이 기술되어야 한다. 각 곡의 생성 배경에서부터, 분포, 유형, 기능, 음구조, 발성, 가창시 유의점 등이 정리되어,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제주 특유의 특색을 살피기에 적절하면서도, 가창이 용이한 다양한 악곡의 토속민요를 발굴해야 한다.
      넷째, 제주 지역 민요는 다양한 선법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음구조로 제주 민요를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발성과 시김 등 다양한 제주 민요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BC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제주도민요해설집" ㈜문화방송 1992

      2 이성훈, "한국민속예술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16

      3 "초등학교 음악6" 천재교육

      4 "초등학교 음악6" 비상교육

      5 "초등학교 음악5" 미래엔

      6 "초등학교 음악4" 음악과생활

      7 "초등학교 음악4" 지학사

      8 "중학교 음악2" 음악과생활

      9 조대현, "중학교 음악1" 다락원 2018

      10 정욱희, "중학교 음악1" 성안당 2018

      1 MBC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제주도민요해설집" ㈜문화방송 1992

      2 이성훈, "한국민속예술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16

      3 "초등학교 음악6" 천재교육

      4 "초등학교 음악6" 비상교육

      5 "초등학교 음악5" 미래엔

      6 "초등학교 음악4" 음악과생활

      7 "초등학교 음악4" 지학사

      8 "중학교 음악2" 음악과생활

      9 조대현, "중학교 음악1" 다락원 2018

      10 정욱희, "중학교 음악1" 성안당 2018

      11 윤수동, "조선민요 1000곡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2000

      12 김인규, "제주민요 서우젯소리의 분석적 연구" 제주대학교 34 : 229-267, 1992

      13 노재명, "제주도의 무속음악"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14 박신영, "제주도의 놀이·굿·일노래의 음악적 고찰 : 오돌또기·서우젯소리·밀레질소리·따비질소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5 姜英熙, "제주도 해녀 뱃노래의 분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0

      16 오남훈, "제주도 토속민요의 선율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7 변성구, "제주도 서우젯소리 연구" 민요학회 1 : 135-189, 1998

      18 조영배, "제주도 민요의 이해와 감상2" 제주도 교육청 110 : 65-72, 2001

      19 조영배, "제주도 민속음악-통속민요 연구편" 신아문화사 1991

      20 김혜정, "제주도 굿 음악에 나타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칠머리당굿과 동김녕리 잠수굿을 중심으로-" 국립국악원 (26) : 189-215, 2012

      21 이보형, "오독도기소리 연구" 한국민요학회 2 : 119-187, 1995

      22 문숙희, "서부경남에 전승된 제주도 <해녀 노 젓는 소리>의 음악적 고찰" 한국민요학회 16 : 117-152, 2005

      23 국립국악원, "국악교육안내서2 향토민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요" 국립국악원 1999

      24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25 국립국악원, "교육용 국악 표준악보-향토민요 100선" 국립국악원 2009

      26 趙泳培, "濟州道 民謠의 音樂樣式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7

      27 손인애, "<오독도기>계통 소리 연구" 한국민요학회 19 : 207-24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8 0.86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