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문집 자서(自序)의 창작과 그 특징: 자기 서사로서의 면모와 관련하여 = The creation and feature of the author`s preface(自序) on collection of works(文集)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the aspect as self-narrative(自己敍事)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후기에 두드러진 文集 自序의 창작에 주목하고, 그에 나타난 문인들의 자기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까지 空疎했던 문집 자서는 `自編 文集의 증가`라는 외적 ...

      본고는 조선 후기에 두드러진 文集 自序의 창작에 주목하고, 그에 나타난 문인들의 자기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까지 空疎했던 문집 자서는 `自編 文集의 증가`라는 외적 동기, `자기표현 욕구와 정형으로부터의 탈피`라는 내적 동기의 결합으로 인하여 17세기 이후 꾸준히 창작되었다. 자서는 보통 문장 이력, 문집 편찬 경위, 체제 및 구성, 감회 등의 형식적 요소를 기반으로 지어지되, 작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부분이 강조되거나 생략되는 등의 유연한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탄력적으로 운용되는 이러한 `느슨한 틀`이 있었기 때문에 문인들은 자서 속에서 자기 모습을 원하는 방식으로 조형해 낼 수 있었다.
      한편, 내용의 측면에서는 문집 자편 행위를 우호적으로 보지 않던 당대의 시선을 의식하여 `겸양과 변명`의 언사가 투식처럼 등장하였다. 유연한 형식적 틀을 통해 자유로운 표현 기반을 확보하였지만, 실제 서술에 있어서는 자기를 드러내는 데에 매우 소극적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일부 문인들은 자서 내에서 문장가로서의 지향과 자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었다. 지난날의 자신을 반성하며 문장에 더욱 정진하겠다는 자기 갱신의 의지를 피력하기도 하고, 자신의 문집과 문장의 수준을 의도적으로 과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감춤의 미덕`이라는 암묵적 규약에서 벗어나 문집을 자편한 작자의 실제 의식에 한층 다가설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기 글쓰기로서의 자서의 성격을 한층 부각시켜 준다.
      문집 자서에는 `문인으로서의 자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후인에게 자신의 시문을 어떠한 말로 소개할 것인가`와 같은 자기인식에 관한 유의미한 고민들이 녹아 있다. 물론 `道`와 `文`, `겸손의 의무`와 `자부의 욕구` 사이에 형성된 팽팽한 긴장 관계 속에서, 이는 작자에 따라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자신과 그 시문을 후세에 뚜렷하고 유의미한 모습으로 남기고 싶었던 마음만큼은 모든 자서를 관류하는 공통된 의식이었다. 바로 이러한 자기 문장에 대한 애호의 감정과 이를 표출하기 위해 동원된 다양한 서술 전략들이 존재함으로 인해, 문집 자서는 조선 후기에 뚜렷한 흐름을 형성했던 `자기 서사`의 한 갈래로서 자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creation tendency of the author`s preface on collection of wor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researched patterns of self-expression in the prefaces. In comparison with rare creation of the author`s preface in the ear...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creation tendency of the author`s preface on collection of wor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researched patterns of self-expression in the prefaces.
      In comparison with rare creation of the author`s pref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steadily created in the late period because of a combination with external motive like increase of self-collection of works(自編文集) and inner motive like aspiration about self-expression and escape from a fixed type. An author`s preface was fundamentally created by several formal factors such as a background as a writer, a process about the compilation of works, a format of the collection and his thoughts and feelings. But it was also formed variously depending on writer`s purpose, so this `loose format` made unconstrained expression possible for authors.
      In terms of description and narration, the author`s preface conventionally use expression of `modesty and excuse` because of an unfriendly atmosphere about the self-collection of works. But despite of such tacit restriction, there were many writers that want to express their awareness and pride as a writer. So they show not only their will about self-renewal but also self-esteem about their talent and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eface. It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reflects the strong aspiration about self-ex pression of writers.
      On this wise, there were meaningful thoughts such as how to present his own ability and achievement as writer in the author`s preface. It is true that an author`s preface filled with timid self-expression because of a tightly strained relation between `ethics(道)` and `literature(文)` or `obligation of humble` and `desire of self-confidence`, but lots of writers presented their earnest wish for imperishability of their works through it. These aspects makes the author`s preface situate a part of `self-narrative(自己敍事)` in late Joseon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옥, "金澤榮 文集의 刊行經緯와 異本考" 성균관대 2011

      2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1995

      3 김영주, "한국한문학의 이론-산문" 보고사 2007

      4 임준철, "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 한국한문교육학회 (38) : 237-278, 2012

      5 川合康三, "중국의 자전문학" 소명출판 2002

      6 안득용, "조선후기 자서전의 특징적 局面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회 (56) : 423-458, 2014

      7 정우봉, "조선후기 自撰年譜 연구" 한국한문학회 (59) : 89-122, 2015

      8 安大會, "조선후기 自撰墓誌銘 연구" 한국한문학회 (31) : 237-266, 2003

      9 김수진, "조선시대 자편문집에 대한 탐사 - 규장각 소장 자편문집의 발굴과 분석 -" 한국서지학회 (68) : 63-94, 2016

      10 임준철, "조선시대 자만시의 전개 양상과 계보적 특징" 한국언어문학회 (88) : 165-198, 2014

      1 최영옥, "金澤榮 文集의 刊行經緯와 異本考" 성균관대 2011

      2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1995

      3 김영주, "한국한문학의 이론-산문" 보고사 2007

      4 임준철, "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 한국한문교육학회 (38) : 237-278, 2012

      5 川合康三, "중국의 자전문학" 소명출판 2002

      6 안득용, "조선후기 자서전의 특징적 局面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회 (56) : 423-458, 2014

      7 정우봉, "조선후기 自撰年譜 연구" 한국한문학회 (59) : 89-122, 2015

      8 安大會, "조선후기 自撰墓誌銘 연구" 한국한문학회 (31) : 237-266, 2003

      9 김수진, "조선시대 자편문집에 대한 탐사 - 규장각 소장 자편문집의 발굴과 분석 -" 한국서지학회 (68) : 63-94, 2016

      10 임준철, "조선시대 자만시의 전개 양상과 계보적 특징" 한국언어문학회 (88) : 165-198, 2014

      11 안득용, "자아의 유형에 따른 전근대 자서전의 분류와 그 형성 배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7 : 265-304, 2014

      12 신승운, "유교사회의 출판문화-특히 조선시대의 문집 편찬과 간행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9 : 2001

      13 강혜선, "남학명(南鶴鳴) 산문문학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26 : 7-49, 2014

      14 심경호, "나는 어떤 사람인가-선인들의 자서전" 이가서출판사 2010

      15 李德懋, "靑莊館全書"

      16 梁慶遇, "霽湖集"

      17 金允植, "雲養集"

      18 申欽, "象村稿"

      19 張維, "谿谷集"

      20 吳道一, "西坡集"

      21 金邁淳, "臺山集"

      22 任天常, "窮悟集"

      23 韓章錫, "眉山集"

      24 朴趾源, "燕巖集"

      25 박수밀, "燕巖 朴趾源의 ‘眞’ 文學論" 한서대 동양고전연구소 1 : 1996

      26 金尙憲, "淸陰集"

      27 鄭來僑, "浣巖集"

      28 崔致遠, "桂苑筆耕集"

      29 박수천, "柳下 洪世泰의 詩文學" 한국한시학회 13 : 2009

      30 李英輔, "東溪遺稿"

      31 李敏求, "東州集"

      32 정진웅, "朝鮮時代 自編文集에 관한 考察" 한국서지학회 (44) : 331-348, 2009

      33 김수진, "朝鮮後期 文集刊行의 推移와 그 特徵"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353-373, 2013

      34 南鶴鳴, "晦隱集"

      35 鄭在褧, "愼窩集"

      36 李尙迪, "恩誦堂集"

      37 趙正萬, "寤齋集"

      38 송혁기, "夢? 南克寬의 학문과 산문비평" 우리한문학회 14 (14): 245-272, 2006

      39 南克寬, "夢囈集"

      40 金柱臣, "壽谷集"

      41 박수천, "南克寬의 「謝施子」에 나타난 文學意識" 한국한시학회 (21) : 153-183, 2013

      42 申混, "初菴集"

      43 金憲基, "初庵全集"

      44 成大中, "(국역)청성잡기" 민족문화추진회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7 1.72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