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늘이>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에 대한 신화적 대안-<원천강본풀이>를 재해석한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5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제주도 무속신화 <원천강본풀이>를 원작으로 자연과 생명의 문제를 새롭게 해석한 애니메이션 <오늘 이>를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원작인 <원천강본풀이>의 서사적 특징과 현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원천강본풀이>는 자아찾기의 서사, 상생의 서사, 공간의 환상성이라는 서사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서사적 요소는 현대 사회에서도 유효한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 <오늘이>는 원작의 서사 구조와 의미를 수용하고 있지만 원천강의 성격, 탐색의 목적과 결과가 다르고, 원조 자의 등장 순서와 문제해결 방법에서도 부분적인 변용이 일어난다. 신화에서 원천강은 신의 영역으로 사계절 이 모여 있는 시간의 근원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분리되지 않은 근원적 세계로 변화되었다. 원천강의 성격이 변화하면서 <오늘이>의 탐색 목적은 잃어버린 근원적 고향을 회복하는 것으로 바뀐다. <오늘이>의 탐색과정과 문제해결 방법도 부분적으로 변화되어 상호관계와 이타적 생명관을 강조하는 방향으 로 변용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신화와 애니메이션은 전혀 다른 결말이 나타난다. <오늘이>에는 신(神)과 신탁이 나타나지 않고 등장인물들의 행동이 연쇄반응을 일으켜서 세계 내에서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문제 해결 과정과 회복된 원천강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대칭적으로 상호보완하는 이상적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오늘이>에 나타나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이타적 생명관은 인간・과학・이성 중심의 근대적 사고를 전복하고 인간과 자연의 대칭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신화적 대안이다. <오늘이>에 나타나는 자연의 순환과 균형은 인간 의 탐욕에 의해 파괴된 자연과 생명을 회복시킬 수 있는 신화적 대안이자 현재의 우리가 도달해야만 하는 이 상적 세계의 실마리인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제주도 무속신화 <원천강본풀이>를 원작으로 자연과 생명의 문제를 새롭게 해석한 애니메이션 <오늘 이>를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원작인 <원천강본풀이>의 서...

      본고는 제주도 무속신화 <원천강본풀이>를 원작으로 자연과 생명의 문제를 새롭게 해석한 애니메이션 <오늘 이>를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원작인 <원천강본풀이>의 서사적 특징과 현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원천강본풀이>는 자아찾기의 서사, 상생의 서사, 공간의 환상성이라는 서사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서사적 요소는 현대 사회에서도 유효한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 <오늘이>는 원작의 서사 구조와 의미를 수용하고 있지만 원천강의 성격, 탐색의 목적과 결과가 다르고, 원조 자의 등장 순서와 문제해결 방법에서도 부분적인 변용이 일어난다. 신화에서 원천강은 신의 영역으로 사계절 이 모여 있는 시간의 근원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분리되지 않은 근원적 세계로 변화되었다. 원천강의 성격이 변화하면서 <오늘이>의 탐색 목적은 잃어버린 근원적 고향을 회복하는 것으로 바뀐다. <오늘이>의 탐색과정과 문제해결 방법도 부분적으로 변화되어 상호관계와 이타적 생명관을 강조하는 방향으 로 변용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신화와 애니메이션은 전혀 다른 결말이 나타난다. <오늘이>에는 신(神)과 신탁이 나타나지 않고 등장인물들의 행동이 연쇄반응을 일으켜서 세계 내에서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문제 해결 과정과 회복된 원천강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대칭적으로 상호보완하는 이상적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오늘이>에 나타나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이타적 생명관은 인간・과학・이성 중심의 근대적 사고를 전복하고 인간과 자연의 대칭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신화적 대안이다. <오늘이>에 나타나는 자연의 순환과 균형은 인간 의 탐욕에 의해 파괴된 자연과 생명을 회복시킬 수 있는 신화적 대안이자 현재의 우리가 도달해야만 하는 이 상적 세계의 실마리인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y is a process of human's existence, believes and religions are the integral parts of it. Witchcraft religion exist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human society formation. It contains the human's original belief, reflects ways of thinking, and shows similarities of the society existed. Witchcraft religion made up the founding myths, and exercised social functions through them. Witchcraft religion reflected historical views of specific human group, and revealed the development direction. The core of Witchcraft Religion Concept of History contains two concepts of "outlook on life" and "thinking about life". Space vitality was recognized in this field, and functions of culture and society retained and expanded was seriously boosted. It was a belief of the cycle of life and death, the moment of birth only means a rebirth of life. By understanding the coherence of founding myth and national cultural's origin, it demonstrated the regeneration of time, and the purposes of historical movement. History is a coexisted process of struggle, cooperation, confrontation, and harmony. Yet in Witchcraft Religion field, such kind of process was endowed of political overtones to emphasize harmonic combination. Therefore, Witchcraft Religion Concept of History is natural easily to be forgotten in modern society, but it's social ethics, world views, ways of life shall be memorized, and possibly to get moral resurrection. Witchcraft Religion Concept of History has a significance of responsibility to revive the meaning of the lost space, time and other history fiel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it's helpful to wake up the deepest understanding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significance of "I".
      번역하기

      History is a process of human's existence, believes and religions are the integral parts of it. Witchcraft religion exist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human society formation. It contains the human's original belief, reflects ways of thinking, and...

      History is a process of human's existence, believes and religions are the integral parts of it. Witchcraft religion exist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human society formation. It contains the human's original belief, reflects ways of thinking, and shows similarities of the society existed. Witchcraft religion made up the founding myths, and exercised social functions through them. Witchcraft religion reflected historical views of specific human group, and revealed the development direction. The core of Witchcraft Religion Concept of History contains two concepts of "outlook on life" and "thinking about life". Space vitality was recognized in this field, and functions of culture and society retained and expanded was seriously boosted. It was a belief of the cycle of life and death, the moment of birth only means a rebirth of life. By understanding the coherence of founding myth and national cultural's origin, it demonstrated the regeneration of time, and the purposes of historical movement. History is a coexisted process of struggle, cooperation, confrontation, and harmony. Yet in Witchcraft Religion field, such kind of process was endowed of political overtones to emphasize harmonic combination. Therefore, Witchcraft Religion Concept of History is natural easily to be forgotten in modern society, but it's social ethics, world views, ways of life shall be memorized, and possibly to get moral resurrection. Witchcraft Religion Concept of History has a significance of responsibility to revive the meaning of the lost space, time and other history fiel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it's helpful to wake up the deepest understanding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significance of "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II. < 원천강본풀이>의 서사적 특징과 가치
      • III. 신화의 수용과 변용
      • IV. 자연과 생명에 대한 신화적 대안
      • 국문초록
      • 1. 서론
      • II. < 원천강본풀이>의 서사적 특징과 가치
      • III. 신화의 수용과 변용
      • IV. 자연과 생명에 대한 신화적 대안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me, Kathryn,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55-, 2000

      2 赤松智城, "조선 무속의 연구" 동문선 1991

      3 강권용, "제주도 특수본풀이 연구 : <원천강본풀이>, <세민황제본풀이>, <허궁애기본풀이>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혜정, "제주도 특수본풀이 <원청강본풀이> 연구-‘神名’에 대한 再考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20) : 251-277, 2010

      5 고은임, "원천강본풀이 연구" 서울대 국어국문 학과 (35) : 203-205, 2010

      6 이성강, "오늘이" 문공사 2004

      7 김명석, "영상매체를 활용한 문학논술 지도 전략 -애니메이션 <오늘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28) : 233-259, 2009

      8 조미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237-245, 2007

      9 中澤新一,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동아시아 30-, 2002

      10 Campbell, Joseph, "신의 가면 1" 까치 15-34, 2003

      1 Hume, Kathryn,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55-, 2000

      2 赤松智城, "조선 무속의 연구" 동문선 1991

      3 강권용, "제주도 특수본풀이 연구 : <원천강본풀이>, <세민황제본풀이>, <허궁애기본풀이>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혜정, "제주도 특수본풀이 <원청강본풀이> 연구-‘神名’에 대한 再考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20) : 251-277, 2010

      5 고은임, "원천강본풀이 연구" 서울대 국어국문 학과 (35) : 203-205, 2010

      6 이성강, "오늘이" 문공사 2004

      7 김명석, "영상매체를 활용한 문학논술 지도 전략 -애니메이션 <오늘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28) : 233-259, 2009

      8 조미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237-245, 2007

      9 中澤新一,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동아시아 30-, 2002

      10 Campbell, Joseph, "신의 가면 1" 까치 15-34, 2003

      11 Lukacs, Gyorgy, "소설의 이론" 심설당 34-36, 1985

      12 조희웅, "설화와 탐색모티프" 국민대 어문학회 (5) : 53-65, 1985

      13 이종호,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비교 연구" 온지학회 (27) : 193-230, 2011

      14 신동흔, "살아있는 우리신화" 한겨레출판 123-, 2007

      15 김연숙, "레비나스 타자윤리학" 인간사랑 14-, 2001

      16 中澤新一, "대칭성 인류학" 동아시아 83-, 2005

      17 이수자, "남도민속학 의 진전" 태학사 796-798, 1998

      18 김유진, "[원천강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현대적 변용 양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6) : 375-402, 2010

      19 조홍윤, "<원천강본풀이>의 서사에 나타난 ‘시간’의 의미 연구" 남도민속학회 (23) : 409-436,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