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보다 나은 환경과 사회·문화 등 다양한영역들의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디자인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지속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5694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8-88(1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보다 나은 환경과 사회·문화 등 다양한영역들의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디자인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지속가...
본 논문은 보다 나은 환경과 사회·문화 등 다양한영역들의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디자인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유형분석을 거쳐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을 논하여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디자인은 환경문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경제·문화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시도되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둘째, 지속가능디자인의 유형 분석 결과, 각각 주거(Shelter), 건강(Health), 물(Water), 에너지(Energy), 교육(Education) 및 운송수단(Transportation) 등의 구체적 영역과 관련하여 인간중심 디자인 사고를 통한 해결책으로서의 지속가능디자인이 폭넓게 제시되어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디자인 SWOT 분석에서는 강점(Strengths)과 기회(Opportunities)로 기술적 발전, 브랜드 선도, 연령을 중심으로 한 기존 소비구조 변화, 녹색성장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글로벌 국가들의 정책변화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제한(threats)과 약점(Weakness)으로는 브랜드와 유통경로 및 소비자 보존, 제품신뢰성 약화, 그리고 새로운 유통경로 형성이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임이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과 SWOT 분석을 토대로 내·외적 동인(Internal·External Drivers)에 의한 인간에 대한 관점(People Aspect), 친환경 관점(Planet Aspect), 이윤 관점(Profit Aspect)에 의한 문제해결도 구로서 지속가능디자인의 역할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국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디자인 영역의 이론적·체계적 분석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sign, and to analyze its role for solving some problems we fronted recently in such diverse fields of environment·society·cultur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considera...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sign, and to analyze its role for solving some problems we fronted recently in such diverse fields of environment·society·cultur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consideration about general id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oretical examination and type analysi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all these finally reach to the conclusion dealing with the role of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sustainable design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which attempts to find adjustable solutions of various problems occurred from societ y·economy·culture basis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 Second,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of sustainable design type analysis, sustainable design was widely suggested as the solutions based on human-centered design thinking related specific fields such as shelter, health, water, energy,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Third, it was preestimated from SWOT analysis of sustainable design, technological development, leading brand, changing consumer framing depends on age, and policy changing of global countries by green growth and sustainability turn up as Strength and Opportunities, and weakening of brand, distribution channels and consumer maintenance, product reliance, and new distribution channels construction could be threats and Weakness. Finally, the role of sustainable design was suggested as the tool of diverse solving problems in compliance with people, planet, and profit aspect by internal·external divers through type and SWOT analysis.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on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영, "지속가능디자인 개념 확장과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학회 23 (23): 289-302, 2010
2 UNESCO, "유네스코 만국문화다양성 선언(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UNESCO 2001
3 박종세, "아이디오 CEO 팀 브라운 인터뷰"
4 Smithsonian 연구소,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 에딧더월드 2010
5 남미경, "디자인에 있어 지속가능성의 의미와 빅터 파파넥 디자인 사상의 영향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188-196, 2009
6 이재용, "디자인사고란?"
7 김정태,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 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KIDP 2012
8 이준형, "그린디자인은 녹색혁명 알리는 신호탄"
9 "www.sbc.org.nz"
10 "http://yosemite.epa.gov/r10/oi.nsf/Sustainability/Sustainability"
1 김보영, "지속가능디자인 개념 확장과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학회 23 (23): 289-302, 2010
2 UNESCO, "유네스코 만국문화다양성 선언(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UNESCO 2001
3 박종세, "아이디오 CEO 팀 브라운 인터뷰"
4 Smithsonian 연구소,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 에딧더월드 2010
5 남미경, "디자인에 있어 지속가능성의 의미와 빅터 파파넥 디자인 사상의 영향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188-196, 2009
6 이재용, "디자인사고란?"
7 김정태,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 시대: 디자인의 역할과 기회" KIDP 2012
8 이준형, "그린디자인은 녹색혁명 알리는 신호탄"
9 "www.sbc.org.nz"
10 "http://yosemite.epa.gov/r10/oi.nsf/Sustainability/Sustainability"
11 "http://www.koreaexim.go.kr/kr/comn/etc/dicvi ewjsp?ens=S®No=218"
12 "http://globaldesignstudies.blogspot.com/2009/12/sustainable-design.html"
13 Michael Bartl, "Towards Human-Centered Design" 2013
14 MaLennan, J. F., "The Philosophy of Sustainable Design" Little Brown 2004
15 OECD, "OECD Insights, Sustainable Development : Linking Economy, Society, Environment" OECD 2008
16 UN, "Implementation of Decisions from the 2005 World Summit Outcome for Action"
17 UNEP, "Design for Sustainability; A Practical Approach for Developing Economie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2004
18 Jen Phillips, "Design Thinking Brings Creative Techniques to Business"
19 Fujitsu, "Concept of Accessibility"
다문화시대의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보편성의 표현에 관한 연구
지속적 반복 동작을 유도하는 노인용 운동기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