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 실태와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ocused on the Case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Chung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8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peration process and to find the ways for improvements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PBS) in Chungnam-do. It is appreciable that Chungnam-do Authority institutionalized PBS despite the strong opposition of local assembly and have made some efforts to improve PBS recently. However, the institutional devices and activities to raise the level of citizens participation are insufficient on the whole, which shows the low effectiveness of PBS. And bureaucrats take the strong initiative in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P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organize citizens participation and to collect the citizens' opinion for a successful PBS. The efforts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s and deliberation depth of Citizens Committee for PBS are also required especially. And it is very important to link Chungnam-do PBS with the primary local governments' PBS and to introduce the research supporting organization for keeping continuous institutional improvem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peration process and to find the ways for improvements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PBS) in Chungnam-do. It is appreciable that Chungnam-do Authority institutionalized PBS despite the strong oppos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peration process and to find the ways for improvements of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PBS) in Chungnam-do. It is appreciable that Chungnam-do Authority institutionalized PBS despite the strong opposition of local assembly and have made some efforts to improve PBS recently. However, the institutional devices and activities to raise the level of citizens participation are insufficient on the whole, which shows the low effectiveness of PBS. And bureaucrats take the strong initiative in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P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organize citizens participation and to collect the citizens' opinion for a successful PBS. The efforts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s and deliberation depth of Citizens Committee for PBS are also required especially. And it is very important to link Chungnam-do PBS with the primary local governments' PBS and to introduce the research supporting organization for keeping continuous institutional impr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충청남도 본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민참여예산제의 도입 경과와 그 운영 실태를 검토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책 과제를 다각도로 도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의회의 반대 속에서도 주민참여예산제의 기반을 제도화하고 최근 제도 운영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집행부의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점 등은 평가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아직 관주도의 성격이 강하고 주민참여의 수준이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나 활동이 미흡한 채 형식적으로 제도가 운영되는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민참여를 조직화하고 주민의견을 수렴·반영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보강하는 한편 도민참여예산위원회의 주민 대표성과 심의의 충실성 확보를 위한 제도 운영상의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지속적인 제도 개선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연구지원조직의 신설과 함께 도의 사업 내용과 사업 수행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군 주민참여예산제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충청남도 본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민참여예산제의 도입 경과와 그 운영 실태를 검토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책 과제를 다각도로 도출하는 데에 ...

      이 논문은 충청남도 본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민참여예산제의 도입 경과와 그 운영 실태를 검토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 운영을 위하여 요구되는 정책 과제를 다각도로 도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의회의 반대 속에서도 주민참여예산제의 기반을 제도화하고 최근 제도 운영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집행부의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점 등은 평가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아직 관주도의 성격이 강하고 주민참여의 수준이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나 활동이 미흡한 채 형식적으로 제도가 운영되는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민참여를 조직화하고 주민의견을 수렴·반영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보강하는 한편 도민참여예산위원회의 주민 대표성과 심의의 충실성 확보를 위한 제도 운영상의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지속적인 제도 개선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연구지원조직의 신설과 함께 도의 사업 내용과 사업 수행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군 주민참여예산제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충청남도 정책기획관실, 2013

      2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3 "충청남도의회 제246회 임시회 제1차 행정자치위원회회의록(11.10.14)"

      4 "충청남도의회 제243회 임시회 제1차 행정자치위원회 회의록(11.5.12)"

      5 "충청남도의회 제208회 임시회 제3차 행정자위원회 회의록(07.8.31)"

      6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 및 시행규칙"

      7 김웅, "참여예산사례 : 외국과 국내사례 소개. 예산편성과정에 있어서 시민참여확보방안" 2003

      8 박형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7 (17): 165-192, 2012

      9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10 강윤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채택과 정치이념"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29-54, 2011

      1 충청남도 정책기획관실, 2013

      2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3 "충청남도의회 제246회 임시회 제1차 행정자치위원회회의록(11.10.14)"

      4 "충청남도의회 제243회 임시회 제1차 행정자치위원회 회의록(11.5.12)"

      5 "충청남도의회 제208회 임시회 제3차 행정자위원회 회의록(07.8.31)"

      6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 및 시행규칙"

      7 김웅, "참여예산사례 : 외국과 국내사례 소개. 예산편성과정에 있어서 시민참여확보방안" 2003

      8 박형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7 (17): 165-192, 2012

      9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10 강윤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채택과 정치이념"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29-54, 2011

      11 엄태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미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13

      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13 임승후,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61-86, 2010

      14 이용환, "주민참여예산제의 효율적 운영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1

      15 임동욱,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현실적 한계" 한국정책지식센터 (51) : 2003

      16 나중식,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모형에 관한 비교연구 - 브라질,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133-158, 2005

      17 조주복,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역할 재정립"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67-88, 2012

      18 박광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모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19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247-276, 2005

      20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경험과 성과 : 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369-1397, 2009

      21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 한국정책지식센터 (51) : 2003

      22 임성일, "주민참여예산제도 실시의 주요 과제와 발전방안" 2011

      23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 사례분석:울산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01-222, 2008

      24 이자성, "주민참여 예산편성제 운영 모델" 경남발전연구원 2008

      25 이광원, "정책변동론적 관점에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시 주민참여예산 조례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209-231, 2013

      26 이승종, "시민참여론" 박영사 2011

      27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 성공요인과 한계 -" 한국정부학회 16 (16): 457-482, 2004

      28 장수찬, "도정참여지수 개발보고서 중간보고서" 충청남도 2013

      29 충청남도 예산담당관실, "도민참여예산제 도입 운영계획" 2011

      30 충청남도 예산담당관실, "도민참여예산위원회 회의자료 (13.8.12)"

      31 충청남도 예산담당관실, "도민참여예산위원회 회의자료 (13.5.13)"

      32 "기타 충청남도 내부 자료 및 행정안전부(안전행정부) 자료"

      33 장수찬, "국내 외 참여 소통사례 연구" 충청남도 2012

      34 곽채기, "광주광역시 북구의 주민참여예산 제도화 과정과 운영 성과"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175-211, 2007

      35 최진혁, "광역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실태와 대안적 모델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공제회 (44) : 2011

      36 Sintomer. Yves, "Participatory budgeting in Europe: Potentials and Challenges" 32 (32): 2008

      37 충청남도 혁신관리담당관실, "2013 제1차 행정혁신특별위원회 회의자료 (13.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