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혈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에 따른 효과 = The Effects of Structured Debriefing Methods in Simulation Based Blood Transfusion Nursi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056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수혈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간호학과 2학년...

      연구의 목적은 수혈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간호학과 2학년생으로 실험군과 비교군은 각각 16명, 대조군은 15명으로총 47명이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로 실험중재는 2일간의 수혈간호시뮬레이션 중, 대조군에게 구조화된 그룹토론 디브리핑, 비교군에게 구조 화된 구두 디브리핑, 실험군에게는 구조화된 비디오 디브리핑을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육중재가 끝난 다음 날 임상수행평가와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χ 2 test/Fisher’s exact test, one way ANOVA, Sheffé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이 비교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지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 결론적으로 구조화된 비디오 디브리핑을 활용한 수혈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을 증진하였으므로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디브리핑 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structured debriefing methods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for blood transfusion. The research is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structured debriefing methods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for blood transfusion. The research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7 nursing sophomore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ructured video debriefing, the comparative group was structured oral debriefing, and the control group was structured group discussion debriefing. The clinical performance skills and clinical judgement ability on blood transfusion care were evaluated by two trained experts through videotapes which record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 2 test, Fisher’s exact test, ANOVA, Scheffé test, Intra-Class Correlation,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of knowledge,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judgement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st scores among three groups. Therefore, the use of structured video debriefing in simulation training is strongly recommended to improve knowledge,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judgment. Further studies might focus on identifying effective strategies of debriefing which might includ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guidelines in various clinical examples applied to simu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미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151-160, 2010

      2 정경인,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 적용이 임종간호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3 하이경,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 지식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김인경, "영상매체 활용을 통한 설명하는 글쓰기 연구-KBS <다큐 3일>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89-206, 2014

      5 김은정, "시뮬레이션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판단 기술 분석: Tanner의 Clinical Judgment Model을 적용하여"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212-222, 2014

      6 김진영,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과 디브리핑의 효과 분석 : 뇌졸중 환자 사례를 중심으로"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2

      7 김덕희,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499-509, 2012

      8 박인희, "수술 전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비디오촬영을 이용한 피드백 학습의 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9 최정선, "선행학습과 성취도와의 상관성" 19 : 193-213, 2007

      10 고진화, "비디오 디브리핑을 이용한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비기술적 술기와 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1 엄미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151-160, 2010

      2 정경인, "임상판단모델에 근거한 디브리핑 적용이 임종간호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3 하이경, "임상판단력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이 간호학생의 임상판단력, 지식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김인경, "영상매체 활용을 통한 설명하는 글쓰기 연구-KBS <다큐 3일>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89-206, 2014

      5 김은정, "시뮬레이션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판단 기술 분석: Tanner의 Clinical Judgment Model을 적용하여"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212-222, 2014

      6 김진영,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과 디브리핑의 효과 분석 : 뇌졸중 환자 사례를 중심으로"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2

      7 김덕희,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499-509, 2012

      8 박인희, "수술 전후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비디오촬영을 이용한 피드백 학습의 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9 최정선, "선행학습과 성취도와의 상관성" 19 : 193-213, 2007

      10 고진화, "비디오 디브리핑을 이용한 기본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비기술적 술기와 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11 홍정석,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한응급의학회 20 (20): 609-614, 2009

      12 양지승,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 추정"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47-167, 2007

      13 김율리아, "무용 수업에서 비디오 자기관찰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Bowden, T., "Web-based video and feedback in the teach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32 (32): 443-447, 2011

      15 Scherer, L. A., "Videotape review leads to rapid and sustained learning" 185 (185): 516-520, 2003

      16 Savoldelli, G. L., "Value of debriefing during simulated crisis management : oral versus video-assisted oral feedback" 105 (105): 279-285, 2006

      17 Grant, J., "Using video-facilitated feedback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following high-fidelity simulation" 6 (6): e177-e184, 2010

      18 Dreifuerst, K. T., "Using 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 to foster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in simulation" 51 (51): 326-333, 2012

      19 Wotton, K.,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high-fidelity simulation" 49 (49): 632-639, 2010

      20 Tanner, C. A., "Thinking like a nurse :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45 (45): 204-211, 2006

      21 Fanning, R. M.,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2 (2): 115-125, 2007

      22 Sawyer, T., "The effectiveness of video-assisted debriefing versus oral debriefing alone at improving neonatal resuscitation performance : a randomized trial" 7 (7): 213-221, 2012

      23 Dufrene, C., "Successful debriefing-best methods to achieve positive learning outcomes : A literature review" 34 (34): 372-376, 2014

      24 Mariani, B.,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9 (9): e147-e155, 2013

      25 Cicero, M. X., "Simulation training with structured debriefing improves residents’ pediatric disaster triage performance" 27 (27): 239-244, 2012

      26 Jeffries, P. R.,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7

      27 Lusk, J. M., "Postsimulation debriefing to maximize clinic judgement development" 38 (38): 16-19, 2013

      28 Welke, T., "Personalized oral debriefing versus standardized multimedia instruction after patient crisis simulation" 109 (109): 183-189, 2009

      29 Liaschenko, J., "Nursing ethics and conceptualizations of nursing : Profession, practice and work" 46 (46): 488-495, 2004

      30 Morgan, P., "Effic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 debriefing on the performance of practicing anaesthetists in simulated scenarios" 103 : 531-537, 2009

      31 Arafeh, J. M., "Debriefing in simulated-based learning facilitating a reflective discussion" 24 (24): 302-310, 2010

      32 Rudolph, J. W., "Debriefing as formative assessment : closing performance gaps in medical education" 15 (15): 1010-1016, 2008

      33 Shinnick, M. A., "Debriefing :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simulation" 7 (7): e105-e111, 2011

      34 Chronister, C., "Comparison of simulation debriefing methods" 8 (8): e281-e288, 2012

      35 Lasater, K.,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46 (46): 496-503, 2007

      36 Lasater, K., "Clinical judgement : The last frontier for evaluation" 11 (11): 86-92, 2011

      37 한국간호평가원, "2014학년도 상반기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용 편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