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학교 독도교육주간 운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Dokdo Education Wee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2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초・중등학교의 독도교육주간으로 한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2019년과 2020년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에 따른 독도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독도 전문교사가 부족하고 둘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교사의 부족은 학년별・학교 급별 연계교육을 어렵게 함으로써 체계적인 독도교육이 실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독도교육이 행사 중심의 일회성 교육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문제점을 토대로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체계화된 전문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구축된 독도교육전문시스템을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를 양성해야 하며 셋째, 양성된 전문교사를 통해 독도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초・...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초・중등학교의 독도교육주간으로 한정하고, 시간적 범위는 2019년과 2020년으로 하며,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교육주간의 운영 실태에 따른 독도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독도 전문교사가 부족하고 둘째, 독도교육을 위한 전문교사의 부족은 학년별・학교 급별 연계교육을 어렵게 함으로써 체계적인 독도교육이 실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독도교육이 행사 중심의 일회성 교육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문제점을 토대로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독도교육을 위한 체계화된 전문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구축된 독도교육전문시스템을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를 양성해야 하며 셋째, 양성된 전문교사를 통해 독도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Dokdo Education Week among Dokdo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kdo education by deriving problems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ubjects, o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Dokdo Education Wee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Gyeongsangbukdo with the time range being 2019 and 2020., As for methods for searching, literature search methodology and Internet search methodology are used in combination, and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method of descriptive analysis is employ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Dokdo edu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us of Dokdo Education Week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professional system for Dokdo education, so there was a shortage of Dokdo teachers. Second, the lack of professional teachers for Dokdo education made it difficult to educate Dokdo by grade and school grade, and third, Dokdo education was conducted as one-time education centered on event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first, the systematic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specializ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should be trained through the established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and third, the Dokdo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train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Dokdo Education Week among Dokdo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kdo education by deriving problems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Dokdo Education Week among Dokdo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kdo education by deriving problems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subjects, o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Dokdo Education Wee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Gyeongsangbukdo with the time range being 2019 and 2020., As for methods for searching, literature search methodology and Internet search methodology are used in combination, and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method of descriptive analysis is employ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Dokdo edu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us of Dokdo Education Week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professional system for Dokdo education, so there was a shortage of Dokdo teachers. Second, the lack of professional teachers for Dokdo education made it difficult to educate Dokdo by grade and school grade, and third, Dokdo education was conducted as one-time education centered on event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first, the systematic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specializ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should be trained through the established Dokdo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and third, the Dokdo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trained national land teacher (territorial teac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독도교육의 이론적 고찰 3. 독도교육의 실태 분석 4. 독도교육 발전방향 5. 결론
      • 1. 서론 2. 독도교육의 이론적 고찰 3. 독도교육의 실태 분석 4. 독도교육 발전방향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2 참교육 학부모신문, "팽목에서 우리 다시 손 맞잡자, 297호"

      3 박선미,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방향 - 우리나라 교사와 학생 대상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3-36, 2010

      4 신한울,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 개발 : 도예교육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 박은종,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실행 : 이론과 실제" 전자도서 2011

      6 김종남, "지적학적 접근에 의한 독도교육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2

      7 박지영, "일본 중학교 독도교육의 실태" 독도연구소 (26) : 309-345, 2019

      8 이득우, "생태관광지 탐방 및 조사를 통한 환경교육 개선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경상북도, "독도총서" 2008

      10 독도사전편찬위원회, "독도사전" 푸른길 2019

      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2 참교육 학부모신문, "팽목에서 우리 다시 손 맞잡자, 297호"

      3 박선미,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방향 - 우리나라 교사와 학생 대상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23-36, 2010

      4 신한울,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 개발 : 도예교육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 박은종,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실행 : 이론과 실제" 전자도서 2011

      6 김종남, "지적학적 접근에 의한 독도교육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2

      7 박지영, "일본 중학교 독도교육의 실태" 독도연구소 (26) : 309-345, 2019

      8 이득우, "생태관광지 탐방 및 조사를 통한 환경교육 개선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경상북도, "독도총서" 2008

      10 독도사전편찬위원회, "독도사전" 푸른길 2019

      11 이범관, "독도론" 삼지출판사 2017

      12 김미선, "독도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3 김찬형, "독도교육 및 홍보강화(교육과정 편성시 반영권장)" 교육부 2019

      14 교육부, "독도교육 기본계획" 2019

      15 이은서, "대전둔산중학교, 교실을 벗어난 역사현장 체험으로 창의적 융합 인재 육성 실시"

      16 이지현,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방안 연구-NIE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7 김호동, "교육과정과 해설서의 독도기술과 학교급별 체계적 독도교육의 방안 모색" 역사교육학회 (51) : 3-42, 2013

      18 주영주,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 남두도서 1999

      19 "경상북도교육청 홈페이지"

      20 이범관, "경북도민과 함께하는 독도교실 자료집" 경상북도 독도연구기관통합협의체 2017

      21 이범관, "獨島敎育의 評價와 發展方向 硏究* - 慶一大學校를 中心으로 -" 한국지적학회 25 (25): 195-208, 2009

      22 교육부정책과-3761, "2020학년도 독도주간 운영계획" 2020

      23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42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