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경수, "「우리 문학 속의 謫降話素와 외국 문학 속의 謫降話素 대비연구-九雲夢과失樂園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회 (1) : 177-216, 1990
2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출판부 1986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판 2권" 지식산업사 2007
4 최삼룡, "조선 전기소설의 도교사상 in: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중앙문화사 1203-1210, 1995
5 박희병, "이인설화와 신선전(1)" 일지사 25-53, 1988
6 고재석, "영웅소설의 신화적 사유와 그 서사기능의 변이양상-꿈과 변신 모티프를 중심으로" 9 : 67-119, 1986
7 김재용, "영웅소설의 두 주류와 원천" 한국언어문학회 (22) : 167-186, 1983
8 서대석, "서사무가1"
9 윤경수, "단군신화와 한국문학과의 관계 양상-고소설과 현대문학의 수용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19) : 331-359,
10 김진영, "고전소설의 전통과 변이" 태학사 169-175, 2006
1 윤경수, "「우리 문학 속의 謫降話素와 외국 문학 속의 謫降話素 대비연구-九雲夢과失樂園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회 (1) : 177-216, 1990
2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출판부 1986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판 2권" 지식산업사 2007
4 최삼룡, "조선 전기소설의 도교사상 in: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중앙문화사 1203-1210, 1995
5 박희병, "이인설화와 신선전(1)" 일지사 25-53, 1988
6 고재석, "영웅소설의 신화적 사유와 그 서사기능의 변이양상-꿈과 변신 모티프를 중심으로" 9 : 67-119, 1986
7 김재용, "영웅소설의 두 주류와 원천" 한국언어문학회 (22) : 167-186, 1983
8 서대석, "서사무가1"
9 윤경수, "단군신화와 한국문학과의 관계 양상-고소설과 현대문학의 수용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19) : 331-359,
10 김진영, "고전소설의 전통과 변이" 태학사 169-175, 2006
11 윤경수, "고소설에 나타난 단군신화의 수용양상" 단군학회 (창간) : 189-224, 1999
12 "釋迦如來十地修行記"
13 오출세, "英雄小說과 民間信仰의 構造"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9) : 33-58, 1983
14 김용재, "古小說 人物 出生談의 機能과 意味 考察-英雄小說, 愛情小說을 中心으로" 중앙어문학회 36 : 111-136, 2007
15 이병도, "三國遺事" 明文堂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