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rectors on “Quality Teaching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0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discourses on “quality teaching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orea that focus on teaching media. After interviewing six directors and six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content analysis.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shared the view that efficiency, suitability, and diversity are the key aspects of quality teaching media. However, the intrinsic meanings of these terms have been shown to be different. First, directors and teachers both think that efficiency is a key aspect of quality teaching media. Directors, however, emphasized the functional aspect while teachers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utilization. Second, both groups placed value on suitability but their views regarding the suitability of printed materials were in conflict. Lastly, both groups had in common the pursuit of diverse teaching media, but whereas the directors pursued analogic diversity, the teachers pursued digital variety. The complex meanings surrounding teaching media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edia.
      번역하기

      In order to understand discourses on “quality teaching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orea that focus on teaching media. After interviewing si...

      In order to understand discourses on “quality teaching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orea that focus on teaching media. After interviewing six directors and six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content analysis.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shared the view that efficiency, suitability, and diversity are the key aspects of quality teaching media. However, the intrinsic meanings of these terms have been shown to be different. First, directors and teachers both think that efficiency is a key aspect of quality teaching media. Directors, however, emphasized the functional aspect while teachers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utilization. Second, both groups placed value on suitability but their views regarding the suitability of printed materials were in conflict. Lastly, both groups had in common the pursuit of diverse teaching media, but whereas the directors pursued analogic diversity, the teachers pursued digital variety. The complex meanings surrounding teaching media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med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수, "지역 분권·자치와 인문공동체, 그리고 민주주의" 중앙철학연구소 52 : 237-270, 2018

      2 박혜경, "좋은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95-115, 2010

      3 최계령,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수매체 활용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희진,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음악활동 실제 :경력, 학력 및 연수 경험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안혜정, "유치원 교사의 업무수행 경향성과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육아정책연구소 12 (12): 3-27, 2018

      6 권민균, "유아용 온라인 교육사이트 가정 내 사용실태와 부모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0 (10): 33-49, 2003

      7 최연철, "유아교육·보육 교재 교구 인증평가의 과제와 전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924-5930, 2015

      8 강영식,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제도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601-5609, 2013

      9 김정희,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점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9-68, 2017

      10 김정희, "유아교사의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97-420, 2017

      1 김석수, "지역 분권·자치와 인문공동체, 그리고 민주주의" 중앙철학연구소 52 : 237-270, 2018

      2 박혜경, "좋은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95-115, 2010

      3 최계령,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수매체 활용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희진,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음악활동 실제 :경력, 학력 및 연수 경험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안혜정, "유치원 교사의 업무수행 경향성과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육아정책연구소 12 (12): 3-27, 2018

      6 권민균, "유아용 온라인 교육사이트 가정 내 사용실태와 부모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0 (10): 33-49, 2003

      7 최연철, "유아교육·보육 교재 교구 인증평가의 과제와 전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924-5930, 2015

      8 강영식,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제도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601-5609, 2013

      9 김정희,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점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9-68, 2017

      10 김정희, "유아교사의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97-420, 2017

      11 이소영,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재교구 연구 및지도법 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09-528, 2018

      12 박지선,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재교구 제작 경험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418-430, 2017

      13 최중근, "어린이집 원장의 유아교수매체에 대한 인식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93-515, 2017

      14 이순영,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근무유형, 학력, 경력, 연령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299-317, 2009

      15 임상훈, "대학에서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좋은 대학수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4 (34): 1079-1112, 2018

      16 김동례,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7) : 143-162, 2014

      17 Choi, H. J., "The effects of teaching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basic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attitudes" 1 (1): 120-144, 2004

      18 Park, H. J., "The effects of experiencing instructional media with / without time limitations on Young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and reading abilities" 21 (21): 205-224, 2001

      19 Yoo, K. J., "The effects of VD-ROM performance in the preschool activity" 20 (20): 107-127, 2000

      20 Kim, H. K., "The Study of computer technology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1 (21): 332-346, 2003

      21 Na, E. S., "Research and guidance on infant study materials" Yangseowon 2012

      2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hakjisa 2015

      23 Oh, S. H., "Kindergarten teachers' perspectives and realities in using teaching &learning media kindergarten teachers' manual - in language life area"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24 Oh, M. J., "Getting know reggio" Jungminsa 2018

      25 Park, N. S., "Comparison of computer CD-ROM versus fairy taleresearch of children's response toward instructional media" 2 (2): 89-106, 1999

      26 Mark, B.,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Approaches and Method" Kyoyookkwahaksa 2017

      27 Oh, J. H., "An effect of clay activity on infant`s creativity" 5 (5): 81-96, 2007

      28 Kim, Y. C.,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edia" Yangseowon 2011

      29 Kim, C. W., "A study on the teaching and teaching methods for infants and children" Yangseowon 2005

      30 Jo, J. O., "A study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demands of the web instructional media" 15 (15): 73-88, 2006

      31 Kim, C. M., "A study on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for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play" 20 (20): 187-190, 2016

      32 Jeong, H. K.,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and demand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 operation of infant teachers' infant common curriculum" Chungang University 2016

      33 Kim, C. K., "A study of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Jungminsa 2003

      34 Kim, E. C., "A study of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education'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5 : 161-183, 2002

      35 Lee, D. K., "(New) A study of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Yangseowon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17 0.5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