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민정, "협동적 자연친화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27-449, 2014
2 김연숙, "자연친화적 숲체험 활동의 교육적 의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정영희, "자연친화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0, 2011
4 권혜림,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감정이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1-383, 2014
5 이길동,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61-385, 2009
6 김정원,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35-457, 2006
7 곽노의,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0 (20): 173-196, 2010
8 장영숙, "자연산책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311-332, 2005
9 서영민, "자연물 주제중심통합 유아 숲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보경, "자극의 대상개별화 수준에 따른 유아와 성인의 즉지하기: 대상의 간격, 색, 모양 구성에 따른 수행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5 (55): 491-505, 2017
1 신민정, "협동적 자연친화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27-449, 2014
2 김연숙, "자연친화적 숲체험 활동의 교육적 의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정영희, "자연친화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0, 2011
4 권혜림,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감정이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1-383, 2014
5 이길동,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61-385, 2009
6 김정원,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435-457, 2006
7 곽노의,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0 (20): 173-196, 2010
8 장영숙, "자연산책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311-332, 2005
9 서영민, "자연물 주제중심통합 유아 숲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보경, "자극의 대상개별화 수준에 따른 유아와 성인의 즉지하기: 대상의 간격, 색, 모양 구성에 따른 수행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5 (55): 491-505, 2017
11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85-205, 2007
12 김은주, "유아교육기관의 숲반과 일반반 유아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35-255, 2013
13 강영식, "숲체험을 통한 환경오염예방교육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604-1611, 2013
14 이도란, "숲체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이인원, "숲체험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83-103, 2014
16 이명환, "숲유치원의 교육학적 원리와 실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25-152, 2006
17 이남희, "숲유치원에서의 수·과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김규수, "숲에서의 협동놀이 경험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209-239, 2016
19 최수경,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81-198, 2013
20 조은제,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21 이명환,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49-170, 2011
22 최정애,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송은주,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4 서영민, "숲 체험 활동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과 수학 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5 조영민, "숲 체험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69-75, 2011
26 김 숙, "명시적 교수법 기반의 반응적 교수법을 적용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측정에 대한 개념, 어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이신숙, "구성주의에 기초한 요리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8 라정숙, "개념변화 교수법에 기초한 과학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9 신지연,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체력 및 행복감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26, 2012
30 Parsons, A., "Young children and nature: Outdoor play and development, experiences foster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 implications on playground desig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2011
31 Dillon, J., "The value of outdoor learning : Evidence from research in the UK and elsewhere" 87 (87): 107-111, 2006
32 Piaget, J.,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Routledge and Kegan Paul 1950
33 Kahn, P. H., "The human relationship with nature: Development and culture" MIT Press 1999
34 Bae, E. -K., "The effects of nature play activities through a walk on young children's perceptual motor ability and spatial ability"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5
35 You, E. -H., "The effects of mathematical game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s on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5
36 Kim, S. -K.,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on children's attentivenes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5
37 Hong, H. K., "The development of spati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21 (21): 189-209, 2001
38 Michael A. Cohen, "The attentional requirements of consciousness" Elsevier BV 16 (16): 411-417, 2012
39 Stephens, K., "Support resilience by connecting children with nature" 11 (11): 52-56, 1999
40 Liz O'Brien, "Learning outdoors: the Forest School approach" Informa UK Limited 37 (37): 45-60, 2009
41 Louv, R.,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Algonquin Books 2008
42 Martin, D. J.,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Delmar 1997
43 Chung, S. -Y.,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based on nature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attitude to science and scientific process skill" 4 : 65-83, 2005
44 Kim, H. -J.,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kindergarten teachers" Kyungsung University 2013
45 Bailie, P. E., "Connecting children to nature: A multiple case study of nature center preschool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12
46 Cumming, F., "An Australian perspective of a Forest School : Shaping a sense of place to support learning" 15 (15): 296-309, 2015
47 Kwak, S. -Y., "A study on development of attention test instrument and its valid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8
48 Park, K. -H., "A study of the influence of forest-experience-activity upon children's selfconcept development" Dongguk University 2005
49 Ronen Berger, "A Safe Place: ways in which nature, play and creativity can help children cope with stress and crisis – establishing the kindergarten as a safe haven where children can develop resiliency" Informa UK Limited 180 (180): 889-900, 2010
50 박윤현, "3, 4, 5세 유아의 논리·수학적 사고 발달: 변별, 서열, 유목, 패턴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1-30, 2017
51 김보경, "3, 4, 5세 유아의 공간기하 인지 발달" 대한가정학회 55 (55): 125-14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