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전남지역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use of historic sit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Gwangju and Jeolla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535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항일독립운동은 열강에 의해 국권(國權)이 흔들리기 시작했던 19세기 구한말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독립을 향한 열망은 광주·전남에서도 예외 없이 이뤄졌다. 광주·전남 지역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212건으로 문화운동, 사회운동, 의병, 3·1운동 등 다양한 성격의 독립운동이 지역에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을 고찰하고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 및 광주·전남지역의 독립운동 사적지와 유공자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장소나 문화유산이 아닌 독립운동과 관련된 건물이나 집터, 기념비,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의 흔적이 남아 있는 역사적 현장을 정의된다.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1차적으로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와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독립운동의 방향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은 원형보존 보다는 멸실되었거나 혹은 단순 표지물 설치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이유는 사적지 관리주체의 다양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리주체가 지자체, 기념사업회, 문중 등 다양하게 지정됨에 따라 책임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관리주체의 법적 성격이 지자체,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개인 등 다름에 따라 사업관리방식 및 관리역량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사적지는 총 1457건이며 이를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가 144건, 경기도 234건, 강원도 90건, 전라도 212건 등으로 나타난다. 사적지를 운동성격별로 분류하면 3·1운동과 관련된 사적지가 가장 많고, 의병운동, 사회운동, 학생운동 순으로 나타난다.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분석은 지역의 독립운동 유공자의 현황을 먼저 알아본 뒤 자치구별 사적지 현황 및 보존상태, 현충시설 지정여부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광주의 독립운동 유공자는 2020년 기준으로 총 112명으로 3·1운동과 관련된 유공자가 가장 많고 근소한 차이로 학생운동이 뒤를 잇고 있다. 광주의 독립운동 사적지를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동구가 13건, 남구가 6건, 북구 3건, 광산구 3건, 서구 2건 등으로 분포하고 있다. 전남의 경우 독립운동 유공자는 총 1,139명으로 전체 유공자의 27%가 의병운동 관련 유공자이다. 이는 1906년부터 1909년까지 호남에서 의병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진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남의 사적지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동부권이 42건, 서부권이 54건, 북부권이 49건 등으로 분포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의 문제점과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적지의 보존사례를 조사 후 분석을 통해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재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표지석의 설치 비율이 약 20%에 불과할 정도로 지역주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표지석의 일부가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의견 및 일부 글자가 환경에 의해 변형되어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는 한계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을 위해서 SWOT분석을 진행하여 강약점 및 기회·위협을 진단하여 활용전략에 종합적으로 반영하였다.
      제 4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은 국가보훈처 주관 아래 이뤄지고 있지만 주로 교육자료 및 사적지 탐방이라는 직접적 활용과 MZ세대들을 위시한 활용 방안인 SNS를 이용하여 독립운동가 및 사적지를 홍보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활용 방향을 직접적 활용 방안과 광주·전남의 의향(義鄕) 이미지를 활용한 간접적 활용방안으로 분류하여 모색해보았다. 직접적 활용방안으로는 독립운동가, 유적, 유물, 기록물 등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는‘광주·전남 항일독립운동자료 아카이브 구축’과 메타버스 기술 중 대표적인 AR·VR기법을 활용한 ‘AR스캐닝을 활용한 호남의병 다크투어리즘 개발’이라는 구체적 프로그램안을 제안하였다. 간접적 활용방안으로는 광주·전남의 의향(義鄕)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화폐 디자인 개발과 지역의 독립운동사 및 독립운동가를 기반으로 하는 창작뮤지컬 개발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타 지역의 사례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한국의 항일독립운동은 열강에 의해 국권(國權)이 흔들리기 시작했던 19세기 구한말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독립을 향한 열망은 광주·전남에서도 예외 없이 이뤄...

      한국의 항일독립운동은 열강에 의해 국권(國權)이 흔들리기 시작했던 19세기 구한말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독립을 향한 열망은 광주·전남에서도 예외 없이 이뤄졌다. 광주·전남 지역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212건으로 문화운동, 사회운동, 의병, 3·1운동 등 다양한 성격의 독립운동이 지역에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을 고찰하고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 및 광주·전남지역의 독립운동 사적지와 유공자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장소나 문화유산이 아닌 독립운동과 관련된 건물이나 집터, 기념비,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의 흔적이 남아 있는 역사적 현장을 정의된다.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1차적으로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와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독립운동의 방향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은 원형보존 보다는 멸실되었거나 혹은 단순 표지물 설치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이유는 사적지 관리주체의 다양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리주체가 지자체, 기념사업회, 문중 등 다양하게 지정됨에 따라 책임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관리주체의 법적 성격이 지자체,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개인 등 다름에 따라 사업관리방식 및 관리역량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사적지는 총 1457건이며 이를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가 144건, 경기도 234건, 강원도 90건, 전라도 212건 등으로 나타난다. 사적지를 운동성격별로 분류하면 3·1운동과 관련된 사적지가 가장 많고, 의병운동, 사회운동, 학생운동 순으로 나타난다.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분석은 지역의 독립운동 유공자의 현황을 먼저 알아본 뒤 자치구별 사적지 현황 및 보존상태, 현충시설 지정여부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광주의 독립운동 유공자는 2020년 기준으로 총 112명으로 3·1운동과 관련된 유공자가 가장 많고 근소한 차이로 학생운동이 뒤를 잇고 있다. 광주의 독립운동 사적지를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동구가 13건, 남구가 6건, 북구 3건, 광산구 3건, 서구 2건 등으로 분포하고 있다. 전남의 경우 독립운동 유공자는 총 1,139명으로 전체 유공자의 27%가 의병운동 관련 유공자이다. 이는 1906년부터 1909년까지 호남에서 의병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진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남의 사적지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동부권이 42건, 서부권이 54건, 북부권이 49건 등으로 분포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의 문제점과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적지의 보존사례를 조사 후 분석을 통해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재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표지석의 설치 비율이 약 20%에 불과할 정도로 지역주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표지석의 일부가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의견 및 일부 글자가 환경에 의해 변형되어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는 한계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을 위해서 SWOT분석을 진행하여 강약점 및 기회·위협을 진단하여 활용전략에 종합적으로 반영하였다.
      제 4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은 국가보훈처 주관 아래 이뤄지고 있지만 주로 교육자료 및 사적지 탐방이라는 직접적 활용과 MZ세대들을 위시한 활용 방안인 SNS를 이용하여 독립운동가 및 사적지를 홍보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활용 방향을 직접적 활용 방안과 광주·전남의 의향(義鄕) 이미지를 활용한 간접적 활용방안으로 분류하여 모색해보았다. 직접적 활용방안으로는 독립운동가, 유적, 유물, 기록물 등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는‘광주·전남 항일독립운동자료 아카이브 구축’과 메타버스 기술 중 대표적인 AR·VR기법을 활용한 ‘AR스캐닝을 활용한 호남의병 다크투어리즘 개발’이라는 구체적 프로그램안을 제안하였다. 간접적 활용방안으로는 광주·전남의 의향(義鄕)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화폐 디자인 개발과 지역의 독립운동사 및 독립운동가를 기반으로 하는 창작뮤지컬 개발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타 지역의 사례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its beginning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imperialists imposed restrictions on its sovereignty,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launched in Korea had continued until its independence in 1945. The desire for independence from Japan became widespread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wangju and Jeollanam-do. For now, there are 212 historic sit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in both regions. These sites suggest that a variety of independence movements such as cultural movement, social campaign, soldier protest and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ther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also seek various ways to boost effects of utilizing the historic sites.
      Chapter 2 examines how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re understood and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number of honored independence patriots. A historic site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generally refers to a historic plac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or one where relevant building, home, monument and traces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movement, not cultural heritage. First up, the historic sites can be divided up into domestic historic sites and overseas ones. Secondly, they can be grouped based on the aim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Unfortunately, the current historic sites were not preserved, but disappeared. Instead, only posts mark the former presence of historic sites. These problems are attributed to too many institutions in charge of managing these sites. As the government granted the management rights to local government, commemorative organization and families as, management and responsibilities have become difficult to handle. Furthermore, busin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capabilities vary greatly as local government, corporation, non-profit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have different legal positions in managing historic sites. As of 2021, a total of 1,457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are located in South Korea.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are 144 sites in Seoul, 234 sites in Gyeonggi-do, 90 sites in Gangwon-do and 212 sites in Jeolla-do. By movement features, historic sites of the March 1st Movement represent the most part, followed by soldier protest, social campaign and student mo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uthor checked the number of local independence patriots. Also, the authored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 sites in districts, preservation and whether memori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A total of 112 independence patriots, most of whom are those related to the March 1st Movement, lived in Gwangju in 2020. The number of patriots related to student movement is slightly close to that of independence patriots. By district, 13 historic sites are situated in Dong-gu, six in Nam-gu, three in Buk-gu and Gwangsan-gu, respectively, and two in Seo-gu. In the same year, a total of 1,139 independence patriots lived in Jeollanam-do. Patriots related to soldier protest represented 27 percent in the total number of patriots. These numbers are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of soldier protest that had taken place between 1906 and 1909. By district, there are 42 historic sites in eastern Jeollanam-do, 54 sites in western district and 49 sites in northern district.
      Chapter 3 takes a look at the problems of preserving the historic sites and use. The author examined preservation cases. With the findings, the author reviewed problems of preserving the historic sites and what parts are needed for improvement. The findings revealed some limitations that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 less known to local residents given only about 20 percent of posts set up in both district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some letters were eroded by surroundings so these letters are unreadable. In order to make the historic sites available, the author performed SWOT analysis, confirmed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and comprehensively applied them into strategies.
      Lastly, Chapter 4 explores ways to promote use of the historic sites based on actual cases. First, utilizing th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is supervised b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owever, a variety of ways are put into use such as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visiting historic sites, and using online platforms for young millenials and Z generations to promote Korean independent patriots and historic sites. Also, it is 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both direct and indirect use with outstanding local images in both districts. Direct use includes building an archive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based on historical records on independence patriots, sites, relics and documents, and a dark touring program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see local soldiers with metaverse technologies such as AR and VR scanning. While presenting possible options of designing local currency based on outstanding local imag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making creative musical on the local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local independence patriots, the author compared them with other cases developed in other regions as indirect use.
      번역하기

      Since its beginning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imperialists imposed restrictions on its sovereignty,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launched in Korea had continued until its independence in 1945. The desire for independence from Japan beca...

      Since its beginning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imperialists imposed restrictions on its sovereignty,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launched in Korea had continued until its independence in 1945. The desire for independence from Japan became widespread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wangju and Jeollanam-do. For now, there are 212 historic sit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in both regions. These sites suggest that a variety of independence movements such as cultural movement, social campaign, soldier protest and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ther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also seek various ways to boost effects of utilizing the historic sites.
      Chapter 2 examines how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re understood and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number of honored independence patriots. A historic site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generally refers to a historic plac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or one where relevant building, home, monument and traces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movement, not cultural heritage. First up, the historic sites can be divided up into domestic historic sites and overseas ones. Secondly, they can be grouped based on the aim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Unfortunately, the current historic sites were not preserved, but disappeared. Instead, only posts mark the former presence of historic sites. These problems are attributed to too many institutions in charge of managing these sites. As the government granted the management rights to local government, commemorative organization and families as, management and responsibilities have become difficult to handle. Furthermore, busin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capabilities vary greatly as local government, corporation, non-profit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have different legal positions in managing historic sites. As of 2021, a total of 1,457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are located in South Korea.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are 144 sites in Seoul, 234 sites in Gyeonggi-do, 90 sites in Gangwon-do and 212 sites in Jeolla-do. By movement features, historic sites of the March 1st Movement represent the most part, followed by soldier protest, social campaign and student mo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uthor checked the number of local independence patriots. Also, the authored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 sites in districts, preservation and whether memori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A total of 112 independence patriots, most of whom are those related to the March 1st Movement, lived in Gwangju in 2020. The number of patriots related to student movement is slightly close to that of independence patriots. By district, 13 historic sites are situated in Dong-gu, six in Nam-gu, three in Buk-gu and Gwangsan-gu, respectively, and two in Seo-gu. In the same year, a total of 1,139 independence patriots lived in Jeollanam-do. Patriots related to soldier protest represented 27 percent in the total number of patriots. These numbers are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of soldier protest that had taken place between 1906 and 1909. By district, there are 42 historic sites in eastern Jeollanam-do, 54 sites in western district and 49 sites in northern district.
      Chapter 3 takes a look at the problems of preserving the historic sites and use. The author examined preservation cases. With the findings, the author reviewed problems of preserving the historic sites and what parts are needed for improvement. The findings revealed some limitations that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 less known to local residents given only about 20 percent of posts set up in both district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some letters were eroded by surroundings so these letters are unreadable. In order to make the historic sites available, the author performed SWOT analysis, confirmed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and comprehensively applied them into strategies.
      Lastly, Chapter 4 explores ways to promote use of the historic sites based on actual cases. First, utilizing th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is supervised b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owever, a variety of ways are put into use such as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visiting historic sites, and using online platforms for young millenials and Z generations to promote Korean independent patriots and historic sites. Also, it is 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both direct and indirect use with outstanding local images in both districts. Direct use includes building an archive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based on historical records on independence patriots, sites, relics and documents, and a dark touring program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see local soldiers with metaverse technologies such as AR and VR scanning. While presenting possible options of designing local currency based on outstanding local imag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making creative musical on the local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local independence patriots, the author compared them with other cases developed in other regions as indirect u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2. 연구 대상과 방법 3
      • 3. 선행연구 검토 4
      • I. 서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2. 연구 대상과 방법 3
      • 3. 선행연구 검토 4
      • II.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현황 및 분석 10
      • 1.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정의 10
      • 2.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현황 11
      • 3. 광주광역시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15
      • 가. 독립운동 유공자 현황분석 15
      • 나. 독립운동 사적지 현황분석 17
      • 4. 전라남도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20
      • 가. 독립운동 유공자 현황분석 20
      • 나. 독립운동 사적지 현황분석 23
      • III.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보존의 문제점과 활용의 SWOT분석 37
      • 1.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보존의 분석과 문제점 37
      • 2.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 SWOT분석 41
      • Ⅳ.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 45
      • 1.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 사례 검토 45
      • 2.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성화 방안 48
      • 가.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성화 방안 48
      • 1) 광주·전남 항일독립운동자료 아카이브 구축 48
      • 2) AR스캐닝을 활용한 호남의병 다크투어리즘 개발 방안 50
      • 나. 지역 사회 내 의향(義鄕) 이미지 활용 방안 구축 54
      • 1) 지역화폐 디자인으로 활용 54
      • 2) 광주·전남 독립운동사 창작뮤지컬 개발 58
      • Ⅴ. 맺음말 61
      • (참고문헌) 63
      • (Abstract)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