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 비대증은 해부학적으로 심근 근육 세포 비대로 인해 심방 중격과 심벽이 두꺼워져 이완기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심근 질병이다. 심근 비대는 유전적, 환경적 요소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71988
전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수의학과(임상수의학 전공) , 2019. 2
2019
영어
전북특별자치도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n Dogs with Systemic Hypertension : Clinical and Diagnostic Outcome
iv, 35 p.: 삽화; 26 cm.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철
참고문헌 : p. 28-33
I804:45011-00000004965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심근 비대증은 해부학적으로 심근 근육 세포 비대로 인해 심방 중격과 심벽이 두꺼워져 이완기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심근 질병이다. 심근 비대는 유전적, 환경적 요소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심근 비대증은 해부학적으로 심근 근육 세포 비대로 인해 심방 중격과 심벽이 두꺼워져 이완기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심근 질병이다. 심근 비대는 유전적, 환경적 요소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데, 특히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고혈압에 의해 이차적 작용에 의해 심근 비대가 질병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혈압이란 전신 동맥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병적 상태로 진행된 것을 말하며, 개에서는 특발성 고혈압보다 만성신부전, 호르몬성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적 고혈압이 더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장병이 있는 환자에서 다른 질병 특히 만성신부전과 부신피질호르몬 과다 분비증으로 인한 이차적 고혈압으로 심근비대증이 온 환자의 심장 중격과 심실벽 비대의 연관성을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추가적으로 심장 중격과 심실벽에서 어느 부분이 더 영향을 많이 받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동물은 12마리의 심부전 진단을 받은 환자에서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환자로 구성되었다. 개 심근 비대증 진단은 심장초음파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고혈압 측정은 도플러 혈압계 측정을 통해 ACVIM 고혈압 단계 분류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만성 신부전은 혈액 검사를 통한 IRIS 신부전 단계 분류를 통해 이루어졌다. 부신피질 호르몬 과다 분비증은 임상증상과 ACTH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하였다. 검사 결과 12마리 중 11마리가 만성신부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4마리가 부신피질 호르몬 과다 분비증에 이환된 것으로 밝혀졌다. 12마리 중 11마리가 2단계 이상의 심한 고혈압을 보였으며 12마리 모두에서 심장 중격과 심실 벽의 비대가 확인되었다. 또한 심장 중격과 심실 벽의 비대비는 12 마리 중 11마리가 심실 벽의 비대가 더 심하였다.
연구 결과 고혈압과 심근 비대증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혈압이 심하거나, 오래 진행되었을수록 질병 심각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 요인에 대한 샘플 수가 적었으며 통계학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 요인과 질병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평가하기 힘들었던 점, 다양한 변수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깊이 있는 연구를 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장기간의 큰 모집단에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