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교육 인증평가의 핵심인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에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행되었다. 선행연구과 미국대학 평가 사무국의 자료를 통해 CEA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6058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21-3130(1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교육 인증평가의 핵심인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에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행되었다. 선행연구과 미국대학 평가 사무국의 자료를 통해 CEA의 ...
본 연구는 간호교육 인증평가의 핵심인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에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행되었다. 선행연구과 미국대학 평가 사무국의 자료를 통해 CEA의 개념, 장?단점, 단계, 적용 시 주의사 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에 적합한 CEA모형과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CEA 과정은 프로그램학습성과 설정, 학습성과의 가중치 산정, 교육과정에 연계, 루브릭 개발, 평가, 결과 및 성과달성도 분 석,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피드백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단점과 주의사항을 보완하여 시행 지침을 작성하였 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평가 체계를 구축한다면 학생의 성장과 성취에 대한 일관성 있는 평가와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선으로 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pplic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CEA) for program outcome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 Office of Assessment web site reference review on concept, advantage, disadvantage, process, mea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pplic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CEA) for program outcome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 Office of Assessment web site reference review on concept, advantage, disadvantage, process, measure, tool and precaution. The process of CEA is program outcome, calculate weight of program outcome, embed program outcome in curriculum, development a rubric for CEA, assessment, analysis the result and achievement, feedback loop. CEA is vary useful to proof the student personal achievement and program quality improv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행자, "프로그램 학습성과 타당성 관찰을 위한 교과목-임베디드 평가도구 분석" 한국기계가공학회 7 (7): 77-91, 2008
2 이영태, "성찰저널을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42-50, 2013
3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73-197, 2008
4 박윤국,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목 학습성과와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관계 - 실질적인 프로그램 습성과 평가를 지향하며"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87-92, 2010
5 한지영,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코스 임베디드 평가의 적용 가능성 고찰"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96-106, 2009
6 김복남,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20 (20): 154-166, 2014
7 유소영,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4 (44): 129-138, 2014
8 "University of Louisiana Monroe Handbook"
9 E. J. Manton, "The College of Business and Technology's Course Embedded Student Outcomes Assessment Process" 36 (36): 261-269, 2002
10 Bloomsburg University, "TALE Center Outcomes Assessment Essentials"
1 신행자, "프로그램 학습성과 타당성 관찰을 위한 교과목-임베디드 평가도구 분석" 한국기계가공학회 7 (7): 77-91, 2008
2 이영태, "성찰저널을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42-50, 2013
3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73-197, 2008
4 박윤국,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목 학습성과와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관계 - 실질적인 프로그램 습성과 평가를 지향하며"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87-92, 2010
5 한지영,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코스 임베디드 평가의 적용 가능성 고찰"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96-106, 2009
6 김복남,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20 (20): 154-166, 2014
7 유소영,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4 (44): 129-138, 2014
8 "University of Louisiana Monroe Handbook"
9 E. J. Manton, "The College of Business and Technology's Course Embedded Student Outcomes Assessment Process" 36 (36): 261-269, 2002
10 Bloomsburg University, "TALE Center Outcomes Assessment Essentials"
11 Helen Gerretson, "Synopsis of the Use of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a Medium Sized Public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Program"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4 (54): 139-149, 2005
1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Standard of Accreditation"
1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utcome Based Curriculum"
1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Office of Academic Planning & Assessment, Program-Based Review and Assessment: Tools and Techniques for Program Improvement"
15 "Morningside college"
16 J. Roberts, "Making Assessment Work for You: Using Course-Embedded Assessment to Measure Student Learning"
17 Marymount University,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Handbook"
18 H. Gerretson, "Introducing and Evaluating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General Education" 16 (16): 4-6, 2004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Information Session for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20 D. Whitfield, "From University Wide Outcome to Course Embedded Assessment of CS1" 18 (18): 210-220, 2003
21 M. Wilson, "Form Principles to Practice: An Embedded Assesment System" 13 (13): 181-208, 2000
22 Utah State University, "Embedded Learning Assessment"
23 T.J. Seoung, "Educational Evaluation" hakjisa 76-79, 2010
24 Rhoda Cummings, "Curriculum‐embedded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maximum efficiency and minimum disruption" Informa UK Limited 33 (33): 599-605, 2008
25 L. Kelly, "Courses-Embedded Assessment" University Louisiana Monroe
26 Missouri State University, "Courses-Embedded Assessment"
27 J. L. Ammons,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Evaluation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20 (20): 1-19, 2005
28 D. Farmer, "Course-Embedded Assessment: A Catalyst for Realizing the Paradigm Shift from Teaching to Learning" 16 (16): 199-211, 1999
29 Y. K. Park, "Course Embedded Program Outcome Assesment-Based on the Exams and the Reports" 9 (9): 62-66, 2006
30 G, Y. Lee, "Course Embedded Assess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n NCS base Curriculum" 57-71, 2014
31 L. M. Joseph, "Course Embedded Assessment" 1 (1): 57-67, 2004
32 K. Gentemann, "Course Embedded Assessment" Southern Association of Colleges and Schools
33 "Classroom Assessment and Course-Embedded Assessment–What’s the Difference?"
34 Purdue University, "Assessment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35 C. S. Kim, "A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Engineering School's Program Assessment" 2 (2): 79-99, 2008
36 J. G. Kim, "A Development on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Model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10 (10): 67-79, 2014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흑연/폴리프로필렌/액정고분자 복합 재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n차 반응속도 모델을 적용한 단기추진제의 저장수명 예측
액정 고분자/에틸렌-아크릴산 이오노머 블렌드의 반응상용화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