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과 개선 방향 :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Online Retraining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Focusing on the <Korean Culture Utilization Teaching Method>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65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문화 교육 영역에서 한국어 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문화 교육 영역에서 한국어 교사를 위해 어떤 내용이 더 보완되고,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가운데 어떤 요소가 더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여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 문화 활용 교수법 교과목을 중심으로 문화 영역 PCK에 근거하여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이론적 설명과 사진이 함께 제시되면서 내용 정리가 잘 되어 있었으며, 교과 내용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에 대한 부분이 교사가 이해하기 쉽도록 재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현재 체계적이지 않은 지식 체계의 전달로 인해 실제적인 교수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문성이 제대로 갖춰질지 의문스러운 상황이었다. 특히, 상황적 지식과 학습자의 문화 지식, 학습 평가 지식 등에 대해서는 온라인 재교육에서도 여전히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online re-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ability to teach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was suggested by exploring which content should be further su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online re-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ability to teach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was suggested by exploring which content should be further supplemente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cultural and educational areas and which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mo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PCK in the cultural field, focusing on the teaching methods for utilizing Korean culture currently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hotographs were presented together in terms of formality, the contents were well organized, and the parts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knowledge provided a re-education environme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easily. However, it was questionable whether the expertise gained through practical teaching activities would be properly provided due to the delivery of an unsystematic knowledge system. In particular, concerning the contextual knowledge, the learner’s cultural knowledge, and the knowledge of learning evalu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online retraining still did not provide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online re-training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more specifically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4. 결론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경,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2 원미진,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85-105, 2009

      3 박민신,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향 : 온라인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329-349, 2019

      4 강현주,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3 : 119-144, 2018

      5 강소영,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인식 및 구현 양상 연구 : 문화교육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6 신은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민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발달을 위한 ‘CoRe(Content Representation)’ 개발 연구" 한성어문학회 43 : 103-129, 2020

      8 이승연, "한국어 교사 문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국내 대학 부설기관의 경력 교사 대상 초점집단면접을 기반으로 -" 우리어문학회 (55) : 487-522, 2016

      9 이승연, "한국 문화 교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회 (52) : 347-369, 2013

      10 김승환,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1 이진경,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2 원미진,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85-105, 2009

      3 박민신,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향 : 온라인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329-349, 2019

      4 강현주,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3 : 119-144, 2018

      5 강소영,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인식 및 구현 양상 연구 : 문화교육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6 신은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민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발달을 위한 ‘CoRe(Content Representation)’ 개발 연구" 한성어문학회 43 : 103-129, 2020

      8 이승연, "한국어 교사 문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국내 대학 부설기관의 경력 교사 대상 초점집단면접을 기반으로 -" 우리어문학회 (55) : 487-522, 2016

      9 이승연, "한국 문화 교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회 (52) : 347-369, 2013

      10 김승환,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11 이승연,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에 관한 다각적 검토-교사의 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회 (55) : 219-247, 2014

      12 오지혜, "문화 능력의 재개념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연구 - 문화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75-97, 2013

      13 배재원,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 방향 연구 - 한국어 교사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연구원 31 : 223-258, 2016

      14 박환선,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성요소를 고려한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의개발 방향 및 단원구성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5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h in Teaching" 15 (15): 4-14, 1986

      16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57):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