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로봇 디자인에서 의인화 기법의 활용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The Usage of Anthropomorphic Forms in Robot Design and the Method of Eval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7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takes only few seconds to find an artifact that has anthropomorphic form. There are numerous examples illustrating human's shape in daily life products. Usage of anthropomorphic form has been a basic design strategy especially when industrial desig...

      It takes only few seconds to find an artifact that has anthropomorphic form. There are numerous examples illustrating human's shape in daily life products. Usage of anthropomorphic form has been a basic design strategy especially when industrial designers design intelligent service robots because most of robot features were basically from human. Therefore, it's necessary to use anthropomorphic form not only in appearance design but also in interaction design. To use anthropomorphic form effectively, it needs to measure how much the artifact is similar to human, and then to evaluate whether the usage of anthropomorphic form fits to the artifact. This study's goal was to set up an evaluation standard for anthropomorphism for robot design. We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standard. Those are 'anthropomorphic form in appearance', 'anthropomorphic form in Human-Robot Interaction', and 'accordance in two former criteria'. We expect that when designers put an evaluation step of anthropomophism in their design process of robots, robots might become more preferred by users, and easier to understand how to interact wi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생활 용품에서 최근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특성을 직간접적으로 제품 디자인에 활용한 사례를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특히 로봇 디자인의 경우는 의인화가 모...

      일상생활 용품에서 최근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특성을 직간접적으로 제품 디자인에 활용한 사례를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특히 로봇 디자인의 경우는 의인화가 모든 디자인의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외형 디자인뿐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있어서도 의인화 기법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의인화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디자이너가 제품이 의인화된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인화 기법의 활용도를 평가해야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본 연구는 지능형 로봇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의인화 기법 적용 사례 분석 및 의인화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근거로 하여 의인화 기법의 활용 평가 기준을 수립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미지 카드를 활용한 로봇 외형의 의인화 정도 및 표정변화를 통한 로봇 인터랙션의 의인화 정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통해서 의인화 기법의 활용도는 '형태의 의인화', '인터랙션의 의인화', '형태와 인터랙션의 의인화 조화 정도'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평가 기준을 로봇 디자인 과정의 하나의 평가 방법으로 활용하면 로봇에 대한 사용자 호감도 증가 및 사용법이 복잡한 로봇 제품을 쉽고 직관적이게 접하게 만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의인화 기법
      • 3. 의인화 기법ㅂ의 평화 기준 개발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의인화 기법
      • 3. 의인화 기법ㅂ의 평화 기준 개발
      • 4. 로봇의 의인화 기법 적용 및 평가
      • 5. 평가 반영을 위한 로봇의 의인화 정도 조절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