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17세기 초 몽골을 통한 러시아의 중국 탐사가 갖는 세계사적 의미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ussia’s Exploration of China through Mongolia in the Early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5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초 동진 과정에서 러시아가 어떻게 몽골과 관계를 맺고, 중국에 대한 인식을 확대해 갔는지, 그리고 어떤 경로로 중국에 도착했는지 살펴봄으로써 러시아의 대중국 ...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초 동진 과정에서 러시아가 어떻게 몽골과 관계를 맺고, 중국에 대한 인식을 확대해 갔는지, 그리고 어떤 경로로 중국에 도착했는지 살펴봄으로써 러시아의 대중국 탐사가 세계사 특히 중앙유라시아 역사에서 갖는 의미를 찾는 것이다.
      17세기 초 러시아는 베르골롭, 튜메네츠의 탐사를 시작으로 중국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마침내 1618년 페틀린 탐사대가 몽골을 경유해 명의 수도 북경에 도착했다. 페틀린이 여행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당대 지리학 수준에서 중요한 업적이었고, 그의 이름과 성과는 유럽에 널리 알려졌다. 러시아 연구자들은 탐사의 추진에서 영국인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또한 그 결과를 유럽이 진행한 북방항로 탐사의 결정판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러시아의 중국 발견이 유럽의 대항해 시대와 시기적으로 맞물려 있다고 해도, 그것은 유럽이 주도한 것이 아니라 중앙유라시아 국가들의 팽창으로 인한 결과였다.
      17세기 초 러시아는 동쪽으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서시베리아에 근거지를 마련했다. 그리고 러시아뿐 아니라, 몽골도 목초지를 확대하기 위해 서시베리아 쪽으로 팽창하고 있었다. 바로 이런 과정에서 러시아와 몽골의 조우가 이루어졌고, 러시아인들은 몽골인들로부터 중국에 관한 정보를 접하게 되었고, 이는 러시아 제국최초의 중국 방문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러시아인들이 직접 탐사를 통해 중국으로 가는 여행로를 찾아낸 것이 아니라, 몽골인들이 러시아인들을 중국까지 안전하게 데려다 준 것이었다.
      러시아인들의 북경 방문이 만든 연결선은 향후 러시아와 몽골 그리고 중국을 잇는 선이었지, 결코 서유럽까지 연결되는 선은 아니었다. 이는 ‘13세기 세계체제’를 완성한 몽골제국이 쇠퇴한 이후 분열되고 고립되었던 중앙유라시아의 거대한 공간들이 새롭게 부상하는 정치체들을 중심으로 접촉하고 연결되기 시작하는 획기적 사건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Russia’s exploration of China in the early 17th century.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e Moscow government received information about China from Mongol sources, and shortly t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Russia’s exploration of China in the early 17th century.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e Moscow government received information about China from Mongol sources, and shortly thereafter dispatched Ivan Belogolov, Vaska Tyumenets and Ivan Petlin to explore China. In 1618, the Petlin expedition finally arrived in Beijing, the capital of the Ming Dynasty, through a route which had traversed Mongolia. Russian historians tend to emphasize the role of the British diplomats who persistently asked for the exploration of China during the course the exploration, viewing it as a major result of the European exploration of the Northern Route.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Russia cossacks established a base in West Siberia, and thereby bega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ir territory eastwards. Concurrently, Mongolians had also begun the process of expanding outwards towards West Siberia, with the goal of expanding their pasture lands to support their livestock. Through these overlapping territorial pursuits, Russians and Mongolians first encountered each other, leading to the Russians first obtaining information about China from the Mongolians, and resulting in the Russian Empire's first visit to China. However, it was only with the Mongolians’ assistance that the Russians were able to safely arrive at China, as they had never previously directly explored China through previous expeditions.
      Above all, the Russians’ first visit to China resulted in a historical network that tied Russia, Mongolia, and China, which existed outside of the landscape of Western European politics or interference. These epoch-marking events resulted in the interlinking of the massive territories of Central Eurasia, which from the beginning of the Mongol Empire's decline, had remained divided and isolate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ji-bae@hanmail.n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kelton R. A., "탐험 지도의 역사" 새날 2004

      2 宮脇淳子, "최후의 몽골유목제국" 백산출판사 2000

      3 Perdue Peter C., "중국의 서진 청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길 2014

      4 Abu-Lughod, "유럽 패권이전. 13세기세계체제" 까치 2006

      5 Grousset René,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6 Barfield, Thomas J., "위태로운 변경 기원전 221년에서 기원후 1757년까지의 유목제국과 중원" 동북아역사재단 2009

      7 박지배, "수용과 혼종을 통한 공존의 모색: 네르친스크 회담" 역사학회 (246) : 31-73, 2020

      8 杉山正明, "몽골세계제국" 신서원 1999

      9 Riasanovsky Nicholas V., "러시아의 역사 상" 도서출판 까치 2011

      10 Иргит, Ч. К., "Этнографические сведения из Рссспроса Василия Тюменца и Ивана Петрова" 5 (5): 2009

      1 Skelton R. A., "탐험 지도의 역사" 새날 2004

      2 宮脇淳子, "최후의 몽골유목제국" 백산출판사 2000

      3 Perdue Peter C., "중국의 서진 청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길 2014

      4 Abu-Lughod, "유럽 패권이전. 13세기세계체제" 까치 2006

      5 Grousset René,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6 Barfield, Thomas J., "위태로운 변경 기원전 221년에서 기원후 1757년까지의 유목제국과 중원" 동북아역사재단 2009

      7 박지배, "수용과 혼종을 통한 공존의 모색: 네르친스크 회담" 역사학회 (246) : 31-73, 2020

      8 杉山正明, "몽골세계제국" 신서원 1999

      9 Riasanovsky Nicholas V., "러시아의 역사 상" 도서출판 까치 2011

      10 Иргит, Ч. К., "Этнографические сведения из Рссспроса Василия Тюменца и Ивана Петрова" 5 (5): 2009

      11 Алексеев М. П., "Сибирь в известиях западноевропейских путешественников и писателей. XIII-XVII вв" 1932

      12 "Сибирские летописки"

      13 Лисовская, Н. А., "Сборник материалов XV Международной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ой конференции" 2015

      14 Шастина, Н. П., "Русско-монгольские посольские отношения XVII в" 1958

      15 "Русско-монгольские отношения 1607-1636. Сборник документов" 1959

      16 Морозова, Е. О., "Русско-китайские торгово-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в конце XVI-середине XVII века. Диссертация канд. Ист. Наук" 2013

      17 Кушнерик, Р. А., "Русско-джунгарские дипло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начало 17-50-е гг. 18 в" 2008

      18 Чимитдоржиева, Л. Ш., "Русские посольства к монгольским Алтан-ханам. 1608-1681 гг. Диссертация канд. ист. наук" 2003

      19 Очерки истории СССР, "Период феодализма XVII в" 1955

      20 Демидова, Н. Ф., "Перв ые русские дипломаты в Китае (“Роспись” И. Петлина и статейный список Ф. И. Байкова)" 1966

      21 Стариков, Г. Н., "Отчет И. Петлина о поездке в Китай как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2 (2): 2015

      22 Бакунин, В. М., "Описание калмыцких народов, а особливо из них торгоутс кого и поступок их ханов и владельцев" 1995

      23 Русско-кита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в XVII веке, "Материалы и документы. т.1. 1608∼1683 гг" 1969

      24 Масса Исаак, "Краткое известие о Московии в начале XVII в" 1937

      25 Кудрявцев, О. Ф., "Карта Московской Руси Антона Вида и Ивана Ляцкого" 2 (2): 2017

      26 ТАСС.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Как казак Иван ходил до китайсково Крыму. Ровно 400 лет назад первое посольство из России прибыло в Пекин"

      27 Кулишер, И. М., "История русской торговли и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2003

      28 Покотилов, Д., "История восточных монголов в период династии Мин 1368-1644" 1893

      29 Павленко Н. И.,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1861 года" 1996

      30 Златкин, И. Я., "История Джунгарского ханства (1635-1758)" 1983

      31 Очиров, А. В., "Из истории русско-калмыцких отношений: шертные записи XVII в., Известия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4-1 (4-1): 2012

      32 Герберштейн Сигизмунд, "Записки о Московии, т.2" 2008

      33 "Записки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Русского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по отделению этнографии, т.10: Путешествие через Сибирь от Тобольска до Нерчинска и границ Китая русского посланника, вып.1"

      34 Мясников, В. С., "Договорными статьями увтердили. Дипломатическая истори я русско-китайской границы XVII-XX вв" 1997

      35 Моисеев, В. А., "Джунгарское ханство и казахи XVII-XVIII вв" 1991

      36 Лебеде, Д. М., "География в России XVII в. (допетровской эпохи)" 1949

      37 Панюкова, Г. А., "Восстановление экспедиции Ивана Петлина (400-летию установления дипломатических отношений России с Китаем)" 4 (4): 2016

      38 Покровский, С. А., "Внешняяя торговля и внешняя торговая политика России" 1947

      39 Чимитдоржиев, Ш. Б.,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Монголии и России в 17-18 вв" 1978

      40 Лабутина, Т. Л., "Англичане в допетровской России" 2011

      41 Morgan, David, "The Mongols" 1986

      42 Сибирский вестник, "1818 год, часть вторая" 1818

      43 박지배, "16-18세기 초 러시아 대서구 무역의 특징: 아르한겔스크 무역을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120 : 345-38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서양사론
      외국어명 : The Western History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6 0.49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