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정치교육을 통한 한국 시민교육 고찰 : 독일연방정치교육원의 웹페이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Implications on Korean Civic Education Based on Political Education in Germany: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Website of the Federal Agency for Civic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7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정치교육의 중심인 연방정치교육원의 정치교육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터해 한국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독일연방정치교육...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정치교육의 중심인 연방정치교육원의 정치교육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터해 한국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독일연방정치교육원의 정치교육 전반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연방정치교육원의 웹페이지를 내용분석했다. 이 사이트는 다양한 형태와 폭넓은 주제의 자료들이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어 과거의 간행물뿐만 아니라 최신 기사와 콘텐츠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2-3년마다 독일연방정치교육원의 현황과 주요 활동, 주안점 등을 포함한 연간활동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결과 독일연방정치교육원은 규범적, 실천적, 합헌적 정치교육을 시행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시민들의 역량을 기르고 정치와 역사, 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역할을 오랫동안 훌륭하게 수행해오고 있다. 사명이 정치적 이슈에 대한 이해와 민주적 의식을 증진하고 정치적 참여를 위한 태세를 강화하는 것으로 독립적인 운영과 체계적인 활동으로 정파적⋅학술적 균형을 유지하며, 여러 매체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회적 배경과 연령대의 대상에 맞춰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역량을 기르기 위한 정치교육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결론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성의 개발을 위해 체계적이고 다원적인 교육을 이끌어갈 수 있는 시민교육 기관과 체제가 필요하다. 둘째, 시민교육의 대상을 넓히고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실천적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내용을 교육대상에 맞게 구성해야 한다. 셋째, 시민의 정치적⋅사회적 참여 능력을 기르기 위해 참여와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활동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dentify implications on the civic education of Korea based on an analysis of the directionality and trend of German political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website of...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dentify implications on the civic education of Korea based on an analysis of the directionality and trend of German political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website of the Federal Agency for Civic Education(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which provides comprehensive and representative information about the political education of Germany. The website has been updating not only past publications but also latest articles and contents, and regularly publishes annual activity reports every two to three years available for free. Results The Federal Institute of Political Education has l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and managing normative, practical, and constitutional political education, and encouraging citizens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and participate with interest in politics, history, and society. Its mission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political issues and democratic awareness and to strengthen posture for political participation. The institute maintains a political and academic balance through independent operation and systematic activities, and implements political education activities to develop critical and practical capabilities of citizens from various social backgrounds and age groups. Conclusions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or the civic education of Korea. First, a systematic and multi 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is needed. Second, citizens of various statuses and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as subjects of civic education and contents that are necessary and suitable for each target group should be organized in educational projects and curriculum. Third, in order to foster citizens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practical and provide citizens sufficient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참여연대 (34) : 99-134, 2019

      2 양흥권,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운영기반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학연구원 (67) : 123-155, 2017

      3 이범웅, "한국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9) : 33-65, 2015

      4 김상무, "한국과 독일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비교 : 사회과와 정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9-54, 2020

      5 김미경, "한국과 독일의 정치교육 비교 -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5 (15): 33-64, 2009

      6 서현진, "한국 정당연구소의 정치교육 기능에 대한 연구: 2006-2010년 정치교육 활동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01-130, 2012

      7 정철민, "한국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시민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175-192, 2017

      8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9 박상영,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2003-2020)"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33, 2020

      10 박상준,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분석" 93-100, 2019

      1 장은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참여연대 (34) : 99-134, 2019

      2 양흥권,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운영기반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학연구원 (67) : 123-155, 2017

      3 이범웅, "한국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9) : 33-65, 2015

      4 김상무, "한국과 독일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비교 : 사회과와 정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9-54, 2020

      5 김미경, "한국과 독일의 정치교육 비교 -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5 (15): 33-64, 2009

      6 서현진, "한국 정당연구소의 정치교육 기능에 대한 연구: 2006-2010년 정치교육 활동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01-130, 2012

      7 정철민, "한국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시민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39): 175-192, 2017

      8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9 박상영,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2003-2020)"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33, 2020

      10 박상준,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분석" 93-100, 2019

      11 정상우 ; 강은영,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95-123, 2019

      12 설규주 ; 정원규,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원칙 연구 - 한국형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위한 시론적 제안과 적용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229-260, 2020

      13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8

      14 옥일남, "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7

      15 정재헌 ; 임세영 ; 강현정, "평생교육 참여유형별 시민참여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 (9): 331-340, 2018

      16 진종순, "통일교육의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독일 연방정치교육센터의 사례를 바탕으로" 정부혁신연구소 12 : 1-21, 2016

      17 정호경, "재통일 전후의 독일의 정치교육 경험과 그 시사점" 한국공법학회 45 (45): 211-230, 2016

      18 정연미 ; 윤순진, "원자력발전에 대한 독일 시민교육 -정치교육원의 웹페이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07-136, 2014

      19 독일연방정치교육원, "연간보고서 2017-2018"

      20 독일연방정치교육원, "연간보고서 2014-2016"

      21 권진욱, "시민사회의시민교육 체계 구축 과정 연구 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1-203, 2016

      22 이해주, "시민교육 현장 지침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0

      23 조찬식 ; 한혜영,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 16 (16): 133-152, 2005

      24 해지미, "브랜드 웹사이트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 특징에 관한 연구-음료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25 심성보,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민주시민교육" 북멘토 2018

      26 조철민, "민주적 거버넌스는 어떻게 실현 되는가: 독일 연방정치교육원과 스웨덴 성인교육위원회 사례를중심으로" 한국NGO학회 12 (12): 1-32, 2017

      27 손병노, "민주시민교육의 쟁점과 학교의 역할" 2016 (2016): 23-32, 2016

      28 최항석 ; 김성길, "미래 공동체를 위한 안드라고지로서 시민교육의 재고(再考)"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21-39, 2020

      29 홍은영 ; 최치원, "문화적 실천으로서 독일의 정치교육 혹은 민주시민교육 - 제도적 이상과 현실" 인문학연구원 (17) : 289-320, 2016

      30 최영돈, "독일통일과 장기적 과정으로서의 사회통합: 독일 연방정치교육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5 (5): 89-109, 2014

      31 송창석, "독일의 정치교육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민주시민교육지원시스템 구축방향을 중심으로" 16 : 277-300, 2005

      32 신두철, "독일의 다원주의적 정치교육의 의미와 체계 : 연방정치교육원을 중심으로" 3 (3): 285-308, 2005

      33 "독일연방정치교육원 웹페이지"

      34 홍은영, "독일 정치교육의 현황과 과제" 2015 (2015): 51-65, 2015

      35 안성경, "교육에서 정치적 중립성이란 무엇인가? - 독일 바이텔스바흐 합의의 함의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0 (10): 25-38, 2017

      3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공공기관홈페이지 구축운영지침서 2003"

      37 황기식,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독일 통일교육과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유럽학회 33 (33): 227-250, 2015

      38 이선우, "COVID-19 전⋅후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C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