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 복음이 들어온 이래 교회는 국민들의 불우한 삶의 현장에 동참하여 왔다. 교회는 병원을 세우고,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영농기술을 보급하고, 육아원. 양로원. 장애인복지기관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03313
인천 : 聖山孝大學院大學校, 2007
학위논문(석사)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338.9 판사항(4)
인천
iii, 74p. ; 26cm
참고문헌: p. 69-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 복음이 들어온 이래 교회는 국민들의 불우한 삶의 현장에 동참하여 왔다. 교회는 병원을 세우고,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영농기술을 보급하고, 육아원. 양로원. 장애인복지기관을...
한국사회에 복음이 들어온 이래 교회는 국민들의 불우한 삶의 현장에 동참하여 왔다. 교회는 병원을 세우고,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영농기술을 보급하고, 육아원. 양로원. 장애인복지기관을 설립하는 등의 사회봉사활동을 활발히 전개 하였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사회복지를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봉사의 사명을 소홀히 하여 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한국교회가 전도와 교육의 사명을 수행하는데 치중한데 비하여 사회봉사의 사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미약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벌일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성장 중심의 선교에 치우쳐서 가지고 있는 막대한 자원이 사장되고 있다. 교회는 그 지역사회의 정치, 사회, 경제적인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진 개인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람들을 위하여 세워진 기관으로 지역사회 안에 있으며 지역사회의 한 부분이다.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는 인력과 재정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공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므로 많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교회의 사회복지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교회는 교회 본연의 사명을 깨닫고, 사장되어 있는 자원을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먼저 교회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교회와 지역사회복지와의 관계성, 교회복지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하여, 후반부에서는 교회복지 증진을 위한 교회자원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기술하고 교회가 지역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교회자원 활용방안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