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왕의 별 북극오성을 형상화한 무열왕릉 = King Muyeol's Tomb Representing Five Polest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9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주의 선도산 기슭, 무열왕릉 위쪽에 있는 거대한 고분 네 기는 아직까지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것은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사람을 묻은 고분이 아니라 무열왕릉과 ...

      경주의 선도산 기슭, 무열왕릉 위쪽에 있는 거대한 고분 네 기는 아직까지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것은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사람을 묻은 고분이 아니라 무열왕릉과 함게 북극오성을 지상에 표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봉분으로 생각된다.
      네 봉분은 오래 전부터 조산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봉분 사이의 간격, 봉분의 크기 등은 제왕의 상징인 북극오성의 배열을 닮아 있다. 그러므로 네 봉분은 북극오성의 태자, 제, 서자, 후궁을 가리키며 무열왕릉은 하늘의 중심인 천추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네 봉분은 무열왕릉의 일부분이다.
      예전 경주 첨성대나 평양 첨성대에서는 하늘의 별이 지상의 우물에 떨어지거나 빛을 내려 위대한 인물이 탄생한다는 이야기를 표현하였다. 그러나 통일신라의 종묘 유적이나 개성첨성대는 제왕의 탄생이 북극오성이 우물에 빛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하늘의 삼태육성에 품어져 그 잉태된 영이 산을 타고 지상으로 강림하는 이야기로 바뀌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아마도 새롭게 중대 왕실을 연 무열왕때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 증거물이 바로 서악동 고분군이다. 그리고 무열왕릉을 포함한 다섯 봉분은 탄강을 표현한 것일 뿐 아니라 죽음으로 승천한 것을 동시에 표현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o on earth were buried in the four old huge tombs at the east foot of Mt. Seondo(仙桃山) in Gyeongju? Are they royal tombs? It has not been made clear. Maybe they are not old tombs but artificial mounds which represented five polestars including ...

      Who on earth were buried in the four old huge tombs at the east foot of Mt. Seondo(仙桃山) in Gyeongju? Are they royal tombs? It has not been made clear. Maybe they are not old tombs but artificial mounds which represented five polestars including King Muyeol's tomb(武烈王陵) near the four tombs. They had been known for artificial mounds till the 19th century. The dispositon and the size of five tombs including King Muyeol's tomb have many points of likeness with that of five polestars(北極五星) which was the celestial symbol of King. Four tombs represents the Crown Prince(太子), the Emperor(帝), the Son of the Imperial Concubine(庶子) and the Imperial Concubine(后宮). King Muyeol's tomb represents the Celestial Pivot(天樞). To be exact, four tombs are the parts of King Muyeol's tomb.
      According to old Korean tale concerning Cheomseongdae(瞻星臺) in Gyeongju and Pyeongyang built in the before the mid-7th century, the star in the sky shed light on well and it gave birth to a great person such as king or queen. According to the new tale concerning royal shrine built in the late 8th century and Cheomseongdae in Gaeseong built in the 10th century, the five polestars shed light on Samtaeyukseong(三台六星) and it gave birth to the spirit of king or queen, and the spirit came down along the ridge of the holy mountain so the king or queen was born. When was the story changed?
      Maybe it was changed in the late 7th century. Five huge tomb representing five polestars prove it. King Muyeol buried in the last tomb representing celestial pivot who was the founder of the royal house of the Unified Shilla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서악동 고분군에 대한 지금까지의 견해
      • Ⅲ. 무열왕릉과 네 봉분의 관계
      • Ⅳ. 하늘에서 내려와 하늘로 돌아간 무열왕
      • Ⅴ. 맺음말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서악동 고분군에 대한 지금까지의 견해
      • Ⅲ. 무열왕릉과 네 봉분의 관계
      • Ⅳ. 하늘에서 내려와 하늘로 돌아간 무열왕
      • Ⅴ. 맺음말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준혁, "흠정의상고성에 실린 별들의 동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이기백, "한국 풍수지리설의 기원" 일조각 (14) : 1994

      4 정연식, "평양 첨성대의 서사구조와 연개소문의 탄생" 한국역사연구회 (79) : 231-269, 2011

      5 정연식, "통일신라의 종묘 건축과 종묘제의 변화 -계림 북쪽의 대형건물 유구와 관련하여-" 한국사연구회 (153) : 77-125, 2011

      6 E. Slawik, "우주로 가는 별자리 지도" 이치 2008

      7 유홍준, "완당평전" 학고재 (1) : 2002

      8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2(신라1․가야편)" 1992

      9 정연식, "신라의 태조 미추왕과 은하수 星漢" 한국고대사학회 (62) : 207-251, 2011

      10 강인구, "신라왕릉의 재검토(1)" 41 : 1984

      1 전준혁, "흠정의상고성에 실린 별들의 동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2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3 이기백, "한국 풍수지리설의 기원" 일조각 (14) : 1994

      4 정연식, "평양 첨성대의 서사구조와 연개소문의 탄생" 한국역사연구회 (79) : 231-269, 2011

      5 정연식, "통일신라의 종묘 건축과 종묘제의 변화 -계림 북쪽의 대형건물 유구와 관련하여-" 한국사연구회 (153) : 77-125, 2011

      6 E. Slawik, "우주로 가는 별자리 지도" 이치 2008

      7 유홍준, "완당평전" 학고재 (1) : 2002

      8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2(신라1․가야편)" 1992

      9 정연식, "신라의 태조 미추왕과 은하수 星漢" 한국고대사학회 (62) : 207-251, 2011

      10 강인구, "신라왕릉의 재검토(1)" 41 : 1984

      11 정연식, "선덕여왕과 성조(聖祖)의 탄생, 첨성대" 한국역사연구회 (74) : 299-389, 2009

      12 최병헌, "도선의 생애와 나말여초의 풍수지리설" (11) : 1975

      13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0

      14 이문규,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15 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서악지역지표조사보고서" 1994

      16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황남동 대형건물지" 2009

      17 박광열, "경주 화곡리 제단 유적" 성림문화재연구원 2008

      18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개성 만월대" 2010

      19 "高麗史"

      20 金正喜, "阮堂全集"

      21 이근직, "花溪集 羅陵眞贗說 譯註" (14) : 1995

      22 柳宜健, "花溪集"

      23 정연식, "王建 탄생의 落星 설화와 개성 첨성대" 한국중세사학회 (30) : 311-358, 2011

      24 전덕재, "東京雜記의 편찬과 그 내용" (19) : 2001

      25 朝鮮總督府, "朝鮮金石總覽(上)" 1919

      26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 1917

      27 "晉書"

      28 안상현, "星鏡에 실린 별들의 同定" 18 (18): 1996

      29 今西龍, "慶州聞見雜記(1926), In 新羅史硏究" 近澤書店 1933

      30 "史記"

      31 "三國遺事"

      32 "三國志"

      33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