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ㅸ’의 음가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5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ㅸ’은 초성 17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訓民正音』 ‘예의’에 순경음에 대한 규정이 있고, ‘제자해’에 음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다. ‘ㅸ’의 음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

      ‘ㅸ’은 초성 17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訓民正音』 ‘예의’에 순경음에 대한 규정이 있고, ‘제자해’에 음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다. ‘ㅸ’의 음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양순유성마찰음 /𝛽/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그러나 초성 17자에 포함되지 못하고 사용 시기가 20년을 넘지 못하며 각자병서, ‘ㅭ’과 같은 인위적인 표기와 비슷한 시기에 폐기된 것을 볼 때 인위적인 표기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순경음에 대한 제자해의 음가 설명이 한자음을 대상으로 하는 ‘飜譯老乞大朴通事 凡例’에서의 설명과 유사한 것을 보면 ‘ㅸ’의 음가는 /w/일 가능성이 높다. 『鷄林類事』, 『朝鮮館譯語』와 같은 차자표기 자료에서도 ‘ㅸ’의 존재를 발견할 수 없으며, ‘ㅸ’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단어가 복합어로 분석된다는 점에서도 ‘ㅸ’을 기저 음소로 보기는 어렵다. 음운론적으로는 ‘ㅂ’과 ‘ㅸ’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 못하므로 ‘ㅸ’을 변이음으로 볼 수 없고, 또한 ‘ㅸ’이 ‘ㅂ’과 최소대립쌍을 이루지 못하므로 ‘ㅸ’을 음소로 보기도 어렵다. 오히려 ‘쉽다’의 파생부사가 ‘쉬’가 아닌 ‘수’로 나타나는 점, ‘*샙 + -이’의 구성이 ‘*새’가 아닌 ‘사’로 표기되는 점 등은 ‘ㅸ’이 /w/의 음가를 가질 때에만 설명이 가능하므로, ‘ㅸ’은 기저의 /p/가 [w]로 약화된 현상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인위적인 표기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ㅸ’ doesn’t belong to onset characters, but there are the explanation of sungjeong-um in ‘yeui’ and ‘jejahae’. This character had been used for fifteen years and thereafter changed to ‘ㅗ’, ‘ㅜ’ or vanished. ‘ㅸ’ has bee...

      ‘ㅸ’ doesn’t belong to onset characters, but there are the explanation of sungjeong-um in ‘yeui’ and ‘jejahae’. This character had been used for fifteen years and thereafter changed to ‘ㅗ’, ‘ㅜ’ or vanished. ‘ㅸ’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but the phonetic value of ‘ㅸ’ has not been decided yet. It is general theory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voiced bilabial fricative /𝛽/. But It is likely for ‘ㅸ’ to be artificial character, because it had been used for fifteen years. While not part of onset characters, ‘ㅸ’ had been used in native word notation. It also raise the posobillity of artificial character. In terms of the phonetic value, as it is similar for two descriptions, Jejahae and Beonyeok-Nogeoltai-Paktongsa-Beomlye, it is likely for the phonetic value of ‘ㅸ’ to be same, in the case of native word and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en it is almost certainly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w/. In terms of phonology, as the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ㅂ’ and ‘ㅸ’ isn’t established, it is impossible for ‘ㅸ’ to be allophone. As the minimal pair of ‘ㅂ’ and ‘ㅸ’ isn’t established, also it is impossible for ‘ㅸ’ to be phoneme. In addition, there are some grounds to assure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w/. First, the derivational adverb of ‘suipta’ isn’t ‘suibi’ but ‘subi’. Second, the combination of ‘sap’ and ‘-i’ isn’t ‘sabi’ but ‘*saibi’. These are evidence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ᄫ’의 음가설
      • 3. 쟁점별 고찰
      • 4. 결론
      • 요약
      • 1. 서론
      • 2. ‘ᄫ’의 음가설
      • 3. 쟁점별 고찰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희, "「阿彌陀經諺解活字本」에 대하여" 一潮閣 1980

      2 강신항, "「朝鮮館譯語」의 寫音에 對하여" 光文社 1974

      3 박동규, "「ᄫ」과 非字母-譯音上의 한 原則" 국어국문학회 93 : 27-56, 1985

      4 남광우, "「:‧니 :‧리 :‧」硏究" 국어국문학회 24 : 22-28, 1961

      5 유창돈, "李朝國語史硏究" 二友出版社 1964

      6 윤황애, "李朝初期 文獻에 나타난 ᄫ의 子音體系上의 位置" 이화여대 4 : 189-200, 1962

      7 임영관, "柳禧와 周時經의 言語理論的 連繫性" 홍익대 6 : 5-27, 1998

      8 백두현,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硏究" 태학사 1992

      9 임용기, "훈민정음의 한자음 표기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인문학연구원 96 : 5-44, 2012

      10 권재선,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중세음운론" 우골탑

      1 안병희, "「阿彌陀經諺解活字本」에 대하여" 一潮閣 1980

      2 강신항, "「朝鮮館譯語」의 寫音에 對하여" 光文社 1974

      3 박동규, "「ᄫ」과 非字母-譯音上의 한 原則" 국어국문학회 93 : 27-56, 1985

      4 남광우, "「:‧니 :‧리 :‧」硏究" 국어국문학회 24 : 22-28, 1961

      5 유창돈, "李朝國語史硏究" 二友出版社 1964

      6 윤황애, "李朝初期 文獻에 나타난 ᄫ의 子音體系上의 位置" 이화여대 4 : 189-200, 1962

      7 임영관, "柳禧와 周時經의 言語理論的 連繫性" 홍익대 6 : 5-27, 1998

      8 백두현,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硏究" 태학사 1992

      9 임용기, "훈민정음의 한자음 표기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인문학연구원 96 : 5-44, 2012

      10 권재선, "훈민정음의 표기법과 음운-중세음운론" 우골탑

      11 오정란, "훈민정음 초성 체계의 정밀전사의식" 광운대 23 : 9-24, 1994

      12 오광근, "후기중세국어 원순모음화 현상의 양상과 특징" 반교어문학회 (34) : 5-34, 2013

      13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연구" 도서출판 월인 1999

      14 조건상, "해설역주 諺文志" 螢雪出版社 1981

      15 정인승, "한글강화 : 의문ᆞ해설" 신구문화사 1960

      16 권재선, "한글 연구 Ⅱ" 우골탑 1992

      17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18 김동소, "한국어 음운사 연구에서의 몇 가지 주요 논점" 문학과언어연구회 25 : 1-18, 2003

      19 도수희, "한국어 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1987

      20 백응진, "한국어 역사음운론" 박이정 1999

      21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22 최기호, "한국어 변천사" 토담 1994

      23 박종국, "한국어 발달사" 문지사 1996

      24 김윤경, "한결國語學論集" 甲辰文化社 1964

      25 조성문, "최적성이론에 의한 ‘ㅸ’의 통시적 변화 연구" 대한언어학회 17 (17): 93-110, 2009

      26 김영황, "초기의 정음표기법과 <ᄫ>, <ᅀ>의 음운성문제" 4.6 : 1990

      27 고영근, "중세어의 ‘ᄫ, ᅀ’ 규칙활용론에 대하여"" 태학사 1997

      28 최춘태, "중세문헌 연구" 정림사 2011

      29 서영석, "중세국어의 소실 자음 연구" 동국대 13 : 27-50, 1994

      30 韓聖一, "중세국어의 ㅸ·ㅿ에 대한 연구" 暻園大學校 大學院 1996

      31 우민섭, "중세국어음운연구" 전주대학교출판부 2000

      32 장향실, "중세국어시기 고유어 표기에 쓰인 ?의 음가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48 : 3-92, 2003

      33 박덕유, "중세국어문법의 이론과 실제" 박문사 2010

      34 강규선, "중세국어문법론" 청운 2003

      35 이현희, "중세국어 합성어와 음운론적인 정보" 원일사 315-333, 1991

      36 박창원,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6

      37 김성규, "중세국어 음운론의 쟁점" 국어사학회 (9) : 41-68, 2009

      38 김성규, "중세국어 음운" 국립국어연구원 1 : 1996

      39 장운혜, "중세국어 유성마찰음의 변천과 방언 분화 : /ㅸ/와 /ㅿ/를 중심으로" 조선대 2008

      40 최호섭, "중세국어 ㅸ에 대한 연구 : ㅸ의 음성적 실재와 음 변화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0

      41 안상철, "중세국어 ᄫ의 음운 자질 분석" 태학사 235-256, 2006

      42 정영호, "중세국어 2자중성합용자의 음변화" 우리말학회 9 (9): 95-123, 2011

      43 김동소, "중세 한국어의 종합적 연구-표기법과 음운 체계" 한글 학회 231 : 5-42, 1996

      44 김동소, "중세 한국어 개설"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2

      45 김문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주해편" 교학연구사 2008

      46 이승자, "조선조 운서한자음의 전승양상과 정리규범" 역락 2003

      47 김영황, "조선어사" 역락 2002

      48 리득춘, "조선어발달사" 역락 2006

      49 안병호, "조선어발달사" 료녕인민출판사 1982

      50 이득춘 편, "조선어 력사언어학연구" 역락 2001

      51 김영황, "조선민족어발전력사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8

      52 렴종률, "조선말력사문법" 역락 2001

      53 류 렬, "조선말 력사②" 사회과학출판사 1992

      54 한상인,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의 ‘즉복론’(則卜論)에 대하여" 한글학회 대전지회 2 : 143-155, 1997

      55 정승철, "자음의 변화" 태학사 423-455, 1997

      56 이숭녕, "이숭녕국어학선집 2 [음운편Ⅱ]" 민음사 1988

      57 이동석, "음운사와 어원" 한국어학회 39 : 79-111, 2008

      58 김경아, "음운변화와 패러다임의 상관관계" 동양학연구원 (49) : 171-190, 2011

      59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60 신승용,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 태학사 2003

      61 백두현, "음식디미방의 표기법과 자음변화 고찰" 국어사학회 4 : 95-121, 2004

      62 한진건, "육진방언과 중세음의 관계에 대하여" 한양대 34 : 363-375, 2000

      63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정신의 변화를 안고 흐른 국어의 역사" 제이앤씨 2005

      64 이동석, "우리말 어휘의 역사 연구 1" 역락 2013

      65 김형주, "우리말 발달사" 세종출판사 1998

      66 배윤덕, "우리말 韻書의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67 허 웅, "우리 옛말본-15세기 국어 형태론-" 샘문화사 1975

      68 허 웅, "옛말본" 과학사 1969

      69 조규태, "여린 비읍(ᄫ)에 대하여" 한글학회 240.241 : 89-124, 1998

      70 서영석, "없어진 자음의 음운론적 연구" 동국대 8 : 1-33, 1999

      71 정경일, "언문지에 나타난 국어 음운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0 (10): 27-42, 2000

      72 박숙희, "어간 재구조화의 두 요" 한글학회 (265) : 135-169, 2004

      73 안대현, "신미의 언어에 대하여-목우자수심결언해와 사법어언해 를 대상으로" 국어사학회 2010

      74 윤석민, "쉽게 읽는 龍飛御天歌 Ⅰ" 박이정 2006

      75 서영석, "순음의 음운론적 연구-중세국어의 /p, ph/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22 : 49-72, 1998

      76 서영석, "순음의 음운론적 연구(2)-중세 국어의 /p’, m, /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38 : 1-25, 2001

      77 김경아, "순경음의 변화에 대한 재론" 서울여대 15 : 25-41, 2006

      78 정우영, "순경음비읍{ᄫ}의 硏究史的 檢討" 국어사학회 7 : 133-163, 2007

      79 배윤덕, "순경음 「ᄫ」에 대하여-알타이제어의 중간자음 b와 관련하여-" 성신여대 8 : 1-32, 1989

      80 유효홍, "순경음 ‘ㅱ’의 종성 표기에 대하여" 국어사학회 (10) : 233-269, 2010

      81 김한별, "순경음 'ㅸ'에 대한 통시적 연구 : 'ㅂ' 약화 규칙의 어휘 확산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82 우민섭, "범어 음역을 통해서 본 중세국어 음운" 한국언어문학회 39 : 87-109, 1997

      83 조규태,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한국문화사 2000

      84 장윤희, "몽산법어언해" 채륜 2011

      85 정우영, "목우자수심결 사법어 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9

      86 김완진, "다시 >w를 찾아서" 서울대 8 (8): 51-62, 1972

      87 한승주, "금강경삼가해의 국어학적 연구" 청목출판사 2012

      88 허 웅, "국어학-우리말의 오늘ᆞ어제" 샘문화사 1983

      89 김주필, "국어의 음운현상과 음운변화 연구" 역락 2011

      90 박종희, "국어의 음운 현상"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5

      91 김무림,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4

      92 장향실, "국어사 자료와 음운 연구" 보고사 2008

      93 김형규, "국어사" 백영사 1955

      94 이기문,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

      95 박병채, "국어발달사" 世英社 1989

      96 정우영, "국어 표기법의 변화와 그 해석-15세기 관판 한글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29 (29): 293-326, 2005

      97 박종희, "국어 음운론 연구" 원광대출판부 1983

      98 박창원, "국어 유성장애음의 재구와 그 변화" 국어국문학회 93 : 57-85, 1985

      99 이병훈, "국어 용언활용에 있어 어간말 모음탈락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33) : 15-32, 2007

      100 고동호, "국어 양순 마찰음의 재구와 그 변화" 서울대 9 : 65-93, 1994

      101 이진호, "국어 PK-교체에 대한 종합적 고찰" 국어학회 (63) : 247-273, 2012

      102 최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사 1961

      103 정연찬, "개정 한국어음운론" 한국문화사 1997

      104 최현배, "가벼운 입술소리(脣輕音)의 상고" 정음사 594-597, 1942

      105 강신항, "鷄林類事 「高麗方言」 硏究" 성균관대 출판부 1991

      106 서정범, "音韻의 國語史的 硏究" 집문당 1982

      107 김완진, "音韻變化와 音素의 分布 : 脣輕音 ‘ᄫ’의 境遇" 辰檀學會 38 : 105-120, 1974

      108 유응호, "音韻法則에關하야 (一)" 조선어학연구회 17 : 1-7, 1936

      109 곽충구, "音節의 變化" 태학사 388-421, 1997

      110 김태곤, "韓國語의 歷史" 대한교과서 1998

      111 이철수, "韓國語音韻學" 인하대학교출판부 1985

      112 김완진, "韓國語發達史 上 音韻史"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15-164, 1967

      113 황희영, "韓國語 音韻論" 二友出版社 1979

      114 이숭녕, "韓國方言史" 高麗大學校民 族文化硏究所 32 : 325-411, 1967

      115 박병채, "韓國文字發達史" 高麗大 學校民族文化硏究所 41 : 415-485, 1967

      116 김영배, "阿彌陀經諺解의 國語學的 硏究" 法寶新聞社 1997

      117 유창돈, "諺文志註解" 신구문화사 1958

      118 유창돈, "諺文志 箋考" 경희대 1 : 121-244, 1958

      119 이성구, "訓民正音硏究" 東門社 1985

      120 이숭녕, "脣音攷 -特히 脣輕音ᄫ를 中心으로 하여" 1 : 40-76, 1954

      121 박병채, "破裂音攷-訓民正音 創製의 音聲學的 考察-" 국어국문학회 17 : 77-93, 1957

      122 서정범, "現實音의 國語史的硏究" 汎友社 1975

      123 정승철, "濟州道 方言의 通時音韻論" 태학사 1995

      124 羅常培, "漢語音韻學導論" 里仁書局 1970

      125 유창균, "東國正韻 硏究篇" 형설출판사 1966

      126 권인한, "朝鮮館譯語의 音韻論的 硏究" 태학사 1998

      127 유응호, "朝鮮語脣輕音에關한硏究 -特히脣輕音「ᄫ」의音價及變遷에關하야" 민족문화연구소 2 : 36-69, 1946

      128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下)" 岩波書店 1944

      129 권덕규, "朝鮮語文經緯" 廣文社 1923

      130 이숭녕, "朝鮮語學槪說" 조선교육연구회 2 (2): 50-58, 1948

      131 小倉進平, "朝鮮語の語の中間に現はれる[b]" 30 : 1939

      132 小倉進平, "朝鮮語の喉頭破裂音" 22.23 : 1953

      133 서정범, "朝鮮朝(李朝)語 現實音의 國語史的 硏究" 경희대 1979

      134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鋏’語考-" 東都書籍 1935

      135 이기문,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136 국어교육연구회, "文法ᆞ基他 國文學史의 整理" 鄕文社 1959

      137 이진호, "小倉進平과 國語音韻論" 제이앤씨 2009

      138 서정범, "國語의 音韻史的 硏究" 집문당 1990

      139 金泰鉉, "國語의 有聲摩擦音 연구 : /^*^β,^*^δ, ^*^Ζ, ^*^γ/를 중심으로"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2

      140 김완진,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一潮閣 1971

      141 허 웅, "國語音韻論" 정음사 1960

      142 이기문, "國語音韻史硏究" 韓國文化硏究所 1972

      143 양재칠, "國語音聲學과 文法" 言文硏究會 1967

      144 유창돈, "國語變遷史" 通文館 1961

      145 이기문, "國語表記法의 歷史的 硏究" 韓國硏究院 1963

      146 이익섭, "國語表記法硏究" 서울대출판부 1992

      147 남광우, "國語學論文集" 一宇社 1962

      148 최세화, "國語學論攷" 東國大學校 出版部 1987

      149 김용경, "國語學 論集" 螢雪出版社 1975

      150 강길운, "國語史精說" 한국문화사 1993

      151 이기문, "國語史槪說」(改訂版)" 民衆書館 1972

      152 이기문, "國語史槪說" 民衆書館 1961

      153 김형규, "國語史槪要" 一潮閣 1975

      154 안병희, "國語史 資料 硏究" 文學과知性社 1992

      155 李基文, "國語史"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4

      156 小倉進平, "國語及朝鮮語 發音槪說" 近澤印刷所出版部 1923

      157 오종갑, "國語 音韻의 通時的 硏究" 계명대학교출판부 1988

      158 池春洙, "國語 表記史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6

      159 吳鍾甲, "國語 有聲沮害音의 變遷에 關한 硏究 : /b,d,z,g/를 中心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1

      160 이숭녕, "古語의 音韻과 文法" 文化堂 1948

      161 양주동, "古歌箋剳疑" 연세대 2 : 3-29, 1958

      162 박병채, "古代國語의 硏究(音韻篇)" 高麗大學校 出版部 1971

      163 김무림, "古代國語 音韻論" 국어사학회 (9) : 7-39, 2009

      164 이상억, "古代國語 以前의 聲調와 有聲子音의 出沒" 국어학회 16 : 261-275, 1987

      165 서정범, "十五世紀 國語의 表記法硏究" 경희대 3 : 9-42, 1964

      166 최범훈, "中世韓國語文法論" 二友出版社 1981

      167 안병희, "中世語의 한글資料에 대한 綜合的인 考察" 서울대 3 : 109-147, 1979

      168 김석득, "中世脣輕音ᄫ音素攷"" 延世大 12 : 1-19, 1964

      169 조세용, "中世後期初 國語의 子音音素体系에 대한 考察" 건국대 1 : 21-48, 1985

      170 朴鍾熙, "中世國語의 音韻體系에 관한 硏究 : 순경음ㅸ, 삼자합용병서, 음운의 탈락과 흔적등을 中心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1983

      171 서영석, "中世國語의 脣音硏究" 동국대 3 : 87-125, 1989

      172 조세용, "中世國語文法論-15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173 안병희, "中世國語文法論" 학연사 1990

      174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1961

      175 金斗泳, "中世國語摩擦音攷"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4

      176 박종희, "中世國語 音韻單位에 關한 硏究-脣輕音 ᄫ을 中心으로-" 원광대 16 : 91-112, 1982

      177 김경아, "中世國語 喉音에 대한 一考察 -脣輕音 ᄫ의 변화와 관련하여" 民音社 1991

      178 김완진, "中世國語 二重母音의 音韻論的 解釋에 對하여" 1964

      179 여은지, "ㅸ>w 변화와 w의 음운론적 성격" 한국언어문학회 (71) : 87-112, 2009

      180 권화숙,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국어학적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181 김영황, "≪훈민정음≫의 음운리론" (1) : 1965

      182 김석득, "≪한글갈≫, 없어진 글자의 상고-음운론적 입장에서" 외솔회 14 : 1-25, 1974

      183 김윤경, "“ᅀᅙᅘᇢᄫᄬᅗᄛᆞ”들의 소리값" 思想界社 1954

      184 이동석, "‘수’와 ‘수이’의 교체 현상에 대한 연구" 157-167,

      185 박부자, "‘대로’의 형성" 구결학회 (24) : 201-236, 2010

      186 이선웅, "‘가위’[剪]의 어휘사" 한국언어문학회 (64) : 5-24, 2008

      187 이동석, "‘ㅸ’ 포함 어휘의 형태론적 분석" 국어사학회 (11) : 221-249, 2010

      188 김주필, "‘ㅌ-’의 형태 변화와 음운규칙" 태학사 211-234, 2006

      189 한상인, "‘ᄫ’의 변화와 몇 단어의 전차형 재구"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2

      190 한상인, "‘ᄫ’의 변화 고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9 : 151-167, 2001

      191 오종갑, "‘ᄫ’의 音韻史的 考察" 전주대 9 : 123-140, 1980

      192 도수희, "ᅀ에 對한 數三의 課題" 13 : 1975

      193 김주필, "ᄫ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 국어학회 38 : 27-54, 2001

      194 김형규, "ᄫ音考" 조선교육연구회 2 (2): 59-67, 1948

      195 박종철, "ᄫ音考"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 (4): 221-234, 1976

      196 김용태, "ᄫ音發達 및 消失의 時代에 對한 試論" 馬山大學文學會 1961

      197 남광우, "ᄫ ᅀ論考" 중앙대 4 : 115-140, 1959

      198 임만영, "[ᄫ]에 對한 考察" 忠州大 2 : 91-107, 1968

      199 Ramstedt, G. J., "Remarks on the Korean language" 58 : 1928

      200 Ramsy, Samuel Robert, "Accent and Morphology in Korean Dialects: A Descriptive and Historical Study"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1978

      201 Ramstedt, G. J., "A Korean grammar" 82 : 1-199, 1939

      202 김경아, ">w에 대하여" 서울대 17 : 17-42, 1997

      203 김영황, "<ᄫ~>와 관련한 몇가지 문제" (4) : 1991

      204 이옥희, "<七大萬法>에 실현된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표기 및 음운적 특징" 우리말학회 (29) : 69-93, 2011

      205 박승철, "16세기 남부방언의 음운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ㅿ, ㅸ, 구개음화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0

      206 장영길, "15세기 국어의 자음체계 연구-그 음소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21 : 145-188, 1986

      207 張榮吉, "15세기 국어의 자음체계 연구 : 그 음소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동국대 1986

      208 정우영, "15세기 국어 표기법의 成立과 改定에 관하여" 동국대 8 : 65-83, 1999

      209 박창원, "15세기 국어 자음체계의 변화와 통시적 성격(Ⅰ): ‘ᄫ’의 변화를 중 심으로" 인하어문연구회 1 : 571-600, 1994

      210 장영길, "15세기 국어 음운 체계 연구" 홍문각 1994

      211 鄭宇永, "15세기 국어 문헌자료의 표기법 연구" 동국대 1996

      212 유창돈, "15世紀 國語의 音韻體系" 國語學會 1 : 5-24, 1962

      213 조세용, "15世紀 中期國語의 子音 音素體系에 관한 硏究" 건국대 9 : 7-25, 1990

      214 강진주, "15·16세기 의약서 언해의 표기와 음운 현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215 김남미, "/Xㅸ-/계 어간의 재구조화와 음운 과정" 국어학회 (48) : 77-99, 2006

      216 김무봉, "(역주)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217 조경하, ""유성자음", 국어 음운 연구사(1)" 태학사 2002

      218 이동석, ""鷄林類事"를 통해서 본 ‘ᆸ계 합용병서’와 ‘ᄫ’" 국어사학회 4 : 235-253, 2004

      219 최명옥, ""ᄫ, △"와 東南方言" 서울대 14 (14): 185-194, 1978

      220 배윤덕, ""ᄫ"이 중간자음으로 나타난 방언 고찰" 성신여대 25 : 29-50,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