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의 70%가 삼림지역으로 이루어진 일본에서 특별히 나라를 대표하는 ‘걸출한 자연풍경’으로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은 2024년 현재 34곳에 이른다. 일본에서 국립공원제도가 제정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국토의 70%가 삼림지역으로 이루어진 일본에서 특별히 나라를 대표하는 ‘걸출한 자연풍경’으로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은 2024년 현재 34곳에 이른다. 일본에서 국립공원제도가 제정된 ...
국토의 70%가 삼림지역으로 이루어진 일본에서 특별히 나라를 대표하는 ‘걸출한 자연풍경’으로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은 2024년 현재 34곳에 이른다. 일본에서 국립공원제도가 제정된 것은 193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근대국가 일본이 자연 풍경에 국가의 ‘권위’를 인위적으로 부여한 일이었다. 법 제정 직후, 내무성 위생국과 국립공원협회는 유명 양화가들로 하여금 전국 각지의 국립공원 후보지를 그려 오게 하고 1932년 《국립공원양화전람회》를 개최하는데, 이 그림들을 ‘국립공원회화’라 한다. 이 글에서는 일본이 국가적 풍경을 발견하여 ‘권위’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미술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주목하여, 숲과 나무를 그린 아름다운 풍경화 그 이면에 무엇이 있었는지 살피고자 한다. 우선 1장에서는 개념과 용어를 설명하고, 2장에서 국립공원법의 개요와 현재를 간략하게 살핀다. 3장에서는 《국립공원양화전람회》(1932)의 시행 과정과 출품작들을 살피면서, 근대국가의 욕망과 체면 및 유명 화가와 민간자본의 권위가 뒤엉켜 작동하면서 ‘국가적 풍경’이 대중에게 보급되었음을 논증한다. 또한 내지와 외지의 국립공원을 포착한 회화집과 사진집을 비교 분석하여, 식민지를 포섭하면서도 밀어 내던 제국의 이중적 시선을 읽어 내고, 근대 일본의 국립공원을 둘러싼 시각 이미지들이 표면적인 자연 풍경뿐 아니라 제국의 내면의 풍경까지 반영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f 2024, 34 national parks have been designated as places with “outstanding natural scenery” in Japan, a country where 70% of the land is foreste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ark system in Japan dates back to 1931, when the modern natio...
As of 2024, 34 national parks have been designated as places with “outstanding natural scenery” in Japan, a country where 70% of the land is foreste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ark system in Japan dates back to 1931, when the modern nation-state artificially granted the nation’s ‘authority’ to natural scenery. Immediate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law, the Ministry of Interior’s Health Bureau and the National Park Association commissioned famous oil painters to paint candidate sites for national parks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and held The National Park Oil Painting Exhibition in 1932. These paintings are called “national park paintings.” This article examines how art was us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national landscapes and granting them state authority. First, in section one, I explain the concept of “national park paintings.” In section two, I examine the National Park Law from its enactment until today. In section three, by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paintings of The National Park Oil Painting Exhibition (1932), I argue that the idea of the “national landscape” became popular among the wider public due to an intersection of factors, including the desire and dignity of modern country, the authority of famous painters, and private capital. I also compare and analyze the collection of paintings and photographs of national parks in mainland Japan (naichi) and in the colonies (gaichi), and explore the double gaze of the empire, which both embraced and pushed out the colonies. I point out that the visual image of modern Japan’s national parks reflects not only the superficial natural scenery but also the inward scenery of the Empire.
의양풍(擬洋風) 건축: 일본의 전통 목수가 근대를 맞이한 한 태도
일본 고도성장기의 ‘집단취직’과 3대 도시권으로의 인구이동
일본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으로서 GX(Green Transformation)에 대한 비판적 검토: 원자력 추진 구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