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분권과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법적 검토 = A Legal Study on the Decentralization an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8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경찰제도는 그동안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을 운영하고 있어 치안효율성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경찰운영이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주민들의 요구를 제대...

      우리 경찰제도는 그동안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을 운영하고 있어 치안효율성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경찰운영이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주민들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는 지방자치단체인 시·도 소속으로 자치경찰을 운영하여 경찰체계를 보다 민주적으로 변화시키고 주민밀착 치안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해온 사항이다. 자치경찰은 지역의 안전을 위하여 경찰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범죄 취약환경 등을 개선하고 경찰활동도 주민들이 요구를 반영하는 주민 친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자치경찰은 지역마다 다른 다양한 지역주민의 치안수요에 적극 부응하여야 하고 그에 상응하는 권한과 조직 및 인력이 주어져야 그 정체성도 담보될 수 있다. 지난 2018년 11월에 공개된 자치분권위원회 산하 자치경찰위원회에서 논의된 결과인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안’에 따르면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를 2019년부터 시범실시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2021년에는 전국으로 실시하고 2022년에는 단계적으로 자치경찰 사무를 확대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치경찰을 2006년 7월에 도입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경찰제에 대한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안’인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자치경찰제를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정립과 자치경찰제의 세부실행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자치경찰제의 특별위원회안’은 그동안 논의된 진일보한 자치경찰의 모델을 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은 기본적인 틀을 공개한 것에 불과하다. 향후 자치경찰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공론화 과정을 통해서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이 확정되어야 한다. 이후 입법절차를 거쳐 시행될 시범운영기간에도 자치경찰제가 올곧이 정착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결국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도입과 성공적인 정착은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한 풀뿌리 민주주의의 시금석이 되리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gard to the police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has operated a centralized national police force. As a result, even though the policing efficiency is high, the police system has been operated in a uniform fashion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cha...

      In regard to the police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has operated a centralized national police force. As a result, even though the policing efficiency is high, the police system has been operated in a uniform fashion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citizens’ wants and needs have not been properly reflected. To address this issue, a metropolitan self-governing police system has been promoted allowing the police system to be more democratic and to strengthen the policing activities. Self-governing police forces should be formed in a resident-friendly way to improve crime-prone environments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local authorities while reflecting the locals’ demands. Furthermore, self-governing police forces should actively respond to citizens’ requests and have the authority and manpower to maintain their identity. According to the Special Committee Draft for Self-governing Police Systems, which was discussed at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s Committee under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held in November 2018,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would be launched in 2019 and implemented nationwide by 2022.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has been operating since July 2006, analyze a plan to introduce the Special Committee Draft for Self-governing Police System, examine how to establish the local authority’s roles through this new system, and to find a specific plan to implement it. The Special Committee Draft for Self-governing Police Systems is only a framework for the long-discussed advancement to autonomous police forces. In other words, there should be continued efforts to push through a government bill finalized through public hearings and have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implemented through a legislative process. After all, it appears that the introduction of a metropolitan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nd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would establish grassroots democracy leading to another step toward actual decentr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Ⅱ. 지방분권과 자치경찰 Ⅲ. 현행 제주자치경찰과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Ⅳ.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정립방안 Ⅴ. 맺음말
      • Ⅰ. 들어가는 말 Ⅱ. 지방분권과 자치경찰 Ⅲ. 현행 제주자치경찰과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Ⅳ.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정립방안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문규, "현 시점에서 도입가능한 자치경찰제 모델 구상과 과제"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249-280, 2018

      2 홍정선, "행정법원론(하)" 박영사 2018

      3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17

      4 조성규, "지방자치의 본질과 자치경찰제 논의"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50) : 83-108, 2017

      5 신평우, "지방자치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의 확대에 관한 공법적 검토" 한국토지공법학회 75 : 365-385, 2016

      6 김남욱,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자치경찰의 법적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8 (18): 3-38, 2018

      7 김원중, "제주자치경찰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과정책연구원 24 (24): 55-84, 2018

      8 안영진, "자치경찰제도 도입논의의 재고"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357-382, 2014

      9 김원중, "자치경찰제도 도입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적 제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7 (17): 110-133, 2017

      10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안 발표 및 정책토론회"

      1 황문규, "현 시점에서 도입가능한 자치경찰제 모델 구상과 과제"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249-280, 2018

      2 홍정선, "행정법원론(하)" 박영사 2018

      3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17

      4 조성규, "지방자치의 본질과 자치경찰제 논의"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50) : 83-108, 2017

      5 신평우, "지방자치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의 확대에 관한 공법적 검토" 한국토지공법학회 75 : 365-385, 2016

      6 김남욱,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자치경찰의 법적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8 (18): 3-38, 2018

      7 김원중, "제주자치경찰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과정책연구원 24 (24): 55-84, 2018

      8 안영진, "자치경찰제도 도입논의의 재고"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357-382, 2014

      9 김원중, "자치경찰제도 도입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적 제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7 (17): 110-133, 2017

      10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안 발표 및 정책토론회"

      11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2009

      12 노동영, "자치경찰제 논의와 법정책적 소고" 법학연구소 28 (28): 425-443, 2017

      13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 "자치경찰 활동의 목표 설정 및 평가" 2018

      14 이영우,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한 경찰권의 제주특별자치도 이양방안"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7 (17): 245-264, 2017

      15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16 황문규, "문재인 정부의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에 관한 고찰" 한국지방자치학회 29 (29): 23-54, 2017

      17 원소연, "광역자치경찰과 기초자치경찰제에 대한 입법평가-제주자치경찰제의 사례와 독일경찰법제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011

      18 윤태웅,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한국행정학회 51-53, 2018

      19 박균성, "경찰행정법" 박영사 2016

      20 경찰위원회, "경찰위원회 이전 개소식 개최"

      21 서정범, "경찰법연구" 세창출판사 2018

      22 박병욱, "경찰개혁위원회의 성과와 과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8) : 293-346, 2018

      23 경찰위원회, "경찰개혁위, 경찰위원회 실질화 권고안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0.68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