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종과 종들 -종의 주제 변이를 중심으로- = The Servant and Servants in Isaiah 40-66: Thematic Variations on the Serv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1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구약 주해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이슈 가운데 하나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수수께끼 같은 종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학자들의 지배적인 관심의 초점은 종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는 난관에 봉착했다. 따라서 본 소고는 종의 문제를 이사야 40-66장의 넓은 담화 단위 안에서 종의 주제의 변이의 관점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종의 정체성과 하나님의 대행자인 그의 기능을 논의한다. 하나님의 지명된 대행자로서 종의 정체성은 실제적인 이스라엘, 이상적인 이스라엘, 고레스, 개인적인 선지자적 인물, 고난의 인물과 같은 주제의 발전을 보이며 발전한다. 그와 동시에 이사야 40-52장 전반에 걸쳐 종의 주제는 그의 사명과 인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사야 52:13-53:12에서 고난의 종의 사명은 백성들을 위한 대리적 고난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사명의 결과는 백성들의 죄악을 담당하고 그들을 의롭게 하므로 그들에게 구원을 주는 것이다. 고난의 종의 사명의 혜택을 입은 자들은 본문에서 복수 용어로 설명된다. “우리”와 “많은 사람.” 이 두 용어는 죄를 고백하는 이스라엘, 종에게 반응하는 열방들, 이스라엘의 자녀들을 포함한다. 고난의 종의 사역을 통하여 의롭게 된 자들은 주님의 종들의 일원이 된다(54:17). 이사야 56-66장은 종들의 인격과 자질을 강조하면서 종들의 주제를 더욱 발전시킨다. 국가나 민족의 장벽에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와 공의로 신실하게 반응하는 자들은 종들이다(56:1-8; 57:3; 58:1-14). 종들은 공동체의 죄악을 바라보며 탄식하는 자들이다(63:7-64:11). 또한 종들은 야곱의 자손이며 땅과 거룩한 산의 상속자들이며 하나님의 택함을 입은 자들이며 하나님을 간절히 찾는 자들이다(65:9-16).
      번역하기

      구약 주해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이슈 가운데 하나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수수께끼 같은 종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학자들의 지배적인 관심의 초점은 종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

      구약 주해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이슈 가운데 하나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수수께끼 같은 종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학자들의 지배적인 관심의 초점은 종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는 난관에 봉착했다. 따라서 본 소고는 종의 문제를 이사야 40-66장의 넓은 담화 단위 안에서 종의 주제의 변이의 관점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종의 정체성과 하나님의 대행자인 그의 기능을 논의한다. 하나님의 지명된 대행자로서 종의 정체성은 실제적인 이스라엘, 이상적인 이스라엘, 고레스, 개인적인 선지자적 인물, 고난의 인물과 같은 주제의 발전을 보이며 발전한다. 그와 동시에 이사야 40-52장 전반에 걸쳐 종의 주제는 그의 사명과 인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사야 52:13-53:12에서 고난의 종의 사명은 백성들을 위한 대리적 고난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사명의 결과는 백성들의 죄악을 담당하고 그들을 의롭게 하므로 그들에게 구원을 주는 것이다. 고난의 종의 사명의 혜택을 입은 자들은 본문에서 복수 용어로 설명된다. “우리”와 “많은 사람.” 이 두 용어는 죄를 고백하는 이스라엘, 종에게 반응하는 열방들, 이스라엘의 자녀들을 포함한다. 고난의 종의 사역을 통하여 의롭게 된 자들은 주님의 종들의 일원이 된다(54:17). 이사야 56-66장은 종들의 인격과 자질을 강조하면서 종들의 주제를 더욱 발전시킨다. 국가나 민족의 장벽에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와 공의로 신실하게 반응하는 자들은 종들이다(56:1-8; 57:3; 58:1-14). 종들은 공동체의 죄악을 바라보며 탄식하는 자들이다(63:7-64:11). 또한 종들은 야곱의 자손이며 땅과 거룩한 산의 상속자들이며 하나님의 택함을 입은 자들이며 하나님을 간절히 찾는 자들이다(65:9-16).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most provocative issues in Old Testament exegesis has bee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nigmatic servant figure in the book of Isaiah. The dominant scholarly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However, the quest for the identity of the servant results in an impasse.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servant the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ations on the theme of the servant within the larger discourse unit(Isaiah 40-66). The servant theme is discussed not only in terms of the identify of the servant, but also his function as God’s agent. While there is thematic progression i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as God’s appointed agent, by way of empirical Israel, ideal Israel, Cyrus, an individual prophetic figure, and a suffering figure, the servant theme throughout chapters 40-52 persistently focuses on the task, character. In Isaiah 52:13-53:12,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is characterized by the vicarious suffering of the people and his task results in the salvation of the people by his bearing their sins and making them righteous. The beneficiaries of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can be explained by the plural terms in the text: “we” and “many.” These two terms embrace the confessional Israel, the responsive nations, and the children of Israel. Those who are justified by the suffering servant is incorporated as the servants of the Lord(54:17). Isaiah 56-66 further develops the servants theme by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qualification of them.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ethnicity those who faithfully respond to God with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the servants(56:1-8; 57:3; 58:13-14). The servants are offspring of Jacob, heirs of the land and holy mountain, God’s chosen people, those who seek God(65:9-16).
      번역하기

      One of the most provocative issues in Old Testament exegesis has bee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nigmatic servant figure in the book of Isaiah. The dominant scholarly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However, the quest for th...

      One of the most provocative issues in Old Testament exegesis has bee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nigmatic servant figure in the book of Isaiah. The dominant scholarly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However, the quest for the identity of the servant results in an impasse.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servant the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ations on the theme of the servant within the larger discourse unit(Isaiah 40-66). The servant theme is discussed not only in terms of the identify of the servant, but also his function as God’s agent. While there is thematic progression in the identity of the servant as God’s appointed agent, by way of empirical Israel, ideal Israel, Cyrus, an individual prophetic figure, and a suffering figure, the servant theme throughout chapters 40-52 persistently focuses on the task, character. In Isaiah 52:13-53:12,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is characterized by the vicarious suffering of the people and his task results in the salvation of the people by his bearing their sins and making them righteous. The beneficiaries of the task of the suffering servant can be explained by the plural terms in the text: “we” and “many.” These two terms embrace the confessional Israel, the responsive nations, and the children of Israel. Those who are justified by the suffering servant is incorporated as the servants of the Lord(54:17). Isaiah 56-66 further develops the servants theme by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qualification of them. Regardless of nationality and ethnicity those who faithfully respond to God with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the servants(56:1-8; 57:3; 58:13-14). The servants are offspring of Jacob, heirs of the land and holy mountain, God’s chosen people, those who seek God(65:9-1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철호, "이사야서의 '야웨의 종'과 '종들', 그리고 예수 공동체 : 복음주의 신학의 미래를 위한 Servant Theology" 한국복음주의신학회 47 : 116-149, 2008

      2 Olley, J. W., "“‘The Many’: How Is Is 53,12a to be Understood?" 68 : 330-341, 1987

      3 Averbeck, Richard E., "“~v'a',” NIDOTTE 1: 564"

      4 Williamson, H. G. M., "‘The Sure Mercies of David’: Subjective or Objective Genitive?" 23 : 31-49, 1978

      5 Zimmerli, W., "Zur Vorgeschichte von Jes 53. in: Studien zur alttestamentlichen Theologie und Prophetie von Walther Zimmerli, ThB 51" C. Kaiser 213-221, 1974

      6 Clines, David, I, "We and They: A Literary Approach to Isaiah 53, JSOTSup 1" JSOT 1976

      7 Williamson, H. G. M., "Variations on a Theme: King, Messiah and Servant in the Book of Isaiah" Paternoster 1998

      8 Robert Bugenhagen, "Theme in English Expository Discourse and Its Application to Bible Translation. in: Pragmatics and Theme Identification, 8 of Research Papers of the Texas SIL at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79

      9 Williamson, H. G. M., "The World of Ancient Israel: Sociological, Anthropolog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Essays by Members of the Society for Old Testament Study" Cambridge University 1993

      10 Kaiser, W. C., "The Unfailing Kindnesses Promised to David: Isaiah 55.3" 45 : 91-98, 1989

      1 곽철호, "이사야서의 '야웨의 종'과 '종들', 그리고 예수 공동체 : 복음주의 신학의 미래를 위한 Servant Theology" 한국복음주의신학회 47 : 116-149, 2008

      2 Olley, J. W., "“‘The Many’: How Is Is 53,12a to be Understood?" 68 : 330-341, 1987

      3 Averbeck, Richard E., "“~v'a',” NIDOTTE 1: 564"

      4 Williamson, H. G. M., "‘The Sure Mercies of David’: Subjective or Objective Genitive?" 23 : 31-49, 1978

      5 Zimmerli, W., "Zur Vorgeschichte von Jes 53. in: Studien zur alttestamentlichen Theologie und Prophetie von Walther Zimmerli, ThB 51" C. Kaiser 213-221, 1974

      6 Clines, David, I, "We and They: A Literary Approach to Isaiah 53, JSOTSup 1" JSOT 1976

      7 Williamson, H. G. M., "Variations on a Theme: King, Messiah and Servant in the Book of Isaiah" Paternoster 1998

      8 Robert Bugenhagen, "Theme in English Expository Discourse and Its Application to Bible Translation. in: Pragmatics and Theme Identification, 8 of Research Papers of the Texas SIL at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79

      9 Williamson, H. G. M., "The World of Ancient Israel: Sociological, Anthropolog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Essays by Members of the Society for Old Testament Study" Cambridge University 1993

      10 Kaiser, W. C., "The Unfailing Kindnesses Promised to David: Isaiah 55.3" 45 : 91-98, 1989

      11 North, Christopher R., "The Suffering Servant in Deutero-Isaiah: An Historical and Critical Stud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12 Orlinsky, H. M., "The So-called ‘Servant of the Lord’ and ‘Suffering Servant’in Second Isaiah. in: Studies in the Second Part of the Book of Isaiah, VTSup 14" Brill 1967

      13 Rowley, H. H., "The Servant of the Lord and Other Essays on the Old Testament" Basil Blackwell 1965

      14 Blenkinsopp, Joseph, "The Servant and the Servants in Isaiah and the Formation of the Book. in: Writing and Reading the Scroll of Isaiah" Brill 155-175, 1997

      15 Kruse, Colin G., "The Servant Songs: Interpretive Trends since C. R. North" 8 : 3-27, 1978

      16 Wilcox, Peter, "The Servant Songs in Deutero-Isaiah" 42 : 79-102, 1988

      17 North, Christopher R., "The Second Isaiah: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to Chapters XL-LV" Clarendon 1964

      18 Beecher, Willis J., "The Prophets and the Promise" Baker 1963

      19 Eissfelt, O., "The Promises of Grace to David in Isaiah 55:1-5. in: Israel’s Prophetic Heritage: Essays in Honor of James Muilenburg" SCM Press 196-207, 1962

      20 Rofé, Alexander, "The Onset of Sects in Postexilic Judaism: Neglected Evidence from the Septuagint, Trito-Isaiah, Ben Sira, and Malachi. in: Essays in Tribute to Howard Clark Kee: The Social World of Formative Christianity and Judaism" Fortress 39-49, 1988

      21 Whybray, R. N., "The New Century Bible Commentary: Isaiah 40-66" Eerdmans 1975

      22 Wilson, Andrew, "The Nations in Deutero-Isaiah: A Study on Composition and Structure, ANETS 1" The Edwin Mellen 1986

      23 Goldingay, John, "The Message of Isaiah 40-55: A Literary-Theological Commentary" T&T Clark International 2005

      24 Beuken, W. A. M., "The Main Theme of Trito-Isaiah: ‘The Servants of YHWH’" 47 : 67-68, 1990

      25 Oswalt, John, "The Book of Isaiah Chapter 40-66" Eerdmans 1986

      26 Seitz, Christopher R., "The Book of Isaiah 40-66, 6 of The New Interpreter’s Bible" Abingdon 2001

      27 Whybray, R. N., "Thanksgiving for a Liberated Prophet: An Interpretation of Isaiah Chapter 53, JSOTSup 4" JSOT 1978

      28 Jeanrond, W. G., "Text and Interpretation as Categories of Theological Thinking" Crossroad 1988

      29 McKenzie, J. L., "Second Isaiah" Doubleday 1968

      30 Conrad, Edgar W., "Reading Isaiah" Fortress 1991

      31 Hollenberg, D. E., "Nationalism and ‘the Nations’ in Isaiah XL-LV" 19 : 35-36, 1969

      32 Dion, P.-E., "L’universalisme religieux dans les différentes couches redactionalles d’Isaïe 4-55" 51 : 161-182, 1970

      33 Lindsey, F. D., "Isaiah’s Songs of the Servant" 140 : 22-, 1983

      34 Childs, B. S., "Isaiah: A Commentary" Westminster/John Knox 2001

      35 Koole, Jan L., "Isaiah III: Isaiah 49-55" Peeters 1998

      36 Beuken, W. A. M., "Isaiah Chapters lxv-lxvi: Trito-Isaiah and the Closure of the Book of Isaiah. in: Congress Volume Leuven 1989, VTSup 43" E. J. Brill 204-221, 1991

      37 Hanson, Paul, "Isaiah 40-66" John Knox 1995

      38 Muilenburg, James, "Isaiah 40-66" Abingdon 1956

      39 Westermann, Claus, "Isaiah 40-66" Westerminster 1969

      40 Brueggemann, Walter, "Isaiah 40-66" Westminster John Knox 1998

      41 Blenkinsopp, Joseph, "Isaiah 40-55: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The Anchor Bible" Doubleday 2002

      42 de Beaugrande, R.,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gman 1981

      43 VanGemeren, Willem A., "Interpreting the Prophetic Word" Zondervan 1996

      44 Melugin, R. F., "Formation of Isaiah 40-55" W. de Gruyter 1976

      45 Knight, George A., "Deutero-Isaiah: A Theological Commentary on Isaiah 40-55" Abingdon 1965

      46 Baltzer, Klaus, "Deutero-Isaiah: A Commentary on Isaiah 40-55" Fortress 2001

      47 Steck, O. H., "Aspekte des Gottesknechts in Deuterojesajas ‘Ebed-Jahwe-Liedern’. in: Gottesknecht und Zion FAT 4" Mohr/Siebeck 3-43, 1992

      48 Rignell, Lars Gösta, "A Study of Isaiah 40-55, LUÅ, NF Avd. 1, 52, Nr. 5" C. W. K. Gleerup 1956

      49 Blenkinsopp, Joseph, "A Jewish Sect of the Persian Period" 52 : 5-20, 1990

      50 Mettinger, Tryggve N. D., "A Farewell to the Servant Songs: A Critical Examination of an Exegetical Axiom" CWK Gleerup 1983

      51 Thomas, D. W., "A Consideration of Isaiah LIII in the Light of Recent Textual and Philological Study" 44 : 79-86, 19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5 0.05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 0.14 0.4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