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비극의 그럴듯함(eikos) = Tragedy and Probability (eikos) in Aristotle’s Po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31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는 비극이 공포와 연민을 일으키고 이것들을 씻어냄으로써 고유한 즐거움을 산출한다고 규정한다. 이와 더불어 그는 비극의 주요 요소들에 두루 적용되는 주요 규준으로 그럴듯함(eikos)을 제시하며, 특히 비극의 첫째 원리이자 혼인 플롯이 이해(dianoia)에 따라 그리고 추론(syllogismos)에 기초해 그럴듯함에 따라 사건들을 결합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비록 시학 안에서는 그 본성이 논해지지 않으나, 양상에서의 논법을다루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에 따를 경우, 그럴듯함은 통념적이고 대체로 참인 진술로서 엔튀메마(enthymēma)를 구성하며 주로 인간의 행동에 관계된다. 그 자체로 통념적이기에, 그럴듯함은 주로 생략된 형태로 논법의 형성과 설득력을 지지한다. 비극은 우리와 차이 나지 않는 어떠어떠한 누구든 그럴듯함에 따라 어떠어떠한 언행을 한다는 보편성을 담지하는 가운데, 이해와 추론에 기인해 벌어지는 인간의 행동을 모방한다. 행동은 양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시작과 중간 그리고 끝을 거쳐 하나의 완성된 형태를 지닌다. 따라서 그럴듯함에 따른 사건들의 결합은 곧 연속된 행동 안의 인과성을 의미한다. 그럴듯함이 결여되면, 행동이 이해되지 않고 그 일련이 적합히 추론 되지 않아, 플롯이 설득력을 잃는다. 그 결과 비극이 꾀하는 공포와 연민은 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극의 그럴듯함은 논증적 성격을 지닌다. 행동은 근거에 기초해 실천된다. 비극이 행동을 모방하는 만큼, 그리고 그 행동은 인간이 사회 안에서 이루는 종류의 것이기에, 그럴듯함은 공동체적 사회 안에서 통념적으로 수용되는, 하지만 생략이 될 수 있는, 보편적인 행동의 근거를 반영한다. 그 근거란 곧 행동의 지침이자 규범이다. 고로 비극의 그럴듯함은 윤리적 성격 또한 지닌다. 보편적 맥락에서 이처럼 논증적 성격과 윤리적 성격의 그럴듯함은 보다 철학적이며 보다 진중한 비극의 본성을 견고히 지지한다.
      번역하기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는 비극이 공포와 연민을 일으키고 이것들을 씻어냄으로써 고유한 즐거움을 산출한다고 규정한다. 이와 더불어 그는 비극의 주요 요소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는 비극이 공포와 연민을 일으키고 이것들을 씻어냄으로써 고유한 즐거움을 산출한다고 규정한다. 이와 더불어 그는 비극의 주요 요소들에 두루 적용되는 주요 규준으로 그럴듯함(eikos)을 제시하며, 특히 비극의 첫째 원리이자 혼인 플롯이 이해(dianoia)에 따라 그리고 추론(syllogismos)에 기초해 그럴듯함에 따라 사건들을 결합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비록 시학 안에서는 그 본성이 논해지지 않으나, 양상에서의 논법을다루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에 따를 경우, 그럴듯함은 통념적이고 대체로 참인 진술로서 엔튀메마(enthymēma)를 구성하며 주로 인간의 행동에 관계된다. 그 자체로 통념적이기에, 그럴듯함은 주로 생략된 형태로 논법의 형성과 설득력을 지지한다. 비극은 우리와 차이 나지 않는 어떠어떠한 누구든 그럴듯함에 따라 어떠어떠한 언행을 한다는 보편성을 담지하는 가운데, 이해와 추론에 기인해 벌어지는 인간의 행동을 모방한다. 행동은 양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시작과 중간 그리고 끝을 거쳐 하나의 완성된 형태를 지닌다. 따라서 그럴듯함에 따른 사건들의 결합은 곧 연속된 행동 안의 인과성을 의미한다. 그럴듯함이 결여되면, 행동이 이해되지 않고 그 일련이 적합히 추론 되지 않아, 플롯이 설득력을 잃는다. 그 결과 비극이 꾀하는 공포와 연민은 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극의 그럴듯함은 논증적 성격을 지닌다. 행동은 근거에 기초해 실천된다. 비극이 행동을 모방하는 만큼, 그리고 그 행동은 인간이 사회 안에서 이루는 종류의 것이기에, 그럴듯함은 공동체적 사회 안에서 통념적으로 수용되는, 하지만 생략이 될 수 있는, 보편적인 행동의 근거를 반영한다. 그 근거란 곧 행동의 지침이자 규범이다. 고로 비극의 그럴듯함은 윤리적 성격 또한 지닌다. 보편적 맥락에서 이처럼 논증적 성격과 윤리적 성격의 그럴듯함은 보다 철학적이며 보다 진중한 비극의 본성을 견고히 지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istotle, in his Poetics, clarifies that a tragedy, which imitates human actions, should excite fear and pity and produce its own pleasure, i.e. cleansing (katharsis) through them. The first principle and soul of tragedy, namely plot (mythos), which connects the events according to understanding (dianoia) and from reasoning (syllogismos), emphasizes Aristotle, must be composed in accordance with probability (kata to eikos). Probability, according to Aristotle’s discussion on modal logic and argumentations, is defined as an accepted (endoxos) proposition that is true for the most part and forms an enthymeme (enthyēma). mostly in relation to human actions. Despite often being omitted as accepted, it still supports the formation and persuasive power of an enthymeme.
      The characters whose actions a tragedy imitates,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asoning, are those who are, in fact, indifferent from us (the audience); anyone of certain quality performs an action of a certain quality in accordance with probability. Actions, if performed successively, form a series and unity through its start, middle and end in a modal aspect. Therefore, probability equips a series of actions with causality; without it, the series of actions is neither understood nor reasoned, the plot is not persuasive, and fear and pity are not excited in us. The argumentative role of probability is, in this respect, found in tragedy.
      Actions, particularly in a human community, are performed on causal grounds. Causes, in other words, drive human actions towards a proper, or accepted, way for communal life in the community. Actions without causes, though performed, do not lead us to any understanding or reasoning, and thus do not raise any sympathized feeling raises in us. Probability, according to which human actions should be performed, therefore, conveys in it the causes of actions. Such causes are no less than the social regulations and guidance of human actions. The ethical role of probability, in this regard, is also held in tragedy. By playing such argumentative and ethical roles, probability firmly sustains the nature of tragedy to be more philosophical and more serious.
      번역하기

      Aristotle, in his Poetics, clarifies that a tragedy, which imitates human actions, should excite fear and pity and produce its own pleasure, i.e. cleansing (katharsis) through them. The first principle and soul of tragedy, namely plot (mythos), which ...

      Aristotle, in his Poetics, clarifies that a tragedy, which imitates human actions, should excite fear and pity and produce its own pleasure, i.e. cleansing (katharsis) through them. The first principle and soul of tragedy, namely plot (mythos), which connects the events according to understanding (dianoia) and from reasoning (syllogismos), emphasizes Aristotle, must be composed in accordance with probability (kata to eikos). Probability, according to Aristotle’s discussion on modal logic and argumentations, is defined as an accepted (endoxos) proposition that is true for the most part and forms an enthymeme (enthyēma). mostly in relation to human actions. Despite often being omitted as accepted, it still supports the formation and persuasive power of an enthymeme.
      The characters whose actions a tragedy imitates,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asoning, are those who are, in fact, indifferent from us (the audience); anyone of certain quality performs an action of a certain quality in accordance with probability. Actions, if performed successively, form a series and unity through its start, middle and end in a modal aspect. Therefore, probability equips a series of actions with causality; without it, the series of actions is neither understood nor reasoned, the plot is not persuasive, and fear and pity are not excited in us. The argumentative role of probability is, in this respect, found in tragedy.
      Actions, particularly in a human community, are performed on causal grounds. Causes, in other words, drive human actions towards a proper, or accepted, way for communal life in the community. Actions without causes, though performed, do not lead us to any understanding or reasoning, and thus do not raise any sympathized feeling raises in us. Probability, according to which human actions should be performed, therefore, conveys in it the causes of actions. Such causes are no less than the social regulations and guidance of human actions. The ethical role of probability, in this regard, is also held in tragedy. By playing such argumentative and ethical roles, probability firmly sustains the nature of tragedy to be more philosophical and more seriou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