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 The Competitio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Revival of Nation,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and Trace of Popular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류, 한국전통, 한국문화 등이 문화상품 차원뿐만 아니라, 국격, 국민의 식 고양, 국민자긍심 고양 차원에서 제기되는 최근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강조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

      이 글은 한류, 한국전통, 한국문화 등이 문화상품 차원뿐만 아니라, 국격, 국민의 식 고양, 국민자긍심 고양 차원에서 제기되는 최근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강조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그 반면교사는 이미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에 등장했 던 ‘한국적인 것’의 창안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쿠데타 초기에 박정희 정권은 한국사를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서구적인 것에 대한 불신이 강했다. 하지만 60년대 후반 직후 민족주체성의 회복을 슬로건으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지식사회에서도 1967년을 기점으로 정체성론, 반도론 등 식민사관을 극복하려고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문학론을 구체화 시키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이 시작되었다.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경쟁이 일어난 배경은 중미수교, 동아시아 데탕트 그리 고 주한미군 철수 등 안보위기와 근대화에 따른 대중문화와 사회적 균열의 확대라 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적인 것의 발명으로 한국적 인간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부는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그리고 문예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 했던 문화-문예정책 그리고 급격히 확산된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개입을 전개했 다. 문화정책은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우수성, 밝은 미래상 복원 등을 통해 창조적인 민족-국난극복의 의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청년문화, 호스티스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를 포함하는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단속은 대중들의 욕망 과 감정을 한국적인/민족적인 것으로 대체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한국적인 것의 창안을 통해 국가/민족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새로운 인간형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 하려는 의도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정부와 엘리트의 의도와 달리, 대중들은 대중문 화를 소비하며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구성하려고 했다. 확산된 대중문화의 지형 속에서 여공, 도시하층민, 식모, 청소년처럼 한국적인 인간형이나 민족문화의 의미 망에서 벗어난 주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argue that emphasis of recent ‘Things Korean’- for example Korean-Wave, Korean-Tradion, Korean-Culture- for the sake of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are not new phenomenon. The historical origin of ‘Things...

      This paper is to argue that emphasis of recent ‘Things Korean’- for example Korean-Wave, Korean-Tradion, Korean-Culture- for the sake of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are not new phenomenon. The historical origin of ‘Things Korean’ rooted from invention of ‘Things Korean’ in era of Park, Jung-Hee government. After military coup, Park, Jung-Hee government regarded Korean History as negative past and had strong distrust about ‘the western’. But concern about ‘Things Korean’ increased in the name of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fter the late 1960s. From 1967 academic society stressed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of national-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colonial view of history. From this point the competition bega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The historial background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were crisis including asian detente, withdrawal of US forces in Korea and rapid social cleavages after modernization in 1960s. The purpose of inventing of ‘Things Korean’ were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The government evolved culture-art and literature policy performed by Ministry of Cultur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rts Council Korea and populr culture policy including censorship of movie, television drama, media. The purpose of culture policy was restoring creative national identity, spirit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es by stressing excellence of national culture and brighter image of future. The purpose of censorship and enforcement against popular culture including youth culture, hostess melo movie, television drama was regulating desire and emotion of masses for transforming nationalistic human type. But the intention of inventing ‘Things Korean’ for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was half of the success. Unlike intention of government and elite, masses construct their own desire and social identity by consuming popular culture. Like factory, urban lower group, housemaid, there exited various different and heterogeneous subject escaping from national identity enforcing by government in expanding terrain of popular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炳昱, "李朝後期詩歌의 變異過程考" 9 (9): 1974

      2 白樂晴, "歷史的 人間과 詩的 人間" 12 (12): 1977

      3 문화공보부, "호국선현의 유적"

      4 위경혜, "한국전쟁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 국민국가 형성과 영화산업의 발전 -" 역사문화학회 11 (11): 267-306, 2008

      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의 문화정책" 문화발전연구소 1992

      6 金興圭, "판소리의 二元性과 社會史的 背景" 9 (9): 1974

      7 박계리, "충무공 동상과 국가이데올로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2) : 139-175, 2004

      8 강진호, "증언으로서의 문학사" 깊은샘 2003

      9 이동연, "주변부 스포츠 이벤트의 탄생과 국가나르시시즘: 1970년대 아시아 국제축구대회의 근대표상,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현실문화연구 2009

      10 남근우, "조지훈의 民族文化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8 : 1996

      1 鄭炳昱, "李朝後期詩歌의 變異過程考" 9 (9): 1974

      2 白樂晴, "歷史的 人間과 詩的 人間" 12 (12): 1977

      3 문화공보부, "호국선현의 유적"

      4 위경혜, "한국전쟁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 국민국가 형성과 영화산업의 발전 -" 역사문화학회 11 (11): 267-306, 2008

      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의 문화정책" 문화발전연구소 1992

      6 金興圭, "판소리의 二元性과 社會史的 背景" 9 (9): 1974

      7 박계리, "충무공 동상과 국가이데올로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2) : 139-175, 2004

      8 강진호, "증언으로서의 문학사" 깊은샘 2003

      9 이동연, "주변부 스포츠 이벤트의 탄생과 국가나르시시즘: 1970년대 아시아 국제축구대회의 근대표상,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현실문화연구 2009

      10 남근우, "조지훈의 民族文化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8 : 1996

      11 宋賛植, "조선후기" 9 (9): 1974

      12 김한상, "조국근대화를 유람하기: 박정희정권 홍보드라이브, 팔도강산 10년"

      13 김수진, "전통의 창안과 여성의 국민화: 신사임당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0) : 215-255, 2008

      14 신현준, "이장희와 1970년대 -실종된 1970년대, 퇴폐 혹은 불온" (28) : 2004

      15 홍경표, "이문구의 ≪우리 동네≫ 연작품 연구 - 농촌 사회의 문화변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20 : 31-54, 2003

      16 신현준, "음악적 공공 공간과 ‘순수/퇴폐’의 문화정치(학): 1970년대 냉전기 한국과 태국에서 청년문화의 출현과 종언,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2" 현실문화연구 2009

      17 문화재관리국, "우리나라의 문화재"

      18 강성률, "영화로 보는 우리 역사 ① 바보들의 행진과 유신시대―이길수 없는 시대에 저항한 두 젊음" 19 : 2005

      19 노지승,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 나타난 하층민 여성의 쾌락 -계층과 젠더의 문화사를 위한 시론(試論)-" 한국현대문학회 (24) : 413-444, 2008

      20 강만길, "역사가의 시간: 강만길 자서전" 창비 2010

      21 김수진, "여성의복의 변천을 통해 본 전통과 근대의 젠더정치 : 해방 이후~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281-320, 2007

      22 김원, "여공 1970, 그녀들의 반역사"

      23 신동욱, "숭고미와 골계미의 양상" (가을) : 1971

      24 차혜영, "성장소설과 발전 이데올로기" 상허학회 12 : 129-163, 2004

      25 장문석, "서평: 파시즘의 최소치와 최대치 사이에서 로버트 팩스턴, ??파시즘: 열정과 광기의 정치 혁명" 한국서양사학회 84 : 2005

      26 백낙청,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겨울) : 1966

      27 배정한, "박정희의 조경관" 한국조경학회 31 (31): 13-24, 2003

      28 정호기, "박정희시대의 '동상건립운동'과 애국주의: '애국선열조상건립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335-363, 2007

      29 은정태, "박정희시대 성역화사업의 추이와 성격" (15) : 2005

      30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 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31 장영민, "박정희 정권의 국사교육 강화 정책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34): 447-489, 2007

      32 김한상, "박정희 정권기 가족서사의 균열과 저항 -김수현의 멜로영화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2) : 283-313, 2009

      33 문승숙, "민족공동체 만들기, In 위험한 여성" 삼인 2001

      34 문화공보부, "문화공보 30년"

      35 유선영, "동원체제의 과민족화 프로젝트와 섹스영화: 데카당스의 정치학" 성곡언론문화재단 15 (15): 2-56, 2007

      36 리영희, "대화" 한길사 2005

      37 송은영,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1970년대 청년문화/문학의 스타일과 소비풍속" 상허학회 15 : 284-301, 2005

      38 박승현, "대중매체의 정치적 기제화:한국영화와 건전성 고양(1966-1979)" 성곡언론문화재단 13 (13): 46-74, 2005

      39 윤영도, "냉전기 국민화 프로젝트와 ‘전통문화’ 담론: 한국·타이완의사례를 중심으로,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2" 현실문화연구 2009

      40 황병주, "국민교육헌장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15 : 2005

      41 공제욱, "국가동원체제 시기 ‘혼분식 장려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비판사회학회 (77) : 107-138, 2008

      42 김판수, "국가’에 의한 상징에서 ‘국민’을 위한 상징으로: 한국 신권 화폐 ‘도안’ 선정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을 중심으로" 2007

      43 박영우, "국가 재건의 시대와 근대적 여성 주체성의 구성 - 영화『상록수』(임권택, 1978)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485-512, 2009

      44 이영미, "광화문 연가" 예담 2008

      45 李佑成, "高麗時代" 9 (9): 1974

      46 任軒永, "近代文學史 論考" 10 (10): 1975

      47 白樂晴, "民族文學의 現段階" 10 (10): 1975

      48 박정희, "民族中興의 길" 光明出版社 1978

      49 趙東一, "朝鮮後期 假面劇과 民衆意識의 成長" 7 (7): 1972

      50 李成茂, "朝鮮前期" 9 (9): 1974

      51 노재봉, "座談―流行이냐 反抗이냐: 韓國의 靑年文化"

      52 김주현(金周炫), "實學 수용과 1960년대 民族文學論의 전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31-354, 2006

      53 姜萬吉, "史觀: 述體裁의 檢討" 9 (9): 1974

      54 辛東門, "創批 10年: 回顧와 反省" 11 (11): 1976

      55 金貞培, "上古史에 대한 檢討" 9 (9): 1974

      56 이혜령, "Time of Capital, Time of a Nation: Changes in Korean Intellectual Media in the 1960s-1970s" 유네스코한국위원회 51 (51): 77-103, 2011

      57 Chatterjee, Partha, "The Nation and Its Fragments : Colonial and Postcolonial Histo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58 姜萬吉, "<民族史學>論의 反省" 11 (11): 1976

      59 주창윤, "1975년 전후 한국 당대문화의 지형과 형성과정" 한국언론학회 51 (51): 5-31, 2007

      60 이호걸, "1970년대 한국영화, In 한국영화사공부:1960~1979" 이채 2004

      61 이혜림, "1970년대 청년문화구성체의 역사적 형성과정- 대중음악의 소비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6 (6): 7-40, 2005

      62 주창윤,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성곡언론문화재단 14 (14): 73-105, 2006

      63 이길성, "1970년대 서울의 극장산업 및 극장문화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04

      64 강정구, "1970년대 민중-민족문학의 저항성 재고(再考)" 국제어문학회 (46) : 45-68, 2009

      65 정지영, "1970년대 '이조여인'의 탄생: '조국근대화'와 '민족주체성'의 타자들" 한국여성연구원 24 (24): 41-78, 2007

      66 염찬희, "1960년대 한국영화 다시 읽기: 반공과 발전 논리를 중심으로,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2" 현실문화연구 2009

      67 김예림, "1960년대 중후반 개발 내셔널리즘과 중산층 가정 판타지의문화정치학,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2" 현실문화연구 2009

      68 김주현,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 상허학회 16 : 379-410, 2006

      69 송은영,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상허학회 32 : 187-226, 2011

      70 임종수, "1960~70년대 텔레비전 붐 현상과 텔레비전 도입의 맥락" 한국언론학회 48 (48): 79-107, 2004

      71 이종님, "1960~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한 ‘공공’이데올로기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In 1960~1970년대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2" 현실문화연구 2009

      72 이상록, "1960~70년대 비판적 지식인들의 근대화 인식" (18) : 2007

      73 오명석, "1960-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4) : 1998

      74 전승주, "1960-70년대 문학비평 담론 속의 ‘민족(주의)’ 이념의 두 양상" 민족문학사학회 (34) : 49-85, 2007

      75 이경란, "1950~70년대 역사학계와 역사연구의 사회담론화 -『사상계』와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52) : 339-38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