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가 행정기관에서 발급하는 자격에는 법적으로 그에 대한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그러하지 못한 현실이다. 한편 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형식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292315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전공 , 2011.2
2011
한국어
서울
v, 112 p. ; 26 cm
지도교수: 김정숙
참고문헌(p. 92-98)과 부록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가 행정기관에서 발급하는 자격에는 법적으로 그에 대한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그러하지 못한 현실이다. 한편 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형식이 ...
현재 국가 행정기관에서 발급하는 자격에는 법적으로 그에 대한 보수교육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아직 그러하지 못한 현실이다. 한편 한국어 교육의 목적과 형식이 다양해지고 한국어교원의 노동 조건이 변하고 있는 현실에서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외국어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론이 개발되고 교육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어 교육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어교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의 인지적 발달단계와 단계별 현직교육의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과정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과 시의성을 피력하고 선행 연구의 성과를 검토하는 것을 서론으로 하여 본론에서는 조사·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그것의 의미를 도출한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마지막 결론에는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과 관련한 논의에는 내용과 형식에 대한 논의와 교육 현장의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큰 흐름이 있으나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현직교육의 법규범적 근거가 미약하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의 프로그램 개발이 부재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을 기존 연구의 의의로 밝힌다.
둘째, 본 연구는 성인으로서 한국어교원의 인지적 발달을 ‘자아발달’, ‘관심’, ‘개념 수준’의 종합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형성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 원숙단계’의 4단계로 고찰한다. 한편 한국어교원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역량을 ‘한국어 교직 전문 역량’, ‘한국어 교육 전문 역량’, ‘한국어 학습 지원 역량’으로 세분화한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인지적 발달 단계와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를 가늠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개발한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어교원은 지식-기술적인 면모보다 인성-태도의 측면에서 발달 정도가 높으며 인지적 발달은 한국어 교육의 전공 여부와 교원의 학력, 교사 인증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단계별로는 형성 단계는 전공, 성장 단계는 나이, 성숙 단계는 학력, 원숙 단계는 교사인증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넷째,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 프로그램은 성인의 직업 교육의 맥락에서, 문제해결의 자기 성찰의 반성적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발달 단계에서 취약한 집단으로 나타난 단기과정을 이수하고 교원자격증을 획득하지 못한 교원을 대상으로 분석 결과를 대입하여 프로그램 실제를 구성한다.
다섯째, 본 연구의 의의는 자료를 수집하여 한국어교원의 인지적 발달 상태를 파악하고 현직교육의 직접적인 요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는 데 있으나 인지발달 요인의 분석틀과 대상이 협소하므로 한국어교원 전반에 대한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각 발달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범용 프로그램 개발로 나아가는 데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앞으로 한국어교원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직교육의 일반적 이론의 정립과 현직교육 다양한 범용 프로그램 개발을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