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석고계 바인더를 활용한 습도도절 세라믹 보드의 특성 평가 = Evaluation of Humidity Control Ceramic Board Using Gypsum Bin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1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tive clay, bentonite and zeolite were used as porous materials for humidity controlling ceramic boards. The specific area and the pore volume of active clay were higher than bentonite and zeolite. The flexible strength of the gypsum board decreased ...

      Active clay, bentonite and zeolite were used as porous materials for humidity controlling ceramic boards. The specific area and the pore volume of active clay were higher than bentonite and zeolite. The flexible strength of the gypsum board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porous material, and the flexible strength was lowest when active clay with a higher specific surface area than others porous materials was added.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otal pore volume of ceramic boards containing porous material were highest at $102.25m^2/g$, $0.142cm^3/g$, respectively, when the active clay was added. In addition, as the amount of added porous materials increased,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otal pore volume of the ceramic board increased, but the average pore diameter decreased. The addition of s porous materials with a high specific area and a large pore volume improved the moisture absorptive and desorptive performance of the ceramic board.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moisture absorptive and desorptive properties were the best when active clay was added. Furthermore, as the amount of added porous materials increased, the moisture absorptive and desorptive properties improved. When 70 mass% of active clay was added to ${\alpha}$-type gypsum, the hygroscopicity was the highest, about $300g/m^2$, in this experi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 H. Sim, 32 : 275-, 2006

      2 J. H Noh, 19 : 311-, 2006

      3 J. Zheng, 114 : 450-, 2017

      4 D. H. Vu, 38 : 1066-, 2013

      5 노진환, "영일 지역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의 광물특성 및 생성환경" 한국광물학회 17 (17): 135-145, 2004

      6 최윤정, "아파트 개조 전후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변화 실태" 한국주거학회 18 (18): 59-67, 2007

      7 방승기, "신축 아파트의 실내 마감재 변경 및 시공단계별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 특성" 대한설비공학회 18 (18): 486-492, 2006

      8 임두혁, "다공성 원료를 사용한 수열합성 패널의 물성과 포름알데히드 흡착 특성" 한국세라믹학회 46 (46): 627-632, 2009

      9 정의종, "다공성 원료를 사용한 석고보드의 흡습 특성" 한국재료학회 19 (19): 538-543, 2009

      10 추용식, "Hygroscopic Characteristic of Hydrothermal Reacted Panels Using Porous Materials" 한국세라믹학회 45 (45): 832-838, 2008

      1 S. H. Sim, 32 : 275-, 2006

      2 J. H Noh, 19 : 311-, 2006

      3 J. Zheng, 114 : 450-, 2017

      4 D. H. Vu, 38 : 1066-, 2013

      5 노진환, "영일 지역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의 광물특성 및 생성환경" 한국광물학회 17 (17): 135-145, 2004

      6 최윤정, "아파트 개조 전후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변화 실태" 한국주거학회 18 (18): 59-67, 2007

      7 방승기, "신축 아파트의 실내 마감재 변경 및 시공단계별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 특성" 대한설비공학회 18 (18): 486-492, 2006

      8 임두혁, "다공성 원료를 사용한 수열합성 패널의 물성과 포름알데히드 흡착 특성" 한국세라믹학회 46 (46): 627-632, 2009

      9 정의종, "다공성 원료를 사용한 석고보드의 흡습 특성" 한국재료학회 19 (19): 538-543, 2009

      10 추용식, "Hygroscopic Characteristic of Hydrothermal Reacted Panels Using Porous Materials" 한국세라믹학회 45 (45): 832-83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3-01 평가 SCOPUS 등재 (기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5 0.15 0.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3 0.25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