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 무동기 변화 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관계 및 또래관계의 변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기를 중심으로 = Changing patterns of amotiv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to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provision of rationale, and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transition to secondary schoo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changes in students’ patterns of a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changes in students’ patterns of amotivation from 6th to 7th as their academic burdens increased. This study used 3rd (6th grade) and 4th (7th grad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Participants were 1,495 males (51%) and 1,439 females (49%). After analyzing the profile of each grade, 3 groups were found based on their changes of amotivation: “Amotivation In” group(n=202), “Amotivation Stay” group(n=109), “Amotivation Out” group(n=60).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how changes 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to changes in “Amotiv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motivation changing patterns and changes in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the “Amotivaton Stay”group, the “Amotivation In” group’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Amotivation Out” group’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may influence learners’ motiv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무동기 변화에 따른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무동기 변화에 따른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의 3차(초6)와 4차(중1)년도에 참여한 2,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무동기의 변화양상을 구분하기 위해 초6과 중1 시점 각각의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무동기를 제외한 다른 동기유형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프로파일 집단을 무동기 집단으로, 무동기는 낮고 다른 동기유형은 낮지 않은 프로파일 집단을 동기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무동기 진입’, ‘무동기 유지’, ‘무동기 이탈’의 3개 집단으로 무동기 변화유형을 구분하였다. 무동기 변화유형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학생 관계, 및 또래 관계에서 두 시점 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무동기 유지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무동기 이탈집단은 초6에 비해 중1시기 모든 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무동기 진입집단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나타났다. 두 시점 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무동기 유지집단에 비해, 무동기 이탈집단의증가는 유의미하게 컸으며 무동기 진입집단의 감소는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무동기 학생의 탈무동기 및 동기 증진에 도움이 되는 지도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111-134, 2008

      2 김주환,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243-264, 2006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이창현, "학습무동기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155-181, 2018

      5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6 구경호, "청소년이 지각한 학습동기와 학업탄력성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47, 2014

      7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70-189, 2004

      8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405-423, 2006

      9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10 송병국, "청소년의 발달 단계에 따른 대인관계, 성취압력, 부모지원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65-287, 2016

      1 김아영,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111-134, 2008

      2 김주환,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243-264, 2006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이창현, "학습무동기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155-181, 2018

      5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6 구경호, "청소년이 지각한 학습동기와 학업탄력성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47, 2014

      7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70-189, 2004

      8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405-423, 2006

      9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10 송병국, "청소년의 발달 단계에 따른 대인관계, 성취압력, 부모지원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65-287, 2016

      11 이은주, "청소년기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71-494, 2018

      12 이은주, "집단괴롭힘과 사회적 선호도의 관계의 다양성 : 회귀혼합모델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63-89, 2013

      13 김민성,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자기결정성,학습노력, 학업성취, 학교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43-70, 2010

      14 조현철, "중학생의 학습무동기에 따른 학습태도,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적에 대한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11 (11): 53-74, 2013

      15 이규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7-40, 2008

      16 엄선영,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89-100, 2012

      17 이숙정,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197-218, 2006

      18 김민성, "중고등학교 시기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의 종단적 변화가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429-459, 2012

      19 김희정, "중·고등학생의 교사-학생관계, 학습동기 변인, 학습몰입 간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409-429, 2013

      20 허유성, "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종적전환 과정에서 자기결정적 동기 변화유형과 유형 간 교사-학생관계 및 교우관계의 차이"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45-63, 2014

      21 박병기, "자기결정성이론이 제안한 학습동기 분류형태의 재구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699-717, 2005

      22 김성수,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구 동향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0 (50): 77-106, 2012

      23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24 김신아,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집단별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5 (45): 29-52, 2014

      25 이은주, "무동기의 발달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교육학회 53 (53): 111-135, 2015

      26 조현철,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33-60, 2011

      27 조한숙,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신뢰, 공감적 이해수준 및 아동의 학습동기와의 관계: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 30 (30): 23-39, 2009

      28 Legault, L., "Why do high school students lack motivation in the classroom? Toward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amoti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98 (98): 567-582, 2006

      29 Van den Broeck, A., "Unraveling the importance of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workers’ motivation for well-being : A person-centered perspective" 82 (82): 69-78, 2013

      30 Gottfried, A. E., "Toward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ization of gifted motivation" 48 (48): 121-132, 2001

      31 Deci, E. L., "The"what"and"why"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32 Muller, C., "The role of caring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or at-risk students" 71 (71): 241-255, 2001

      33 Murdock, T. B., "Teachers as sources of middle school students'motivational identity : Variable-centered and person-centered analytic approaches" 103 (103): 383-399, 2003

      3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6

      35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55): 68-78, 2000

      36 Deci, E. L., "Self-determination in a work organization" 74 (74): 580-590, 1989

      37 Stewart, T.,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sources and early adolescents’ mental health :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 achievement level" 48 (48): 1016-1033, 2011

      38 Hayenga, A. O., "Profil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34 (34): 371-383, 2010

      39 Vallerand, R. J., "On the assessment of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 in education : Evidence on the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53 (53): 150-172, 1993

      40 Vansteenkiste, M., "Motivational profiles from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 The quality of motivation matters" 101 (101): 671-688, 2009

      41 Skinner, E. A., "Motivation in the classroom : reciprocal effects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85 (85): 571-581, 1993

      42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rentice Hall 2002

      43 Otis, N., "Latent motivational change in an academic setting : A 3-year longitudinal study" 97 (97): 170-184, 2005

      44 Baker, S. R.,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al orientation : Their role in university adjustment, stress, well-being, and subsequent academic performance" 23 (23): 189-202, 2004

      45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46 Lepper, M. R.,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in the classroom : Age differences and academic correlates" 97 (97): 184-196, 2005

      47 Muthén, B., "Integrating person centered and variable centered analyses :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24 (24): 882-891, 2000

      48 Marsh, H. W., "In search of golden rules: Commment on hypothesis-testing approaches to setting cutoff values for fit indexes and dangers in overgeneralizing Hu and Bentler's (1999) findings" 11 (11): 320-341, 2004

      49 Midgley, C. M., "Goals, goal structures, and patterns of adaptative learning" Erlbaum 2002

      50 Sheldon, K. M., "Getting older, getting better? Personal strivings and psychological maturity across the life span" 37 (37): 491-501, 2001

      51 Green-Demers, I., "Factorial invariance of the Academic Amotivation Inventory(AAI)across gender and grade in a sample of Canadian high school students" 68 (68): 862-880, 2008

      52 Dweck, C. S.,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Press 57-88, 2002

      53 Ratelle, C., "Autonomous, controlled, and amotivated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 A person-oriented analysis" 99 (99): 734-746, 2007

      54 Van Horn, M. L., "Assessing differential effects : Applying regression mixture models to identify variations in the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on academic achievement" 45 (45): 1298-1313, 2009

      55 Soenens, B.,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elf-determination in 3 life domains : The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34 (34): 589-604, 2005

      56 Ntoumanis, N., "An idiographic analysis of amotivation in compulsory school physical education" 26 (26): 197-214, 2004

      57 Hardre, P. L., "A motivational model of rural students' intentions to persist in, versus drop out of, high school" 95 (95): 347-356, 2003

      58 Cheon, S. H., "A classroom-based intervention to help teachers decrease students’ amotivation" 40 : 99-111,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24 2.3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