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Kuramoto에 의해 처음 발견된 수원청개구리(Dryophytes suweonensis)는 제 한된 서식 범위와 교란에 따른 개체군 감소의 영향 등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이 되어 관리되고 있다. 최근까지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06550
2024
Korean
497
학술저널
9-9(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76년 Kuramoto에 의해 처음 발견된 수원청개구리(Dryophytes suweonensis)는 제 한된 서식 범위와 교란에 따른 개체군 감소의 영향 등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이 되어 관리되고 있다. 최근까지도 ...
1976년 Kuramoto에 의해 처음 발견된 수원청개구리(Dryophytes suweonensis)는 제 한된 서식 범위와 교란에 따른 개체군 감소의 영향 등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이 되어 관리되고 있다. 최근까지도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이 번식지인 논이 대상이었다. 이에 따라, 논을 관리하는 것 외에는 뚜렷한 방 안이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물을 대는 논농사가 약 4000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논을 수원청개구리의 주서식지 및 보호 대상으로 보기에는 제한점 이 있다. 따라서,“수원청개구리는 번식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논 주변 환경에서 활동할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2024년 5월 21~22일 평택 지역에 서식하는 수원청개구리가 이용하는 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912개체가 11목 11과 26종의 식물에서 발견되었다. 수원청개구리가 가장 높 은 빈도로 이용한 식물은 사초목(Cyperales) 벼과(Poaceae)에 속하는 갈대 (Phragmites australis)로 전체 87.4%였으며, 소리쟁이 (Rumex crispus, 4.8%), 쑥 (Artemisia indica, 2.0%) 순이었다(p<0.0001). 수원청개구리는 식물의 잎(88.6%)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으며, 줄기(8.8%), 지면(2.6%)순이었다(p<0.0001). 갈대는 주로 습지 및 하구에 서식하는 수생식물이며, 논 주변 하천이나 수로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아마도 수원청개구리는 평소 갈대가 자라는 환경에서 활동하다가 번식을 위해 논으로 이동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수원청개구리의 보호를 위해서는 논 뿐만 아니라 수생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발견된 개체수는 현재까지 발견된 그 어느 지역의 수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연구 및 조사 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광주 중앙공원에 포획·방사한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개체군 규모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에 서식하는 수원청개구리(Dryophytes suweonensis)와 노랑배청개구리(D. flaviventris)의 음성, 유전, 형태적 비교 연구
청개구리(Dryophytes japonicus) 주간 울음소리의 음성학적 특성과 환경요인에 따른 음성 활동성 비교
Buddhism in East Asia
K-MOOC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Juhn Ahn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