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밋 Arcuatula senhousia의 생식생태학적 기초자료와 생물자원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료는 벌교읍 여자만에서 2019년 6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채집하여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36546
2024
Korean
종밋 ; 성비 ; 생식소지수 ; 생식주기 ; 주 산란기 ; Arcuatula senhousia ; Sex ratio ; Gonad index ; Reproductive cycle ; Main spawning period
KCI등재
학술저널
84-94(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밋 Arcuatula senhousia의 생식생태학적 기초자료와 생물자원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료는 벌교읍 여자만에서 2019년 6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채집하여 분...
본 연구는 종밋 Arcuatula senhousia의 생식생태학적 기초자료와 생물자원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료는 벌교읍 여자만에서 2019년 6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식소는 다수의 생식소형성소낭으로 구성되었다. 성비 (암:수)는 1:1.1 (n=128:140, 암컷 46.4%)였으며, 각장이 증가함에 따라 수컷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식소지수는 암, 수 모두 5월에 연중 최고값을 보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1.0 이하의 낮은 값을 보였다. 육중량비는 생식소지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월별 생식소발달단계의 변화는 비활성기 (1-2월), 초기활성기 (3-4월), 후기활성기 (4-5월), 완숙기 (5-6월), 방출기 (6-8월), 퇴화기 (9-1월)였다. 종밋의 생식소 활성은 암컷과 수컷 모두 하계에 높고, 동계에 낮은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보였으며, 주 산란기는 6-8월로 분석되었다. 종밋 개체군의 암컷과 수컷 모두 최소 72.7% 이상이 각장 10.1 mm 이상에서 성숙하였으며, 50% 군성숙 크기는 각장 약 10.0 mm로 분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basic reproductive ecology and biological resource management of the Arcuatula senhousia.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June 2019 to May 2020 in Yeoja Bay, Beolgyo-eup. The gonad consis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basic reproductive ecology and biological resource management of the Arcuatula senhousia.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June 2019 to May 2020 in Yeoja Bay, Beolgyo-eup. The gonad consisted of a number of gametogenic follicles, the overall sex ratio (F:M) was 1:1.1 (n=128:140, F: 46.4%), and the frequency of males tended to increase as shell length increased. The gonad index for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the highest value during May, after which it decreased sharply, and showed a low value of less than 1.0 from November to January. The meat weight rate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gonad index. Monthly variations of gonadal development were inactive stage (January-February), early active stage (March-April), late active stage (April-May), ripe stage (May-June), spent stage (June-August) and degenerative stage (September-January). The gonadal activity showed a pattern of seasonal changes, high in summer and low in winter. The main spawning period was June to August. At least 72.7% of the group, considering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maturity at 10.1 mm SL or more. Furthermore, the size of 50% group maturity was shown at approximately 10.0 mm SL.
흰다리새우 양식장 미생물 조성 분석 및 수질 관리와 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연어(Oncorhynchus keta)의 초기 생활사에 아질산성 질소 노출이 미치는 급성 독성
염분 농도에 따른 붕장어(Conger myriaster) 치어의 반수치사농도 및 조직학적 변화
수인성 카드뮴 급성 노출에 의한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의 독성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