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부모자녀관계와 조망수용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606010
용인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학위논문(석사) --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2
2002
한국어
375.1 판사항(4)
경기도
vi, 76 p. : 삽도 ; 26 cm.
참고문헌: p. 49-5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부모자녀관계와 조망수용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부모자녀관계와 조망수용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에 관련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자녀관계에 따라 자녀의 조망수용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자녀관계에 따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용인시 수지에 위치한 C 어린이집 유아 40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들의 연령은 만 3세 20명 (범위 43 - 54개월, 평균 49 ) 과 만 5세 유아 20명(범위 67- 80 개월, 평균 72 )이다.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에게 의사소통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문항 구성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대화법을 분석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신건호(1996)의 연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에게는 각각 조망수용능력 검사와 친사회적 행동동기 검사를 하였다. 조망수용능력검사는 Hudson, Forman과 Brion (1982)의 조망수용도구를 기초로 신현옥 (1995)이 사용했던 검사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동기 검사는 Dreman과 Greenbaum (1973)이 공동 제작한 검사 도구로 권옥자(198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결과는 SPSS(1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편차를 제시하고 필요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관계와 연령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관련 변인들간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두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Indpendent Sample)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와 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망수용능력이 증가하지만 부모자녀관계가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친사회적 행동에 있어서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친사회적 행동은 증가하였고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자녀관계가 인간지향적일 때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는 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부모자녀관계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그 관계가 인간지향적일 때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를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방법에서 지위지향적인 관점보다는 인간지향적인 관점을 가져야 하며, 그들이 자신의 자녀이기 이전에 한 인간이라는 관점과 시각으로 바라보는 부모들의 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부모들의 자세는 결국 자녀의 조망수용능력을 길러주게 되고 친사회적 행동도 발달시켜 '더불어 사는 사회' 에 공헌하는 유아로 성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s of parent child interacti on on child's perspective t 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so as to help parents wi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ole as a parent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s of parent child interacti on on child's perspective t 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so as to help parents wi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ole as a parent and to provide them with some related funda mental information.
To achieve the purpose,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hat we had to focus on in our research :
1. Does parent - child int eraction have any effect on child's per spective taking ability?
2. Does parent - child int eraction have any effect on child's prosocial behavior?
3. Is ther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ship between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 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40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C kindergar tn located in Suji, Yongin. The children group was consisted of twenty 3- year - old childr en (range = 43- 54 months , mean age = 49 months) and twenty 5- year - old children (range = 67- 80 months, mean age = 72 months ).
W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to determine parents ' communication types. To do this, we modified the in strument s that Shin Keon - ho(1996) developed to analyzet he communication types.
As for children, we performed the tests to determine child's perspectve taking ability and the motive of child' s prosocial behavior, respectively. In order to test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we modified to use the in struments that Shin Hyeon - ok (1995) developed based on those of Hdson, Forman and Brion (1982). And we also modified to use the instrument s that Dr eman and Greenbaum (1973) co- dev eloped then Kwon Ok- ja (1987) modified, in order to test the motive of child's prosocial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0.0%). For the analysis , we presented the values of average and deviation for each group and did the statistical analysis .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tems of parent child interaction and ages, we used the two- way ANOVA. An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ed factors and performed the Independent Sample T - test to measure the difference between values of two groups.
To sum up the results :
First, it was showed that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high when its age was also high. But parent child interaction was showed not to have any positive effects on child' sperspective taking ability.
Secondly, the older children showed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the younger ones. And itwas showed that parent child interaction had effects on child'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s of parent child interaction on child's prosocial behavior were great, especially when it was person - oriented.
Thirdly, it was showed that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closely related to it s pro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we noted that parent child int eraction affected child's prosocial behavior, especially when it was person - oriented and also that a child showed more prosocial behaviors when it had higher perspective taking ability. Parent child interaction was closelyrel ated to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o build a sound parent child relationship, therefore, we have to try to keep the person - orient ed communications with our children rather than the position - oriented ones and also to regard them as a person with human right equal to ours. If we take such attitudes, then it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and they will be growing in harmony with our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