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일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및 가사노동시간, 시간부족감이 부부 중심 가족식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ing hours, housework time, and subjective time pressure on family mealtime for dual-income couples in weekd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2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pathway for family mealtime as a sharing time with a couple. Concretely, it is the effects of working hours, housework time, and subjective time pressure on family mealtime for dual-income couples in weekda...

      Objective: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pathway for family mealtime as a sharing time with a couple. Concretely, it is the effects of working hours, housework time, and subjective time pressure on family mealtime for dual-income couples in weekday. Method: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re Time Use Survey 2014 of Statistics Korea.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111 cases through matching husbands and wives. The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family mealtime during weekday, husbands’ working hours and subjective time pressure were negative association. In addition, husbands' working hours were related to family mealtime via subjective time pressure as mediator. Second, in contrast to husbands, wives' working hours and subjective subjective time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ime for family meal. subjective time pressur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ime for family meal. Third, housework time excluding the domain of food for husbands was positively related to family mealtime. Meanwhile, in case of wives, housework time excluding the domain of food was negatively concerned with family mealtime. Fourth, housework time of the domain of food for wiv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amily mealtime. Conclusions: Major results implied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in the pathway from working hours and housework time to family mealtime mediated by subjective time pressure in dual-income families during weekd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정, "현대인의 일상 식생활 - 문제점과 해결방안 -" 대한가정학회 44 (44): 151-160, 2006

      2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149-177, 2006

      3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4 차승은,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6 (46): 103-116, 2008

      5 조주은, "중간계급 유배우 취업여성의 압축적 시간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노혜진, "재량시간(discretionary time)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61-87, 2013

      7 김진방, "이혼가능성과 가구내 시간배분 협상" 한국여성경제학회 13 (13): 85-107, 2016

      8 김영혜, "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 가사노동분담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진욱,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5-161, 2015

      10 최문경, "소비자의 웰빙 식생활 추구성향에 따른 외식소비행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 김미정, "현대인의 일상 식생활 - 문제점과 해결방안 -" 대한가정학회 44 (44): 151-160, 2006

      2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 149-177, 2006

      3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4 차승은,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6 (46): 103-116, 2008

      5 조주은, "중간계급 유배우 취업여성의 압축적 시간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노혜진, "재량시간(discretionary time)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61-87, 2013

      7 김진방, "이혼가능성과 가구내 시간배분 협상" 한국여성경제학회 13 (13): 85-107, 2016

      8 김영혜, "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 가사노동분담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진욱,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35-161, 2015

      10 최문경, "소비자의 웰빙 식생활 추구성향에 따른 외식소비행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유소이,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3 (13): 53-68, 2002

      12 한지수, "부인과 남편의 시간사용 유형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9 (9): 41-57, 2005

      13 조성호,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9 (39): 57-79, 2016

      14 박은정,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97-111, 2013

      15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1, 2008

      16 지민웅,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상호 대체재인가? 법정근로시간단축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한국여성경제학회 11 (11): 1-31, 2014

      17 배호중,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51-182, 2015

      18 곽태원, "노동시간 단축이 맞벌이부부 시간배분 결정요인에 미친 영향: 젠더효과와 비교우위효과 검정" 한국가족학회 29 (29): 37-66, 2017

      19 차승은,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회 33 (33): 27-49, 2010

      20 최혜지,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19 (19): 75-102, 2007

      21 김외숙,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33-152, 2012

      22 장인수, "기혼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5 (95): 41-72, 2017

      23 주익현, "계층별 맞벌이 여성의 시간부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6 (46): 111-135, 2015

      24 조희금,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시간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28, 2011

      25 김진원, "가족식사활동이 기혼여성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4) : 81-111, 2014

      26 배희분, "가족식사 빈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25-149, 2013

      27 이기영, "가족공유 가사노동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03-128, 2011

      28 김경미, "가족간 식사, 통화 및 여가활동과 중년기의 행복"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279-300, 2012

      29 Han, G. M., "Wives’ leisure time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8 (8): 69-82, 1990

      30 Bittman, M., "When does gender trump money? Bargaining and time in household work" 109 (109): 186-214, 2003

      31 Szollos, A., "Toward a psychology of chronic time pressure" 18 (18): 332-350, 2009

      32 Cho, H. K., "Time use of married female production workers" 31 (31): 1993

      33 Han, K. M., "Time use of employed wiv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9 (9): 171-190, 1991

      34 Bryant, W. K., "Time together, time apart : An analysis of wives’ solitary time and shared time with spouses" 11 (11): 89-119, 1990

      35 Feldman, L. P., "The use of time :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7 (7): 407-419, 1981

      36 Doherty, J. W., "The intentional family:Simple rituals to strengthen family ties" Harper 2002

      37 Shelton, B. A.,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22 : 299-322, 1996

      38 Cho, M., "Studying the types of work schedules of Korean households by focusing on work–Life balance" Seoul University 2017

      39 Puterbaugh, D., "Rituals in relationships" 137 (137): 68-71, 2008

      40 Fiese, H. B., "Reclaiming the family table : Mealtimes and child health and wellbeing" 22 (22): 1-20, 2008

      41 Roxburgh, S., "Racing through life : The distribution of time pressures by roles and role resources among full-time workers" 23 (23): 121-145, 2002

      4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1

      43 Guest, D. E.,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41 (41): 255-279, 2002

      44 Fisher, K., "Measuring work-life balance using time diary" 1 (1): 1-13, 2004

      45 Brody, H. G., "Maternal psychological functioning, family processes, and child adjustment in rural, single-parent, African American families" 33 (33): 1000-1011, 1997

      46 Fuwa, M., "Macro-level gender inequality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22countries" 69 : 751-767, 2004

      47 Gronau, R.,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85 (85): 1099-1123, 1977

      48 Park, S. H., "Korean social welfare policy theory: Creating a beautiful world"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shing 2010

      49 Cha, S. R., "Interactive effects of wives' and husbands' gender idelogies on the couples'household work time and perceptions of the fairness household work" 36 (36): 139-152, 1998

      50 Um, M. Y., "Identification of the phenomenon of dismantling family and exploration of family recovery policy" 11 : 9-28, 2000

      51 Fiese, H. B., "Family rituals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hood" 55 (55): 633-642, 1993

      52 Cason, L. K., "Family mealtimes : More than just eating together" 106 (106): 532-533, 2006

      53 Presser, H. B., "Employment schedules among dual-earner spouses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by gender" 59 (59): 348-364, 1994

      54 Fiese, H. B., "Development of the family ritual questionnaire : Initial reliability and validation studies" 6 (6): 290-299, 1993

      55 Aassve, A., "Desperate housework : relative resources, time availability, economic dependency, and gender ideology across Europe" 35 (35): 1000-1022, 2014

      56 Eisenberg, E. M.,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158 (158): 792-796, 2004

      57 Scholderer, J., "Consumers, food and convenience : The long way from resource constraints to actual consumption patterns" 26 : 105-128, 2005

      58 Kim, H., "Comparison of the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between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and on-site workers : Focused on the domain of food" 39 (39): 25-39, 2001

      59 Cha, S. R., "Comparative study on time use of married women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19 : 123-147, 2008

      60 Kim, Y. S., "Analysis of family sharing time focused on meals, domestic labor, and leisure" Statistics Korea 2010

      61 Sullivan, O., "An end to gender display through the performance of housework? A review and reassessment of the quantitative literature using insights from the qualitative literature" 3 : 1-13, 2011

      62 Lee, G. Y.,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time use of employed husbands and their wives" 32 (32): 1-16, 1994

      63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64 Becker, G. S.,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75 (75): 493-517, 1965

      65 Park, M. S., "A study on time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of full time housewives" 35 (35): 173-189, 1997

      66 Lee, G. Y., "A study on the time shared with parents and children" 16 (16): 123-136, 1998

      67 Song, H., "A study on husbands’participation to household-labor in dual-earner families" 2 (2): 103-115, 2000

      68 Fiese, H. B., "A review of 50 years of research on naturally occurring family routines and rituals : Cause for celebration?" 16 (16): 381-390, 2002

      69 Park, S. M., "A Study on the Living World of Korean Women"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5

      70 Chi, Y., "A Study on family leisure of the School age families" 19 (19): 153-165, 2001

      71 Hong, S. H., "A Study of the influence of family leisure on famly functioning" 1 (1): 51-71, 2003

      72 Statistics Korea, "2017 Marriage·divorce statistics"

      73 김소영, "18세 이하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식사시간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55 (55): 465-480,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41 1.5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