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 세조대 강론(講論)의 시행과 유신(儒臣)의 성장 = The Administration of Royal Lectur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Scholar under King Sejo in early Joseon(1455-1468) in early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6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 세조대 유교정치의 상징과도 같은 경사 강론의 시행과 특징을 검토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세조는 쿠데타로 집권하였기에 결코 왕권을 정당화할 수 없었고, 세조의 정책은 ‘...

      이 연구는 조선 세조대 유교정치의 상징과도 같은 경사 강론의 시행과 특징을 검토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세조는 쿠데타로 집권하였기에 결코 왕권을 정당화할 수 없었고, 세조의 정책은 ‘反 유교’로 규명되고, 그의 치세는 ‘유교적 정치이념이 퇴색한 시대’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세조야말로 유교이념으로 즉위와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할 절대적인 필요가 있는 군주였다. 세조 치세의 儒臣 역시 유학자로서의 도덕성과 관료로서 벼슬한 명분을 확보해야만 하였다. 이에 세조대 경사 강론의 내용과 의미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세조 역시 경연은 잠시도 폐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매일 열도록 하였다. 그런데 세조는 경연에서 매우 전제적인 왕권의 행사를 옹호하였고, 경연이 경전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국운영방안을 논하는 자리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세조는 경연을 군주 주도의 친강으로 운영하였다. 친강에서 세조는 참석자를 교육·평가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다루는 책도 대개 세조가 결정하였다. 세조는 조정의 종친과 관료들이 모인 자리에서 친강을 통해 군주의 정국 운영과 치도 방안을 주지하였다. 셋째 강론은 세조가 신진 유신을 적극 양성하는 자리였을 뿐만 아니라, 신진 유신에게도 성장의 자리로 기능하였다. 넷째 점차 세조의 강론은 공론을 개진하는 자리와 거리가 있다는 유신의 불만이 불거져 나왔다. 세조가 유학 이외에 다양한 학문을 두루 익히게 한 조처에 대해서도 유학자는 자신들의 정체성과 자존심을 상하게 한 조처로 받아들였다. 결국 세조대는 성종 이후 조선의 정치가 공론을 중시하는 사대부 중심의 정치로 흘러가고, 그에 따라 유자가 治者로서의 정체성과 구분의식을 갖게 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valuates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Lectures under king Sejo`s administration. Current literature has so far suggested that Sejo, being enthroned as a result of a coup, could not legitimize his sovereignty, and that he thu...

      This research evaluates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Lectures under king Sejo`s administration. Current literature has so far suggested that Sejo, being enthroned as a result of a coup, could not legitimize his sovereignty, and that he thus instituted `a policy of Anti-Confucianism`, and that his ``era was one where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had faded``. Yet this appraisal overlooks the ideological reality that Sejo, as a sovereign, desperately needed a Confucian legitimization of his enthronement and rule. By narrowing in on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 Royal Lectures, as a herald of the Confucian Politic, were administered, and their significance, these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Sejo emphatically stated that the Royal Lectures, being initi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ought to be held every single day. Within these Royal Lectures, Sejo importantly supported an absolute monarch`s right to exercise his power, and further suggested that the Royal Lectures were not merely a place for scriptural exegesis but a time for discussing the ways in which the body politic ought be ordered. Second, Sejo administered a kind of ``Sovereign`` Royal Lecture, where he himself would lead the discussion and query the participants of the lecture. These lectures constituted of Sejo instructing and evaluating the participants on material that Sejo himself selected. Whereas previous Royal Lectures had the edification of the sovereign on scholarly matters as its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overeign`` Royal Lectures under Sejo was the edification of the Court`s near-kin royals and officials on the ways in which a sovereign should govern and oversee the body politic. Third, Sejo utilized the Sovereign Royal Lectures as a place to actively bring up new Confucian scholars. Sovereign Royal Lectures were an equally important place for Confucian scholars, who had the chance to secure official appointments by or through them. Fourth, some Confucian scholars expressed discontent that the Royal Lectures, dominated by Sejo, were far from a place to advance public debate. Further, when Sejo encouraged the studying of scholarly disciplines other than Confucianism, many Confucian scholars took offence, considering it as a blow to their identity and dignity. All in all, it can be said that the Sejo era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as the literati(Sadaebu), who placed importance on public debate, became the centre of Joseon`s politics after King Seong-jong, and in relation, as the Confucian scholar came to have a distinct identity and consciousness as magistr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두희, "조선초기 정치지배세력연구" 일조각, 1983

      2 오항녕, "조선초기 문한관서의 정비와 사관제도" 한국사연구 7, 1999

      3 최정용, "조선조 세조의 국정운영" 신서원, 2000

      4 한영우,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을유문화사, 1983

      5 한영우,한영우, "조선전기 사회사상연구" 지식산업사, 1983

      6 김돈, "조선전기 군신권력관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7 "조선왕조실록"

      8 정두희, "조선시대의 대간연구" 일조각, 1994

      9 원창애, "조선시대 예문관 분관 실태와 한림의 관직 승진 양상" 조선시대사학보 (57) : 207 ~ 241, 2011

      10 유승원,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탄생에 대한 시론" 역사비평 (79) : 194 ~ 250, 2007

      1 정두희, "조선초기 정치지배세력연구" 일조각, 1983

      2 오항녕, "조선초기 문한관서의 정비와 사관제도" 한국사연구 7, 1999

      3 최정용, "조선조 세조의 국정운영" 신서원, 2000

      4 한영우,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을유문화사, 1983

      5 한영우,한영우, "조선전기 사회사상연구" 지식산업사, 1983

      6 김돈, "조선전기 군신권력관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7 "조선왕조실록"

      8 정두희, "조선시대의 대간연구" 일조각, 1994

      9 원창애, "조선시대 예문관 분관 실태와 한림의 관직 승진 양상" 조선시대사학보 (57) : 207 ~ 241, 2011

      10 유승원, "조선시대 '양반'계급의 탄생에 대한 시론" 역사비평 (79) : 194 ~ 250, 2007

      11 "용재총화" 1971

      12 최선혜, "연산군 시대 先王 世祖와 成宗에 대한 기억과 충돌" 서강인문논총 (35) : 287 ~ 324, 2012

      13 "연려실기술" 1986

      14 최승희, "세조대 왕위의 취약성과 왕권강화책" 조선시대사학보 1, 1997

      15 최승희, "세조대 국정운영체제" 조선시대사학보 5, 1998

      16 김태완, "경연, 왕의 공부" 역사비평사, 2011

      17 최승희, "集賢殿硏究―置廢始末과 機能分析―, 上, 下" 역사학보 (32ㆍ33),

      18 윤정분, "明初 經筵제도의 배경과 그 특징 ― 朱元璋의 經史 강론과 군주권 강화를 중심으로 ―" 명청사연구 (25) : 1 ~ 27, 2006

      19 Yon-Ung Kwon, "The Royal Leture of Early Yi Korea-Institution, Ideology, and Politics" University of Hawaii,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