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은 우리민족이 즐겨왔던 서정가요의 대표격이다. 그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문화사적 관점에서 언제부터 아리랑이 불리기 시작했을까 하는 기원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55390
2013
Korean
아리랑 ; 진도아리랑 ; 밀양아리랑 ; 정선아리랑 ; 산아지타령 ; 시나위조 ; 메나리조 ; Arirang ; Jindo Arirang ; Milyang Arirang ; Jeongseon Arirang ; SanajiTaryung ; Sinawi-jo ; Menari-jo
KCI등재
학술저널
85-10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리랑은 우리민족이 즐겨왔던 서정가요의 대표격이다. 그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문화사적 관점에서 언제부터 아리랑이 불리기 시작했을까 하는 기원론...
아리랑은 우리민족이 즐겨왔던 서정가요의 대표격이다. 그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문화사적 관점에서 언제부터 아리랑이 불리기 시작했을까 하는 기원론적 의문, 둘째, 문화권적 관점에서 어디에서 아리랑이 불리고 불려왔는지에 대한 분포론적 의문, 셋째, 문화층적 관점에서 어떤 집단에 의해 아리랑이 불려왔는지에 대한 향유층적 의문. 이는 역사적, 지리적, 계층적 관심으로 요약될 수 있겠다.
아리랑은 생산집단인 민중들이 즐겨왔던 2단 구성의 시학적 구조를 보이 면서도, 후렴을 가졌다는 점에서 노동요로부터 기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서도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진다. 특히 진도아리랑은 호남지역의 논매기노래인 산아지타령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진도아리랑은 정선아리랑과 더불어 한국 아리랑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정선아리랑이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메나리조로 불리면서 또한 일노래로 겸용되고 있는 것에 반해서 진도아리랑은 일노래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이로부터 일탈했다는 점에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즉 일노래인 산아지타령 중에서 앞소리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후렴을 흥을 돋을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켜 유희요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민요사적 의미를 한층 더하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ademic interests about Arirang a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the question of original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history, since when did people sing Arirang? Second, the question of distribution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areas, wh...
Academic interests about Arirang a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the question of original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history, since when did people sing Arirang? Second, the question of distribution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areas, where was Arirang sung at? Third, the question of the enjoyment class; From the view of the cultural class, which groups sing Arirang? These are summarized by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lassical interests.
Arirang represents a poetic composition of 2 degrees enjoyed by production groups and it could originate from work songs that it has a refrain. Especially it is clear that Jindo Arirang originated from Sanaji Taryung which is a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n Honam area. Jindo Arirang is a prominent song with Jeongseon Arirang in Korea Arirang. Jeongseon Arirang is sung in Menari-jo with a background of Gangwon and also used as work songs. In contrast, Jindo Arirang has a different meaning that it originated from work songs but deviated from tha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