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교사 영어연수 실태와 요구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76760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740.73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vii,118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85-87

      • 소장기관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방화와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며 국제언어로써의 영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부각되는 요즘의 세계적인 추세 속에, 우리나라도 1997년부터 연차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

      개방화와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며 국제언어로써의 영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부각되는 요즘의 세계적인 추세 속에, 우리나라도 1997년부터 연차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에게 시행되어 온 초등교사 영어연수 제도에 대하여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각 연수기관의 교재와 사전안내 자료를 통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한 후 보다 나은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1.9.11.현재 대구·경북지역 초등교사 영어 연수 상황을 보면 전체 교사 13,027명 가운데 11,440명이 연수를 받아 평균 87.8%(대구 82.4%, 경북 91.9%)의 높은 이수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연수 초창기의 연수동기는 주로 영어에 관심이 있어서 자원하여 받은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쳐야 함으로(43.3%)에 이어 학교장의 권유에 의해서(39.2%)라는 응답도 많이 나타나 대상자 선정과정부터 재고해 야 할 부분이다.
      둘째, 교육부의 계획(1996)은 영어 연수 시 의사소통 능력 배양에 70%, 지도법 개발에 28%의 시간을 배정하고 있으며, 연수 방법에 있어서도 실기와 실습위주의 참여식 수업(86.6%)을 강조하고 강의식 수업(11.7%)에는 시간을 적게 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교재 분석 결과 연수기관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과 지도법 개발에 배당 된 시간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설문 분석 결과 연수생들은 현장 문제해결 중심의 연수를 원하나 아직도 강사 위주의 강의식 수업을 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지도 교사 양성 방법은 교육대학교 영어과 심화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며 영어지도 능력이 우수한 교사가 영어전담 교사를 희망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유인책이 강구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넷째, 연수 운영 면에 있어서 교과목을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어 자기가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든지 능력별 반 편성으로 자기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평가에 대한 부담 없이 연수에 충실할 수 있도록 평가를 폐지하거나 연수과정 중 수업실습, 분임 토의 및 발표, 영어회화 등의 여러 가지 활동에 대한 과정평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바람직한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강사로는 현장지도 경험이 많은 초등교사를 선호하며 이는 현 장의 문제점을 잘 아는 교사들로부터 실제 적용 가능한 교수 방법 등을 소개받고 수업시연을 볼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 일부 원어민 강사들의 무성의한 강의 준비와 우리 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연수생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까지 있어 검증된 원어민 강사의 채용과 사전연수가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곱째, 연수가 주로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실시되는 점을 감안하여 연수기관에서는 냉·난방 시설과 편의시설 등을 갖추어 연수생들의 불편함을 덜어주고, 연수 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시청각 기자재를 구비하여 효율성 높은 연수가 되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연수대상자의 선정과정을 재고하여 영어를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나 희망자를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심도 있는 연수를 실시하여 그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연수 교재에 대하여 계속적인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7차 교육 과정에서 영어교과서가 단일화 된 점을 감안할 때 표준 연수 교재의 제작도 고려해 볼 사항이다.
      셋째, 연수 운영 면에서 교과목의 필수·선택화, 능력별 반 편성 등으로 자기에게 필요한 과목을 수강하거나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우수한 자질을 갖춘 강사를 엄선하여 투입함으로써 연수를 받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영어지도에 자신감을 갖도록 배려해 주어야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days, English is very important as the international language in globalization. So we have had regular English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since 1997.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

      These days, English is very important as the international language in globalization. So we have had regular English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since 1997.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needs:
      First, whet was the real situation of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City & Kyung-Buk Province through teaching materials and orientation books? Second, what were sound ways to establish English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for teachers' needs and opin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87.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City & Kyung-Buk Province have participated in English training program. In the beginning of English training program, most trainees were gathered voluntarily to take the course. But as time goes by, most trainees were forced to take the course by their principals because they had to teach English at their schools. So it was a very important thing to choose those who will take the course.
      (2) The Educational board planned the training schedule with 70%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ability and 28% for teaching method.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diverse training centers. Many teachers wanted to get practical teaching skills through training course but many lecturers still taught in traditional theory based teaching plans.
      (3) The beat way to supply good English teachers was found to hav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English departments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re was found to be needed some strong incentives for English teachers to be in elementary schools who have good English abilities.
      (4) It was necessary for trainees to take the required subjects and to choose among many diverse lectures that they have interests in and then, an appropriate grouping system by the trainees' levels should be developed.
      (5) The formal test should be abolished. It has increased stress for trainees, so the formal test should be substituted for informal tests such as observation through natural classroom activities.
      (6) Most trainees thought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good careers in English teaching was more appropriate as training lecturers than the native speakers who didn't prepare well for their lectures.
      (7) The trainees participated in the English course wanted to make the training centers to supply good facilities for effective English training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3. 연구의 제한점 = 3
      • II. 이론적 배경 = 5
      • 1. 초등학교에서의 영어교육 = 5
      • 2. 외국의 초등학교 영어교육 = 11
      • 3.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자질과 역할 = 14
      • 4.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교육 = 21
      • 5. 초등학교 영어교사의 연수 = 28
      • 6. 선행 연구의 개관 = 35
      • III. 연구 방법 = 38
      • 1. 연구 대상 = 38
      • 2. 조사 도구 = 39
      • 3. 자료의 처리 = 40
      •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1
      • 1. 초등교사 영어연수 운영 실태 = 41
      • 2. 영어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 48
      • 3. 초등교사 영어연수 개선 방향 = 78
      • V. 결론 및 제언 = 82
      • 1. 결론 = 82
      • 2. 제언 = 84
      • 참고문헌 = 85
      • 영문초록 = 88
      • 부록 =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