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아파트 전매량(분양권·입주권) 패널데이터를 토대로 주택시장이 전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51549
2017
-
패널 데이터 ; 전매량 ; 하우즈만검정 ; 고정효과모형 ; Panel data ; resales ; Hausman test ; Fixed effects model
300
학술저널
173-190(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아파트 전매량(분양권·입주권) 패널데이터를 토대로 주택시장이 전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아파트 전매량(분양권·입주권) 패널데이터를 토대로 주택시장이 전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정보시스템을 통해 지역별 전매량 자료를 수집하여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변수군은 거시·부동산시장특성, 정책특성, 수요·공급특성으로 구분하여 전매량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수요 연구결과는 첫째, 거시특성으로 금리가 낮을소루고 전매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격지수상승률이 높을수록, 아파트매매량이 많을 수록 전매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책특성으로 전매제한기간이 길어질수록,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경우에 전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면 향후 기대가격상승으로 인해 전매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공급특서에서는 인구유입이 증가할수록, 분양물량이 많을수록 전매량은 증가하고, 미분양물량이 많아지면 대체효과로 인해 전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