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90년대에 개최된 프랑스 미술전과 기획 주체 연구 = A Study on the French Art Exhibitions and Exhibition Organizers in Korea from the 1970s to the 199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7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organizers and the content of the French art exhibitions held in Korea from the 1970s to the 1990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hibitions of famous French paintings held in Korea during the 1970s were largely hosted by K...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organizers and the content of the French art exhibitions held in Korea from the 1970s to the 1990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hibitions of famous French paintings held in Korea during the 1970s were largely hosted by Korea’s leading newspaper companies, such as Chosun Ilbo,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on mass media implemented by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roughout the next two decades in the 1980s and 1990s, the art exhibitions were mainly hosted by art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and galleries that specialized in French contemporary art, printing in particular. The main discussion of this study traces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s to help explain why French art was dominantly favored by the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as well as how this contributed to the acceleration of artist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Fr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70-90년대에 프랑스 미술전을 개최한 핵심 주체가 시기별로 변화했고, 각 주체별로 전시의 내용도 차별화되었음을 고찰했다. 1970년대에는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에 따라 『조선...

      본 연구는 1970-90년대에 프랑스 미술전을 개최한 핵심 주체가 시기별로 변화했고, 각 주체별로 전시의 내용도 차별화되었음을 고찰했다. 1970년대에는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에 따라 『조선일보』와 같은 신문사가 프랑스 명화전을 개최하는 핵심 주제로 성장했다. 1980-90년대에는 미술관과 화랑이 프랑스미술전의 주요한 기획 주체였고, 각각 프랑스 현대미술전과 프랑스 판화전을 주로 개최했다. 본 연구는 1970-90년대에 프랑스 미술전이 다른 해외 미술전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개최된 배경을 추적하고, 이러한 전시가 한국과 프랑스 양국의 미술 교류를 가속화하는 매개가 되었음을 고찰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연, "화가 하인두-한국추상미술의 큰 자취, 혜화1117" 2019

      2 유준상, "현대미술연구 제1집" 국립현대미술관 1990

      3 "한불수교 百周기념 ‘서울-파리展’"

      4 "한불미협 창립"

      5 전유신, "한묵의 1960-1970년대의 작업과 에콜 드 파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7) : 327-351, 2019

      6 최열,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II-한국미술사 사전 1945-1961" 열화당 2006

      7 유선영,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8 박용규, "한국 신문의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9 "한·불 수교 100돌 문화행사 풍성"

      10 "한-불 양국의 계속적인 문화교류 기틀 되기를"

      1 김경연, "화가 하인두-한국추상미술의 큰 자취, 혜화1117" 2019

      2 유준상, "현대미술연구 제1집" 국립현대미술관 1990

      3 "한불수교 百周기념 ‘서울-파리展’"

      4 "한불미협 창립"

      5 전유신, "한묵의 1960-1970년대의 작업과 에콜 드 파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7) : 327-351, 2019

      6 최열,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II-한국미술사 사전 1945-1961" 열화당 2006

      7 유선영,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8 박용규, "한국 신문의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9 "한·불 수교 100돌 문화행사 풍성"

      10 "한-불 양국의 계속적인 문화교류 기틀 되기를"

      11 "피카소 특별전(特別展) 22일(日)까지"

      12 "프랑스 현대명화전-연일 3-4천명의 관람객"

      13 전유신, "프랑스 미술과의 관계를 통해본 전후 한국미술-한국 미술가들의 프랑스 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14 "프랑스 문화성 예술창작국장 안토니오스씨 어제 내한"

      15 "프랑스 18세기 명화전 폐막"

      16 신용석, "퐁피두대통령 관저 소장품도-서울의 「油畫祭典」"

      17 "폐막(閉幕) 앞두고 인파(人波) 몰려"

      18 "파스텔화에 관심 높아졌다"

      19 중앙일보사 사업국, "중앙갤러리 개관기념-아르누보 유리 명품전" 중앙일보사 사업국 1984

      20 조선일보 70년사 편찬위원회, "조선일보70년사 제3권" 조선일보사 1990

      21 조선일보 60년사 편찬위원회, "조선일보 60년사" 조선일보사 1980

      22 "제2회 프랑스 현대작가판화전"

      23 이지은, "이성자, 예술과 삶" 생각의 나무 2007

      24 워커힐미술관, "워커힐미술관 15년사" 워커힐미술관 1998

      25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외국미술 국내전시 60년, 1950-2011"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2012

      26 채백, "언론사 문화사업의 역사와 사회적 의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27 이용우, "서울에 온 佛 현대미술의 진수"

      28 "불(佛) 「후기인상파전(後期印象派展)」 어제 폐막"

      29 "본보 창간 50주(周) 기념 대성전(大盛典) 프랑스현대명화전시회"

      30 "미술화제"

      31 "문화협정집" 외무부 정보문화국 1971

      32 "다시 떠오른 ‘아침이슬’ 김민기"

      33 장엽, "국립현대미술관연구논문 제1집" 국립현대미술관 2009

      34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1986 과천관의 개관" 국립현대미술관 2016

      35 "佛 퐁피두 문화센터서 한국 축제"

      36 "『밀레』와 함께 온 미의 사절"

      37 전유신, "《세계현대미술제》의 프랑스 편향성과 그 이면 -냉전시대의 한·불 미술교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6) : 203-226, 2018

      38 "“현대명화전은 성공적, 타피스리 연구생 초청”"

      39 "46일 동안에 15만 명 감상-프랑스 현대명화전 폐막"

      40 김행선,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과 문화통제" 선인 2012

      41 "18세기 불(佛) 미술세계 특별강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1.04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