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쟁과 기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0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전쟁은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과 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과 변화는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단독 정부 수립 국면과 근본적으로 다른 ...

      한국전쟁은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과 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과 변화는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단독 정부 수립 국면과 근본적으로 다른 사회구조의 등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고, 연구방법론으로 구술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연구 결과물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한국전쟁기 영광군의 인접한 두 마을에서 발생한 집단학살의 경험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집단학살의 경험의 유무에 대한 기억과 해석이 단순한 이념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인심의 상실 여부, 집안간 경쟁과 가족주의, 난세의 처세술 등 비 이념적인 차원에서 고려할 때 보다 분명하게 당시를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② 한국전쟁 당시 수복이 늦어지면서 지리적으로 고립된 상태에서 좌익과 반란군의 영향하에 있었던 영광군 백수읍의 한 마을을 통해 전쟁 이전의 주민들 간의 갈등과 이해 구조가 전쟁기에 어떻게 발현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③ 영광군 염산면에서 발생한 기독교인 학살을 사례로 하여 이들의 죽음이 반공투사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한국전쟁기에 전혀 일어나지 않은 사실들이 과장되어 기록되었던 이유를 밝힘으로서, 기억이란 현재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지배받고 있는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④ 전쟁으로 인하여 지역주민들이 살고 있던 마을이 반란군과 진압군간의 전투가 벌어졌던 전장의 공간이 됨에 따라 주민들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살기 위해서 이쪽과 저쪽을 피해 피난을 다닐 수밖에 없었던 '주변인'으로서의 전쟁체험을 공식적 기억과 고립된 기억을 통하여 드러난 개인과 집단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을 현재의 시점에서 분석하였다. ⑤ 여성이 역사의 주체에서 배제되어왔기 때문에 이들의 전쟁경험은 침묵되어졌다는 인식 하에 전남 강진의 한 좌익 마을 여성들의 구술생애사 자료를 통해 여성의 전쟁경험과 기억을 드러내었다. ⑥ '여순사건'에서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와중에서 전쟁폭력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과 여순사건 유가족들의 사회적 고통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⑦ 기독교 순교비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한국전쟁과 사회·종교적 역할을 ?옅명하였뇩?. 연구를 위한 공간적 배경은 역시 영광군 염산면인데, 순교비의 건립과정과 이 순교비가 지닌 사회적·종교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⑧ 한국전쟁 이후 중립국을 택한 한 전쟁포로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반공을 국시로 내세웠던 이승만 정권 하에서 국가 이데올로기와 배치되는 '개인'으로서의 이념적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전쟁포로에 대한 실상과 중립국으로 갈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설명하였다. '전쟁포로'라는 신분으로 중립국 인도에 정착한 개인이 어떻게 삶을 영위해 왔으며, 남북으로 분단된 조국과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연계시켜 왔는가를 한 개인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⑨ 전라남도 함평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전쟁으로 인해 희생된 객사자들의 죽음의 기억과 처리과정을 구조인류학적인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