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90년대 한국 무협의 전환에 관한소고: 캐릭터의 유형 변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75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80-90년대에 걸친 한국 무협 소설의 전환을 살피는 글이다. 특히 주인공을 중심으로 캐릭터의 유형 변화를 통해 이 부분을 논의한다. 지난 60여 년간 한국 장르 문학에서 유력한 위치를 차지했고,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이 유효한 무협 장르를 다루는 연구는 현재 심상의 한 단면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1980년대~90년대 무협의 장르적 위치를 되짚고,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분석했다. 1980년대 무협 장르가 필화사건 등으로 인하여 일정 부분 제약이 가해진 채 선악의 명징한 구도 속에서 캐릭터를 구성했다. 그리고 신화적 개인의 서사에 과장이 더해지며 80년대 무협 특유의 서사가 구축되었다. 1990년대 들어서는 취향의 문제가 두드러지면서 한국의 무협은 ‘신무협’이라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개성이 강한 주인공이 비교적 현실적인 감각을 갖추고, 무림의 세계는 선악의 구조도 모호해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의 무협은 더 다채로운 형상을 갖추며 현실과 호흡할 수 있었다. 문학성이 높다고 할 수는 없는 무협 장르이지만, 무협은 장르적으로 최소한의 시의성과 재미의 문제 속에서 변화를 모색해 왔고, 그것을 원동력으로 현재까지 한국의 유력한 장르로 자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시대의 심상과 대중문화의 한 단면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80-90년대에 걸친 한국 무협 소설의 전환을 살피는 글이다. 특히 주인공을 중심으로 캐릭터의 유형 변화를 통해 이 부분을 논의한다. 지난 60여 년간 한국 장르 문학에서 유력한 위치...

      이 글은 1980-90년대에 걸친 한국 무협 소설의 전환을 살피는 글이다. 특히 주인공을 중심으로 캐릭터의 유형 변화를 통해 이 부분을 논의한다. 지난 60여 년간 한국 장르 문학에서 유력한 위치를 차지했고,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이 유효한 무협 장르를 다루는 연구는 현재 심상의 한 단면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1980년대~90년대 무협의 장르적 위치를 되짚고,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분석했다. 1980년대 무협 장르가 필화사건 등으로 인하여 일정 부분 제약이 가해진 채 선악의 명징한 구도 속에서 캐릭터를 구성했다. 그리고 신화적 개인의 서사에 과장이 더해지며 80년대 무협 특유의 서사가 구축되었다. 1990년대 들어서는 취향의 문제가 두드러지면서 한국의 무협은 ‘신무협’이라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개성이 강한 주인공이 비교적 현실적인 감각을 갖추고, 무림의 세계는 선악의 구조도 모호해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의 무협은 더 다채로운 형상을 갖추며 현실과 호흡할 수 있었다. 문학성이 높다고 할 수는 없는 무협 장르이지만, 무협은 장르적으로 최소한의 시의성과 재미의 문제 속에서 변화를 모색해 왔고, 그것을 원동력으로 현재까지 한국의 유력한 장르로 자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시대의 심상과 대중문화의 한 단면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considers the evolution of mu-hyeop(martial arts) novels in the 1980s and 1990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especially protagonists. Mu-hyeop novels have maintained a dominant position in Korean popular literature over the past 60 year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u-hyeop novels can provide a window into the state of mind for particular periods. This article describes genre position of mu-hyeop novels in the 1980s and 1990s and then analyzes the changes that occurred within them. In the 1980s, mu-hyeop novels, constrained to a certain extent by the government censorship, contained characters that were associated with a clear depiction of good vs. evil, with exaggerated narratives related to mythical individuals. In the 1990s, as personal preferences became more prominent, mu-hyeop novels underwent a transformation referred to as “Shinmuhyeop”(new martial arts). In this new form, the protagonist, who has complex personality, is relatively grounded in reality, while the world around him or her blurs the division between good and evil. In conjunction with these changes, Korean popular fiction as a whole became more colorful and in touch with reality. Although they are not considered high literature, mu-hyeop novels have sought to change with the times and provide relevant entertainment and have been ab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a powerful genre within Korea. Through them, we can understand the cultural concerns of specific eras and the evolution of popular culture.
      번역하기

      This article considers the evolution of mu-hyeop(martial arts) novels in the 1980s and 1990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especially protagonists. Mu-hyeop novels have maintained a dominant position in Korean popular li...

      This article considers the evolution of mu-hyeop(martial arts) novels in the 1980s and 1990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especially protagonists. Mu-hyeop novels have maintained a dominant position in Korean popular literature over the past 60 year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u-hyeop novels can provide a window into the state of mind for particular periods. This article describes genre position of mu-hyeop novels in the 1980s and 1990s and then analyzes the changes that occurred within them. In the 1980s, mu-hyeop novels, constrained to a certain extent by the government censorship, contained characters that were associated with a clear depiction of good vs. evil, with exaggerated narratives related to mythical individuals. In the 1990s, as personal preferences became more prominent, mu-hyeop novels underwent a transformation referred to as “Shinmuhyeop”(new martial arts). In this new form, the protagonist, who has complex personality, is relatively grounded in reality, while the world around him or her blurs the division between good and evil. In conjunction with these changes, Korean popular fiction as a whole became more colorful and in touch with reality. Although they are not considered high literature, mu-hyeop novels have sought to change with the times and provide relevant entertainment and have been ab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a powerful genre within Korea. Through them, we can understand the cultural concerns of specific eras and the evolution of popular cul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