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주거란 사람들이 휴식하고 만족하며 피난처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욕구와 갈망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상태에 의해 형성되었다. 하지만 산업화와 함께 이루어진 도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96327
수원 :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 부동산학과 부동산투자금융전공 , 2009. 2
2008
한국어
경기도
A Study on Effects of Residents' Settlement Consciousness
viii,91 p. : 삽도 ; 26 cm.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83-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거의 주거란 사람들이 휴식하고 만족하며 피난처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욕구와 갈망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상태에 의해 형성되었다. 하지만 산업화와 함께 이루어진 도시...
과거의 주거란 사람들이 휴식하고 만족하며 피난처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욕구와 갈망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상태에 의해 형성되었다. 하지만 산업화와 함께 이루어진 도시의 급속한 성장은 인구증가 현상을 야기 시켰고, 이로 인해 많은 주택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특히 서울의 인구 집중 현상은 토지 공간의 부족에 따른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인해, 서울 주변지역이 이동 대상지역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서울 주변지역은 서울과의 높은 접근성과 낮은 지가와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면서 대규모 택지 개발에 의한 아파트 중심의 신주거지가 건설되었다. 신주거지가 형성되면서부터 최근 신도시 건설에 있어서의 신주거지는 주거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투자가치로써의 비중이 점차 증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수도권 신도시의 사례연구, 그리고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신주거지의 주민 특성을 분석하고 정주요인으로 예상되는 이유를 조사하여, 주민의 정주의식이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신주거지에 대한 개발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민의 정주의식이 미래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신주거지 주민의 주거이유, 투자가치 등 어떠한 요인들이 정주의식에 필요한지 수원시 영통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 정주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근무지와 가까운 거리가 높게 나타났고, 투자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지와 가까운 거리와 투자가치가 주거이동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정주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거주하고 있는 인접지역에 신주거지역이 건설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주변지역과 연계되는 광역교통체계와 대중교통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민의 정주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역교통체계와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정주의식 변화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정주의식은 유동적이므로 지역주민의 개인적 삶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건에 의해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이 향상 될 것이다. 정주의식이 부족하면 지역지체간 일체감이 상실되어 지역발전이 정체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이 지역발전을 위한 전제일수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가 수행해야 할 최대의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영통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에 필요한 영향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주거지 주민들이 지역에 대해 정주의식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자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고, 주거이동 걱정 없이 이곳에 정착하여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교통, 교육, 지역경제를 포함한 물리적 환경개선이 필요하며, 지방정부의 적실성 있는 정책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비록 수원시 영통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는 있으나, 지역주민의 정주의식 향상이 도시발전에 필요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정주의식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