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MZ 관련 문화콘텐츠 현황과 전망 =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DMZ-related Cultural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2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hows the way DMZ-Demilitarized Zone-the way to be a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it as a cultural resources. DMZ is a place with a cultural value as it is recently handled significantly in the aspect of security, peace, ecology, etc... Actually, there are some movements in some places for DMZ to be resource culturally. At this point, I suggest the prospect of DMZ with check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MZ-related cultural contents. In related to this, I analyzed Park Sangyeon`s novel “DMZ” for the text contents and “JSA”&“DMZ”&“Dream comes true.” for movie contents. In addition, for performance contents, I analyzed “My love, DMZ” which was written and directed by O Teasok. Especially, I took a note of “DMZ Museum” out of experience contents such as Security&tourism Facility, Festival, Tourism Products, Exhibition, etc... For a new DMZ-related contents, I suggested digital-used contents. To name a few, there are Serious game, mobile game, experiential facility of virtual reality, etc. As a experiential contents, I suggested to reconstruct Daesung-Dong Village which is an unique one in DMZ as well as to develop the border-area as a tourist attractions. And I judged to need DMZ-related animation and character. I think that there will be a good-quality cultural contents if DMZ-related informations are to be read freely and made a easily access by ordinary peoples. In addition, I think DMZ has Korean original cultural form and is a precious resource with the possibility to be a global contents.
      번역하기

      This thesis shows the way DMZ-Demilitarized Zone-the way to be a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it as a cultural resources. DMZ is a place with a cultural value as it is recently handled significantly in the aspect of security, peace, ecology, etc... A...

      This thesis shows the way DMZ-Demilitarized Zone-the way to be a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it as a cultural resources. DMZ is a place with a cultural value as it is recently handled significantly in the aspect of security, peace, ecology, etc... Actually, there are some movements in some places for DMZ to be resource culturally. At this point, I suggest the prospect of DMZ with check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MZ-related cultural contents. In related to this, I analyzed Park Sangyeon`s novel “DMZ” for the text contents and “JSA”&“DMZ”&“Dream comes true.” for movie contents. In addition, for performance contents, I analyzed “My love, DMZ” which was written and directed by O Teasok. Especially, I took a note of “DMZ Museum” out of experience contents such as Security&tourism Facility, Festival, Tourism Products, Exhibition, etc... For a new DMZ-related contents, I suggested digital-used contents. To name a few, there are Serious game, mobile game, experiential facility of virtual reality, etc. As a experiential contents, I suggested to reconstruct Daesung-Dong Village which is an unique one in DMZ as well as to develop the border-area as a tourist attractions. And I judged to need DMZ-related animation and character. I think that there will be a good-quality cultural contents if DMZ-related informations are to be read freely and made a easily access by ordinary peoples. In addition, I think DMZ has Korean original cultural form and is a precious resource with the possibility to be a global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명희, "희곡 『여우사냥』의 뮤지컬 대본 『명성황후』로의 전환과 스토리텔링의 변화" 한국비교문학회 (51) : 119-143, 2010

      2 안남일, "현대소설에 나타난 분단콤플렉스 연구" 고려대학교 2002

      3 김종원, "한국영화감독 사전" 국학자료원 2004

      4 김수현, "한국분단영화의 이데올로기의 변천: 쉬리 이후 한국분단영화를 중심으로"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4

      5 김보경, "한국분단영화에 나타난 분단의 의미변화 연구:1990년대 후반 이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7

      6 김의수, "한국 분단영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1999

      7 김귀곤, "평화와 생명의 땅 DMZ:비무장지대생태계를 생각하며 우리가 해야 할 숙제" 드림미디어 2010

      8 강진호, "탈분단 시대의 문학논리" 새미 2001

      9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지만지 2008

      10 진순애, "전쟁과 인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1 한명희, "희곡 『여우사냥』의 뮤지컬 대본 『명성황후』로의 전환과 스토리텔링의 변화" 한국비교문학회 (51) : 119-143, 2010

      2 안남일, "현대소설에 나타난 분단콤플렉스 연구" 고려대학교 2002

      3 김종원, "한국영화감독 사전" 국학자료원 2004

      4 김수현, "한국분단영화의 이데올로기의 변천: 쉬리 이후 한국분단영화를 중심으로"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4

      5 김보경, "한국분단영화에 나타난 분단의 의미변화 연구:1990년대 후반 이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7

      6 김의수, "한국 분단영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1999

      7 김귀곤, "평화와 생명의 땅 DMZ:비무장지대생태계를 생각하며 우리가 해야 할 숙제" 드림미디어 2010

      8 강진호, "탈분단 시대의 문학논리" 새미 2001

      9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지만지 2008

      10 진순애, "전쟁과 인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11 "이사람 ‘내사랑 DMZ’ 연출자 오태석 씨"

      12 허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0

      13 전봉관, "웹 뮤지엄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영역, in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14 김남석, "오태석 연극의 역사적 사유:오태석연극연구론" 연극과인간 2005

      15 진화, "오태석 여우와 사랑을과 내사랑 DMZ의 사회 생태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2009

      16 이상란, "오태석 공연의 생성과정*-《내 사랑 DMZ》의 수용미학적 연구" 한국연극학회 (20) : 83-112, 2003

      17 이은,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제작보고서"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2001

      18 "아시아경제"

      19 서연호, "실험과 도전의 40년: 1994~1996, in 오태석 공연대본전집 13" 연극과 인간 2000

      20 사카모토리에, "쉬리 이후 한국 분단 영화의 장르적 진화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2007

      21 김은주, "쉬리 이후 등장한 분단 영화의 장르 파생에 대한 산업적 요인 연구" 동국대학교 2006

      22 조정래, "소설과 영화의 서사론적 비교연구 ― 소설 ?DMZ?와 영화 ?공동경비구역JSA?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학회 18 : 7-36, 2002

      23 조미라, "상상력의 미학 애니메이션" 한울 2009

      24 권순대, "분단희곡의 담론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3

      25 배주영, "디지털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살림 2005

      26 우찬제, "남성적 서사의 진정성, in 세계의 문학 겨울호" 민음사 1996

      27 "공동경비구역 JSA 감독 박찬욱"

      28 "고성 DMZ박물관 건립 2년만에 애물단지"

      29 삼성경제연구소, "게임산업의 신조류, 기능성, in SERI 경영노트 제12호" 삼성경제연구소 2009

      30 "갈등과 평화의 공존지대 속의 이상한 푸른 숲"

      31 "http://www.mcst.go.kr"

      32 "http://www.jeongyeonri.com"

      33 "http://www.haemaruchon.com"

      34 "http://cafe.naver.com/kncdc"

      35 "http://cafe.daum.net/yangjiri.kr"

      36 김인영, "DMZ-발전적 이용과 해체, in 한림과학원총서 65" 소화 1999

      37 "DMZ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가치 추정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경기개발연구원 2010

      38 "DMZ는 꼭 가봐야 할 亞관광명소"

      39 이규형, "DMZ, 비무장지대" 동아 2004

      40 손기웅, "DMZ 평화적 이용 방안: 비판적 고찰과 실천적 추진 방안" 강원 발전연구원 2009

      41 박상연, "DMZ" 민음사 1997

      42 송재복, "2000년대 한국 분단 영화에 나타난 접경공간 재현 연구" 홍익대학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