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in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A Topic Analysis Using LDA Topic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8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Biblio data collector and a total of 313 papers were analyzed. For research purpo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In the first instance,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garding college English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for 20 years. Secondly, in analyzing the topics of the chosen papers, a total of 10 topics in college English education were found. The topics were “curriculum and level-differentiated programs (T1)”, “learners’ affective factors (T2)”, “assesment and learning strategies (T3)”, “teachers’ factors (T4)”, “English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T5)”,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6)”,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7)”, “web-based learning (T8)”, “learner-centered education (T9)”, and “textbook analysis etc. (T10).” Among these topics, the three that were identified as topics increasing in popularity were “learners’ affective factors (T2)”,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6)”,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T9).” The topics increasing in popularity shared one key characteristic: the topics were related to learners’ factors such as the learners’ motivation, the learners’ goals, and the learners’ activities i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ed a wide range of data related to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produced more reliable results by using big data-based LDA topic modeling technique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Biblio data collector and a total of 313 papers were analyzed. For research purpo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Biblio data collector and a total of 313 papers were analyzed. For research purpo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In the first instance,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garding college English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for 20 years. Secondly, in analyzing the topics of the chosen papers, a total of 10 topics in college English education were found. The topics were “curriculum and level-differentiated programs (T1)”, “learners’ affective factors (T2)”, “assesment and learning strategies (T3)”, “teachers’ factors (T4)”, “English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T5)”,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6)”,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7)”, “web-based learning (T8)”, “learner-centered education (T9)”, and “textbook analysis etc. (T10).” Among these topics, the three that were identified as topics increasing in popularity were “learners’ affective factors (T2)”,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6)”,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T9).” The topics increasing in popularity shared one key characteristic: the topics were related to learners’ factors such as the learners’ motivation, the learners’ goals, and the learners’ activities i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ed a wide range of data related to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produced more reliable results by using big data-based LDA topic modeling techniq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교양영어 수업과 연구 방향에 대한통찰을 얻고자 실시되었다. 분석기간은 2001년에서 2020년, 20년의 기간이었으며, 분석대상 논문은313편이었다. 분석 방법은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LDA(잠재 디리클레 할당) 토픽모델링, 시계열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대학 교양영어 관련 논문은 지난20년간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주제도 점차 다양해졌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교양영어 교육의 주제는 10가지로 분류되었다. 주제명은 ‘교육과정 및 수준별 수업(주제1)’, ‘학습자 정의적 요인(주제2)’, ‘평가 및 학습 전략(주제3)’, ‘교수자 요인(주제4)’, ‘어휘⋅문법학습 및 쓰기활동(주제5)’, ‘특수목적영어 프로그램(주제6)’, ‘교수학습 방법(주제7)’, ‘웹 기반 수업(주제8)’, ‘학습자 중심 교육(주제9)’, ‘교재 분석 및 기타(주제10)’였다. 셋째, 시계열 분석 결과 ‘학습자 정의적요인(주제2)’, ‘특수목적영어 프로그램(주제6)’, ‘학습자 중심 교육(주제9)’, 세 가지가 상승 주제인 것으로드러났다. 이 세 주제는 모두 학습자의 동기, 학습자의 요구,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 활동이라는점에서 모두 학습자 요인과 관련 있는 주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을 근거로 향후 학습자 요인과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빅데이터 기반의 LDA 토픽 모델링기법으로 교양영어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동향을 전망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객관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교양영어 수업과 연구 방향에 대한통찰을 얻고자 실시되었다. 분석기간은 2001년에서 2020년, 20년의 기간이었으며, 분석대상 논문...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교양영어 수업과 연구 방향에 대한통찰을 얻고자 실시되었다. 분석기간은 2001년에서 2020년, 20년의 기간이었으며, 분석대상 논문은313편이었다. 분석 방법은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LDA(잠재 디리클레 할당) 토픽모델링, 시계열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대학 교양영어 관련 논문은 지난20년간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주제도 점차 다양해졌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교양영어 교육의 주제는 10가지로 분류되었다. 주제명은 ‘교육과정 및 수준별 수업(주제1)’, ‘학습자 정의적 요인(주제2)’, ‘평가 및 학습 전략(주제3)’, ‘교수자 요인(주제4)’, ‘어휘⋅문법학습 및 쓰기활동(주제5)’, ‘특수목적영어 프로그램(주제6)’, ‘교수학습 방법(주제7)’, ‘웹 기반 수업(주제8)’, ‘학습자 중심 교육(주제9)’, ‘교재 분석 및 기타(주제10)’였다. 셋째, 시계열 분석 결과 ‘학습자 정의적요인(주제2)’, ‘특수목적영어 프로그램(주제6)’, ‘학습자 중심 교육(주제9)’, 세 가지가 상승 주제인 것으로드러났다. 이 세 주제는 모두 학습자의 동기, 학습자의 요구,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 활동이라는점에서 모두 학습자 요인과 관련 있는 주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을 근거로 향후 학습자 요인과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빅데이터 기반의 LDA 토픽 모델링기법으로 교양영어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동향을 전망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객관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영주, "효율적인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방향 및 제언" 현대영어교육학회 15 (15): 221-245, 2014

      2 원용국,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 영어교육 학술지에 나타난 연구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1 (21): 50-59, 2021

      3 박은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영어 쓰기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응용언어학회 37 (37): 95-122, 2021

      4 임수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32, 2020

      5 김종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방법 연구 - 전문대학 교양영어를 중심으로"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6 (6): 147-163, 1997

      6 방영주, "영어능력 인증제, 능력별 교과과정, 그리고 대학 교양영어 교육: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고찰"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9 (9): 193-211, 2004

      7 조성준, "세상을 읽는 새로운 언어, 빅데이터" 21세기북스 2019

      8 최원경, "면대면 대 비대면 강의 만족도 비교: 코로나19 사태에서의 대학원 교양영어 수업 사례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9 (19): 223-245, 2020

      9 김성혜, "대학교양영어 프로그램의 운영현황" 현대영어교육학회 14 (14): 263-290, 2013

      10 이연숙, "대학 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앞으로의 연구방향- 프로그램 평가의 시각에서" 언어과학회 (70) : 353-384, 2014

      1 방영주, "효율적인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방향 및 제언" 현대영어교육학회 15 (15): 221-245, 2014

      2 원용국,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 영어교육 학술지에 나타난 연구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1 (21): 50-59, 2021

      3 박은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영어 쓰기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응용언어학회 37 (37): 95-122, 2021

      4 임수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양교육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32, 2020

      5 김종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방법 연구 - 전문대학 교양영어를 중심으로"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6 (6): 147-163, 1997

      6 방영주, "영어능력 인증제, 능력별 교과과정, 그리고 대학 교양영어 교육: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고찰"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9 (9): 193-211, 2004

      7 조성준, "세상을 읽는 새로운 언어, 빅데이터" 21세기북스 2019

      8 최원경, "면대면 대 비대면 강의 만족도 비교: 코로나19 사태에서의 대학원 교양영어 수업 사례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9 (19): 223-245, 2020

      9 김성혜, "대학교양영어 프로그램의 운영현황" 현대영어교육학회 14 (14): 263-290, 2013

      10 이연숙, "대학 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앞으로의 연구방향- 프로그램 평가의 시각에서" 언어과학회 (70) : 353-384, 2014

      11 하명애, "대학 교양영어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현대언어학회 33 (33): 453-476, 2017

      12 김상수,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13 조정순,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현황과 방향성 탐구" 한국영어교육학회 57 (57): 365-394, 2002

      14 송미정,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통합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영어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한국영어교육학회 59 (59): 179-212, 2004

      15 이효웅, "교양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5 (5): 105-129, 1996

      16 성명희, "교양영어교육에 관한 학생 요구 조사:보건 계열 특성화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학회 8 (8): 318-340, 2007

      17 Ostrom, C. W., "Time Series Analysis : Regression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90

      18 Baker, J. W., "The “classroom flip”: Using web course management tools to become the guide on the side" 9-17, 2000

      19 Blei, D., "Probabilistic top models" 55 (55): 77-84, 2012

      20 Manchón, R., "Learning-to-Write and Writing-to-Learn in an Additional Languag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1

      21 Blei, 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3 : 993-1022, 2003

      22 하근희, "LDA를 활용한 초등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0) : 295-318, 2021

      23 Maier, D., "Applying LDA topic modeling in communication research: Toward a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y" 12 (12): 93-118,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