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뉴스 환경에서의 의제설정 효과 검증 및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 확장에 있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인 의제설정은 지난 오랜 시간동안 많은 학자들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93772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저널리즘 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의제설정 ; 네트워크 의제설정 ; 의제 상관성 ; 사회 연결망 분석(SNA)
070 판사항(22)
서울
Network Agenda Setting’ among the news media and online discussion boards
ⅴ, 114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이종혁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79-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뉴스 환경에서의 의제설정 효과 검증 및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 확장에 있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인 의제설정은 지난 오랜 시간동안 많은 학자들의...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뉴스 환경에서의 의제설정 효과 검증 및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 확장에 있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인 의제설정은 지난 오랜 시간동안 많은 학자들의 관심 속에서 꾸준히 검증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의제설정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결과 또한 상반되어 학자간의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의제설정 이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및 분석 방법과 함께 또 한 번의 발전 방향이 제안되었다. 뉴스를 구성하는 속성의제 간의 관계에 집중한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이 그것이다. 이 모델은 한 기사는 여러 의제를 담고 있으며,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내용을 구성하기 때문에 일종의 뉴스 스키마(의제 네트워크)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의제 네트워크가 수용자들의 인지에 전이될 것이라는 내용이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의 핵심이다. 이에 기존 뉴스 미디어인 종이신문과 방송뉴스에 인터넷 기사를 추가하고, 미디어 효과 검증 대상을 온라인 게시판으로 선정하여 의제순위와 의제 네트워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뉴스 미디어가 보도한 의제 순위는 온라인 게시판에서 언급된 의제 순위와 매우 높게 유사했다. 그리고 온라인 게시판의 의제 네트워크에 대한 뉴스 미디어의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온라인 환경에서도 전통적인 의제설정 효과의 가능성이 검증되었으며,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 또한 나타나 미디어 효과에 대한 더 심층적이고 미시적인 접근이 가능했다. 더불어 뉴스 미디어로서의 온라인 게시판 역할도 발견되었으며, 심층적인 해석을 통해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행태 및 현 사회의 뉴스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와 예측이 가능했다. 보편적으로 야간에 작성된 온라인 게시판 글의 의제 네트워크는 인터넷 신문의 의제 네트워크와 유사했다. 주간의 경우에는, 방송뉴스의 의제 네트워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뉴스 미디어보다 온라인 게시판에 올라온 글의 의제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즉, 미디어보다는 서로의 이야기에 더 집중하는 편인 것이다. 이는 미디어 효과가 과거에 비해 약화된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을 검증하는 국내 첫 시도라는 점에서 함의점이 있다. 나아가 네트워크 의제설정 선행 연구에서 다뤄본 적이 없는 온라인 게시판 이용자를 분석대상으로 추가함으로써 온라인 환경에 새롭게 적용해보고, 미디어간 네트워크 의제설정 가능성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네트워크 의제설정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발전·확장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genda setting effects on the novel news media and to extend the applications of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Agenda Setting, which is most representative theory about effect of media, has been developed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genda setting effects on the novel news media and to extend the applications of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Agenda Setting, which is most representative theory about effect of media, has been developed and verified continuously in a great interest of the academic field. Nevertheless, in a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scholars began to be questioned on agenda-setting effects. In addition, there are wid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scholars. In addition, another direction of improvement about Agenda Setting Theory has been emerged with new approaches and analytic methods. That is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This i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 agenda configuring the properties of the news. This model argues that the news has own the news schema (network of agenda) because an article contains several attribute agenda and is constructed by them that form a network each other. The network of agendas on an article will be transferred to recognition of audience. It is the key of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ank-order of agendas of online discussion boards were significantly similar to those of the news media. Also, the results showed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of agendas of online discussion boards and that of the news media. Hence, even in online environment, probability of traditional agenda setting effect has proved. Network agenda setting effect is also seemed to be appeared. These results made possible further and microscopic approach. Furthermore, role of online bulletin board as a news media was revealed. Through in-depth analysis it was predictable about audience' using behavior of media in modern society, the environment of the news media. The network of agendas on online bulletin board posts written on the night was similar to them of the online news. In the case of daytime, it was similar to them of broadcast news. Nevertheless, the users are affected more by an online bulletin board posts than the news media's agenda. In other words, users of online bulletin boards focus more on their contents rather than news media. This shows the result of weakened effect of media than in prior. The implicit point of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s to validate the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in terms of the domestic. Furthermore, this study was added an online bulletin board users that have not s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apply network agenda setting to the online environment and new media and to examine inter-network agenda setting. I hope that this study helps develop Expand and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network agenda setting mode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