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연소비자의 관람행태와 미디어 이용 =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7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Generall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typ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gender, age, education, income, job and consumer typ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y are enthusiasts, interested, non-attender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planners and managers of performing arts should carry out the differential marketing and PR strategy for performing arts consumers consider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type. That is, highly customized information should delivered to performing arts consum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job) and consumer type (enthusiasts, interested, non-attenders).
      번역하기

      In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Generall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according ...

      In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Generall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atching behavior and media use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typ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gender, age, education, income, job and consumer typ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y are enthusiasts, interested, non-attender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planners and managers of performing arts should carry out the differential marketing and PR strategy for performing arts consumers consider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type. That is, highly customized information should delivered to performing arts consum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job) and consumer type (enthusiasts, interested, non-attend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공연소비자의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과 공연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이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 공연예술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관람행태 차이를 성별, 연령, 학력, 소득, 직업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근 관람한 공연장르’에 대해서는 연령,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 ‘공연관람 사전계획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소 입장권 구매 시기는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입장권 구매시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선택 시 고려 요인들의 중요도는 연령, 직업, 학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학적 속성별로 공연정보 획득미디어와 공연정보 획득미디어에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이러한 차이는 공연소비자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이 공연소비자의 속성별로 차별화되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공연소비자의 유형별로도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소비자의 38.3%인 무관심관객, 32.5%인 관심관객, 29.2%인 열성관객은 선호하는 공연장르, 공연관람 사전계획 여부, 입장권 구매시기, 공연정보 획득미디어, 공연정보 획득미디어의 신뢰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공연소비자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이 공연소비자의 유형별로도 특색 있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과 공연소비자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의 수행이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공연소비자의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과 공연소비자의 유...

      이 연구에서는 공연소비자의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과 공연소비자의 유형에 따라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이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 공연예술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공연관람행태 차이를 성별, 연령, 학력, 소득, 직업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근 관람한 공연장르’에 대해서는 연령,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 ‘공연관람 사전계획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소 입장권 구매 시기는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입장권 구매시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선택 시 고려 요인들의 중요도는 연령, 직업, 학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학적 속성별로 공연정보 획득미디어와 공연정보 획득미디어에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이러한 차이는 공연소비자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이 공연소비자의 속성별로 차별화되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공연소비자의 유형별로도 공연관람 행태와 공연정보 미디어 이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소비자의 38.3%인 무관심관객, 32.5%인 관심관객, 29.2%인 열성관객은 선호하는 공연장르, 공연관람 사전계획 여부, 입장권 구매시기, 공연정보 획득미디어, 공연정보 획득미디어의 신뢰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공연소비자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이 공연소비자의 유형별로도 특색 있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연소비자의 인구학적 속성과 공연소비자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의 수행이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배, "한국공연예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2 김미경, "입소문 커뮤니케이션과 공연소비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5

      3 이진선, "인터넷 마케팅 촉진이 공연예술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4 정성진, "온라인 비평이 뮤지컬관람객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5 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2010

      6 이학식, "소비자행동론" 법문사 2010

      7 김요한, "문화콘텐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8 임연철, "문화예술홍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 강기두, "문화예술 공연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뮤지컬공연관람객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0 (30): 1143-1167, 2001

      10 송미숙, "무용공연관람을 위한 소비자 구매행동분석 -서울.경기무용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46 (46): 85-106, 2006

      1 이진배, "한국공연예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2 김미경, "입소문 커뮤니케이션과 공연소비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5

      3 이진선, "인터넷 마케팅 촉진이 공연예술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4 정성진, "온라인 비평이 뮤지컬관람객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5 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2010

      6 이학식, "소비자행동론" 법문사 2010

      7 김요한, "문화콘텐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8 임연철, "문화예술홍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 강기두, "문화예술 공연관람객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뮤지컬공연관람객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0 (30): 1143-1167, 2001

      10 송미숙, "무용공연관람을 위한 소비자 구매행동분석 -서울.경기무용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46 (46): 85-106, 2006

      11 김선정, "무용공연 관람자의 태도와 관람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9 (19): 131-144, 2005

      12 양은하,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공연예술 소비자 행동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3 이승엽, "극장 경영과 공연제작" 역사넷 2001

      14 이정학, "관람 소비수준에 따른 마케팅믹스 요인이 무용공연만족도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7 (17): 156-163, 2006

      15 최선희, "공연홍보에 있어서, 매스미디어가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대학로 공연예술 홍보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8

      16 한현숙, "공연이벤트 관람 장애요인과 태도 및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 5 : 3-72, 2006

      17 이승엽, "공연예술시장의 현황과 과제" 6 : 7-26, 2005

      18 이유재,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 행동연구에 대한 고찰" 33 (33): 308-340, 1999

      19 한국문화정책개발원, "공연예술시장 연구" 1999

      20 김주호, "공연예술상품의 소비자 가격" 6 : 26-42, 2004

      21 이상일, "공연예술 관람빈도에 따른 관람행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25) : 679-689, 2005

      22 우창기, "공연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7

      23 Davis, J. C.,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or Committed: Attribute Importance and Consumer Evaluations of the Live Arts Experience" 21 (21): 56-79, 2009

      24 Strang, R. A., "Promotion Policy Making in the Arts: A Conceptual Framework" Marketing the Arts, Praeger 1980

      25 Katz. E., "Personal Influence" Free Press 1955

      26 Andreasen, A. R., "Expanding the Audience for Performing Arts" Seven Lock Press 1990

      27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10 문화향수실태조사"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KCI등재
      2021-04-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8 1.48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