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세대영재기업인 창업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Venture Experiences by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68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venture experiences of next generation enterpreneur gifted enterpreneurs after graduating Center for Creative Enterpreneur by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from 10 students with venture experiences. The qualitative study appli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olaizzi. The venture experiences were clustered into 13 specific themes and 5 general structures. Not only student centered education and enterprenuership, but also making friends with similar interests from Center for Creative Enterpreneur affected positively on venture experiences. Supportive home environments and encouraged parents also affected positively, and their strong motivations and patience could help them overcome the obstacles in the process of venture. Finally, they plan to do society favor in their future. The results indicated the importances of longitudinal stud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venture experiences of next generation enterpreneur gifted enterpreneurs after graduating Center for Creative Enterpreneur by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venture experiences of next generation enterpreneur gifted enterpreneurs after graduating Center for Creative Enterpreneur by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from 10 students with venture experiences. The qualitative study appli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olaizzi. The venture experiences were clustered into 13 specific themes and 5 general structures. Not only student centered education and enterprenuership, but also making friends with similar interests from Center for Creative Enterpreneur affected positively on venture experiences. Supportive home environments and encouraged parents also affected positively, and their strong motivations and patience could help them overcome the obstacles in the process of venture. Finally, they plan to do society favor in their future. The results indicated the importances of longitudinal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 이후 창업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을 통하여 창업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 수료자 중 창업을 경험이 있는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3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모음을 추출하였다.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은 학생주도적인 교육과 기업가 정신 함양뿐만 아니라 같은 생각을 하는 동료를 만난 것도 좋았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 권위적이지 않았던 가정환경은 창업을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창업과정은 비록 모든것이 난관이었지만 강한 동기와 의지가 있었으므로 이를 극복하고 창업을 할 수 있었음이 나타났다. 또한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들을 통하여 사회에 어떠한 모습으로든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이들의 추적연구와 또 다른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 이후 창업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을 통하여 창업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

      본 연구에서는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 이후 창업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을 통하여 창업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 수료자 중 창업을 경험이 있는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3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모음을 추출하였다. 차세대영재기업인 교육은 학생주도적인 교육과 기업가 정신 함양뿐만 아니라 같은 생각을 하는 동료를 만난 것도 좋았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 권위적이지 않았던 가정환경은 창업을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창업과정은 비록 모든것이 난관이었지만 강한 동기와 의지가 있었으므로 이를 극복하고 창업을 할 수 있었음이 나타났다. 또한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들을 통하여 사회에 어떠한 모습으로든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이들의 추적연구와 또 다른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경, "청소년 창의발명인재 유형별 특성 비교: 청소년 기업영재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4 (24): 81-111, 2014

      2 최민경,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한국영재학회 23 (23): 89-107, 2013

      3 윤방섭,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17 (17): 89-110, 2004

      4 이찬,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한국발명진흥회 2009

      5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6 김대업, "잠재적 창업가의 예비 창업행동과 사회적 책임의식 간의 관계 :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5 (35): 25-46, 2013

      7 김수진,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49-61, 2016

      8 양태용, "대학의 Enterpreneurship(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2006

      9 최지영,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 1 : 129-146, 2006

      10 최민경, "기업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영재학회 23 (23): 1117-1145, 2013

      1 최민경, "청소년 창의발명인재 유형별 특성 비교: 청소년 기업영재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4 (24): 81-111, 2014

      2 최민경,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한국영재학회 23 (23): 89-107, 2013

      3 윤방섭,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17 (17): 89-110, 2004

      4 이찬,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한국발명진흥회 2009

      5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6 김대업, "잠재적 창업가의 예비 창업행동과 사회적 책임의식 간의 관계 :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5 (35): 25-46, 2013

      7 김수진,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49-61, 2016

      8 양태용, "대학의 Enterpreneurship(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2006

      9 최지영,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 1 : 129-146, 2006

      10 최민경, "기업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영재학회 23 (23): 1117-1145, 2013

      11 최민경,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이론적 제안 및 고찰" 한국영재학회 23 (23): 793-815, 2013

      12 배종태,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한국중소기업학회 31 (31): 109-128, 2009

      13 배종태, "기업가정신 및 벤처경영에 관란 교육과정개발" 1 (1): 155-180, 1998

      14 양영석, "‘질 좋은’ 창업의 개념정립과 창업교육 중심의 ‘질 좋은’ 창업육성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141-150, 2012

      15 Crant, R. M., "Toward a knowledge-based theory of the firm" 17 (17): 109-122, 1996

      16 Chell, E.,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17 Edelman, L. F., "Start-up motivations and growth intentions of minority nascent entrepreneurs" 48 (48): 174-196, 2010

      18 Lerninger, M.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nursing" Crune & Stratton Inc 1985

      19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Inc 2007

      20 Timmons, J. A.,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Irwin Press 1994

      21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Office of the Advocacy (SBA), "Minorities in business: A demographic review of minority business ownership"

      22 Shavinina, L. V., "Micro-soci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 the case of Richard Branson" 17 (17): 225-235, 2008

      23 Athayde, R., "Measuring enterprise potential in young people" 34 : 481-500, 2009

      24 Colaizzi, P. 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25 Cooper, A. C., "Entrepreneurial research : Old questions, new answers, and methodological issues" 3 (3): 11-23, 1987

      26 Peterman, N. E., "Enterprise education : Influencing students perceptions of entrepreneurship" 28 (28): 129-144, 2003

      27 Shavinina, L. V., "Early sign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23 (23): 9-15, 2008

      28 Bloom, B.,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Ballantine Books 1985

      29 Gardner, H., "Creating minds" Basic Books 1983

      30 Birley, S., "A taxonomy of business start-up reasons and their impact on firm growth and size" 9 (9): 7-31,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